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버 여성의 유행선도력과 기초화장품 태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6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년 여성 소비자들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기초 화장품 관심도 및 구매행동과 사용에 대한 태도를 조사해 유행 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군의 특성을 밝혀 관련 화장품 업체의 소비자 세분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55세부터 84세 여성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에는 SPSS 통계 Package가 사용되었으며, 자료 분석 방법으로 빈도(Frequency), 백분율(Percent), 교차분석(Cross-tabs), 카이분석(Χ2-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행 선도력 정도에 따라 유행선도자, 유행추종자, 유행지체자로 그룹을 분류하고 각 집단별 기초 화장품에 대한 구매 및 사용 특성을 비교하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용돈의 액수가 많을수록 유행 선도력이 선도력이 높았으며,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의복의 지출비와 화장품 지출비 등 외모 관리 관련 지출 비용이 높게 나타났다. 유행 선도자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기초 화장품과 스킨케어에 대한 관심 및 구매 빈도가 높고, 평상시 화장량 및 사용하는 기초 화장품 종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초 화장품 구매 전 사전 의사 결정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구매할 브랜드를 미리 정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구매 빈도에 있어서는 유행 선도자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구매 빈도 또한 많았다. 전체적으로 구매시 기초 화장품의 품질이 가장 큰 구매 결정 변수로 사용되었지만, 유행 선도력에 따른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행 지체자 집단에서 품질보다 가격을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용하는 기초 화장품의 종류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력에 따라 그룹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행 선도자 집단이 3가지 이상의 기초화장품을 사용하는데 비해 유행 지체자 집단에서는 1가지의 기초화장품을 사용하였다. 실버 여성 전체 그룹에서 외제 사용 비율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유행 선도력의 정도와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년 여성 소비자들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기초 화장품 관심도 및 구매행동과 사용에 대한 태도를 조사해 유행 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군의 특성을 밝혀 관련 화장품 업체의 소비...

      본 연구는 노년 여성 소비자들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기초 화장품 관심도 및 구매행동과 사용에 대한 태도를 조사해 유행 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군의 특성을 밝혀 관련 화장품 업체의 소비자 세분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55세부터 84세 여성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에는 SPSS 통계 Package가 사용되었으며, 자료 분석 방법으로 빈도(Frequency), 백분율(Percent), 교차분석(Cross-tabs), 카이분석(Χ2-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행 선도력 정도에 따라 유행선도자, 유행추종자, 유행지체자로 그룹을 분류하고 각 집단별 기초 화장품에 대한 구매 및 사용 특성을 비교하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용돈의 액수가 많을수록 유행 선도력이 선도력이 높았으며,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의복의 지출비와 화장품 지출비 등 외모 관리 관련 지출 비용이 높게 나타났다. 유행 선도자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기초 화장품과 스킨케어에 대한 관심 및 구매 빈도가 높고, 평상시 화장량 및 사용하는 기초 화장품 종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초 화장품 구매 전 사전 의사 결정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력이 높을수록 구매할 브랜드를 미리 정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구매 빈도에 있어서는 유행 선도자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구매 빈도 또한 많았다. 전체적으로 구매시 기초 화장품의 품질이 가장 큰 구매 결정 변수로 사용되었지만, 유행 선도력에 따른 그룹간 비교에서는 유행 지체자 집단에서 품질보다 가격을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용하는 기초 화장품의 종류에 있어서도 유행 선도력에 따라 그룹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행 선도자 집단이 3가지 이상의 기초화장품을 사용하는데 비해 유행 지체자 집단에서는 1가지의 기초화장품을 사용하였다. 실버 여성 전체 그룹에서 외제 사용 비율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유행 선도력의 정도와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mong three segments of the population which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fashion leadership. The fashion leadership group were composed 3 groups: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ers, and fashion laggard. The subjects were 220 women of 55~84 years old living in Korea. The data were obtained from 220 female using questionnaire. SPSS was a computer program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analysis of questionnaires, Frequency, Percent, Cross-tabs, Χ2-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the data analysis. The power of fashion leadership wa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shion leadership had effect on the age, monthly allowance, monthly clothing and cosmetic expense. And, the group by fashion leadership was classified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s and fashion laggard. These seg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interest, usage and purchasing behavior in basic cosmetics. Generally, fashion leaders showed the tendencies to interest in basic cosmetics. They had a higher purchase frequency and usage than other groups. The effect of value on basic cosme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most important basic cosmetics attribute of fashion leaders group was quality. However, the fashion laggard group was price. The effect of value on basic cosmetics, basic cosmetics usage and basic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between fashion leaders group and fashion laggard group were different. In addition, the fashion leaders perceived themselves as information sources about basic cosmetics. These internal characteristics were supposed to spend large sums of money on their buying. But, the fashion laggard showed quite different tendencies. The differences of the basic cosmetics usage and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the fashion leadership level were significantly observed. They had a higher more domestic cosmetics usage than imported cosmetics in all groups. But, the percent of imported cosmetics usage had relation with fashion leadership sco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mong three segments of the population which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fashion leadership. The fashion leadership group were composed 3 groups: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er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mong three segments of the population which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ir fashion leadership. The fashion leadership group were composed 3 groups: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ers, and fashion laggard. The subjects were 220 women of 55~84 years old living in Korea. The data were obtained from 220 female using questionnaire. SPSS was a computer program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analysis of questionnaires, Frequency, Percent, Cross-tabs, Χ2-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the data analysis. The power of fashion leadership wa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shion leadership had effect on the age, monthly allowance, monthly clothing and cosmetic expense. And, the group by fashion leadership was classified fashion leaders, fashion follows and fashion laggard. These segmen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interest, usage and purchasing behavior in basic cosmetics. Generally, fashion leaders showed the tendencies to interest in basic cosmetics. They had a higher purchase frequency and usage than other groups. The effect of value on basic cosme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most important basic cosmetics attribute of fashion leaders group was quality. However, the fashion laggard group was price. The effect of value on basic cosmetics, basic cosmetics usage and basic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between fashion leaders group and fashion laggard group were different. In addition, the fashion leaders perceived themselves as information sources about basic cosmetics. These internal characteristics were supposed to spend large sums of money on their buying. But, the fashion laggard showed quite different tendencies. The differences of the basic cosmetics usage and purchase behaviors according to the fashion leadership level were significantly observed. They had a higher more domestic cosmetics usage than imported cosmetics in all groups. But, the percent of imported cosmetics usage had relation with fashion leadership sco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노인문제 연구소, "현대사회와 노인문제" 한국노인문제연구소 출판부 1994

