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감각과 몸의 미술사: 고통 받는 신체, 탐구되는 인체 = The Senses, Body, and the History of Art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719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몸을 통해 드러나는 감각 중 통증 감각, 즉 통각을 통해 느껴지는 신체적 고통과 그 시각적 재현 양상, 고통을 통한 육체의 인지와 감각의 작용을 몇 가지 주요한 사례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몸을 통해 드러나는 감각 중 통증 감각, 즉 통각을 통해 느껴지는 신체적 고통과 그 시각적 재현 양상, 고통을 통한 육체의 인지와 감각의 작용을 몇 가지 주요한 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각각의 사례들은 극단적인 신체 훼손을 포함하는 열녀도, 다양한 죽음의 순간과 고통이 표현되는 지옥도, 신체에 가해지는 형벌과 고문이 시각화된 형벌도, 신체의 각 부분을 정의하고 설명하는 해부도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공통적으로 몸을 매개로 하여 감각을 시각화하고, 몸에 대한 인식과 담론, 감각에 대한 태도와 그와 관련된 사고를 보여준다. 열녀의 육체와 고통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통제되고 변형되었으며, 종교적 교화를 목적으로 재현된 죄업의 몸은 극단적으로 왜곡되고 과장되어 절실한 구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국가의 사법제도와 형벌을 통해 육체에 가해진 폭력과 고통은 지극히 사적인 개인의 “몸”을 국가적 체제 안에 편입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며, 그 안에서 형벌의 대상인 개인의 몸은 도구화된다. 사회적 이데올로기와 종교와 신앙, 사법 체제 안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왜곡되고 변형되거나 전유되었던 몸은 근대적 의학 기술의 도입과 함께 객관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자연의 현상처럼 인식되었다. 즉, 몸은 시대와 사회적 맥락, 종교적 관념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고, 인식되며 감각은 필요에 따라 왜곡되거나 침묵되거나 과장된다. 몸과 감각의 시각적 재현들은 이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은밀하게 공조하면서 사회적 담론을 생산하는 기제로 활용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lves into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experiences, specifically nociception (the sense of pain), and its visualization within the context of the human body. By analyzing significant case studi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

      This study delves into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experiences, specifically nociception (the sense of pain), and its visualization within the context of the human body. By analyzing significant case studi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gnitive and sensory dimensions of the body's perception and its sensory functions. These case studies encompass diverse themes such as bodily mutilation, depictions of death and suffering, visualizations of punishment and torture, as well as anatomical drawings that illuminate the body's inner and outer organs. Each of these instances employs the body as a vehicle to visually express the senses, shedding light on contemporary perceptions and discourses surrounding the body and its sensory realms.
      The bodies and pain of virtuous women were controlled and manipulated to effectively demonstrate patriarchal ideologies, while the bodies of criminals, reproduced for religious conversion and didactic purpose, were extremely distorted and exaggerated, emphasizing the urgent need for salvation. The violence and suffering inflicted on the body through the state’s judicial system and punishment served to incorporate the highly personal individual “body” into the system, where the body of the individual subjected to punishment becomes instrumentalized. On the other hand, within social ideologies, religion, and the judicial system, the body was appropriated and transformed for specific purposes. The previously exclusive domain of the body was objectified and observed as part of the natural world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medical technology. In other words, the body is defined and perceiv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eriod, social context, and religious concepts, and the senses are distorted, silenced, or exaggerated as necessary. The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body and senses actively participate or covertly collaborate in this process, serving as mechanisms that produce social discours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