      2 김영선, "한국 실버산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3 이화자, "중 노년기 여성의 자기 개념과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4 기정화,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복구매행동과 유행선도력에 대한 연구 :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 여대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5 류은정, "유행선도력에 따른 향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38 (38): 2000

      6 이승희,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의 추구혜택 및 의복스타일 선호도에 관한 연구" 22 (22): 1998

      7 조윤정,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세분집단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 추구 혜택 특성" 12 (12): 2001

      8 송명화, "유행선도력에 따른 대행 인터넷 쇼핑몰의 패션제품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 32 (32): 179-189, 2008

      9 이연희, "유행선도력과 의복 및 신체만족도와의 상관 연구-이화여대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10 김유리, "여성들의 화장품 사용 실태와 구매 형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원격대학원 2007

      1 한국노인문제 연구소, "현대사회와 노인문제" 한국노인문제연구소 출판부 1994

      2 김영선, "한국 실버산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3 이화자, "중 노년기 여성의 자기 개념과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4 기정화,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복구매행동과 유행선도력에 대한 연구 :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 여대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5 류은정, "유행선도력에 따른 향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38 (38): 2000

      6 이승희,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의 추구혜택 및 의복스타일 선호도에 관한 연구" 22 (22): 1998

      7 조윤정,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세분집단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 추구 혜택 특성" 12 (12): 2001

      8 송명화, "유행선도력에 따른 대행 인터넷 쇼핑몰의 패션제품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 32 (32): 179-189, 2008

      9 이연희, "유행선도력과 의복 및 신체만족도와의 상관 연구-이화여대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10 김유리, "여성들의 화장품 사용 실태와 구매 형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원격대학원 2007

      11 김수빈, "여성들의 피부미용에 대한 인식과 관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8

      12 서승희, "여대생의 유행선도력에 따른 체형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 14 (14): 866-877, 2008

      13 윤소영, "여대생의 외모관리에 대한 의식 및 태도 연구-헤어, 피부, 화장, 미용 성형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7

      14 이명숙, "여고생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 행태에 관한 연구 : 대구 지역 여고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4

      15 신지아, "실버계층의 여가활동참여 선택속성 및 여가지출 수요결정 요인 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16 한은영, "실버 세대의 화장품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향장산업대학원 2005

      17 윤여성, "신피부관리학" 가림 1995

      18 김윤희, "매스미디어 활용이 메이크업 및 패션제품의 유행선도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30 (30): 266-274, 2006

      19 이의훈,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실버시장 세분화 연구" 한국노년학회 24 (24): 1-20, 2004

      20 Sherman, E., "Appling Age -Gender Theory from Social Gerontology to Understand the Consumer Well-being of the Elderly" 11 : 1984

      21 최윤영, "20대 여성의 유행선도력에 따른 화장품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