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지각 우선순위에 의한 건축물 조형디자인에 관한 연구 - 홍콩지역 건축물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115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 공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로공간은 도로와 대지를 바탕으로 3차원의 물리적 형태로 구성되며, 환경조형물의 형태 및 조형디자인구성에 따라, 그 공간의 특성을 표현한다. 특히 3차원의 환경조형물 중 도시공간의 주된 구성 요소인 건축물은 도시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주요소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물리적 도시성장과 국제주의 양식에 따른 획일화된 건축 디자인 계획으로 인해 정체성을 상실한 도시공간이 되어가고 있다. 즉 전문가, 건축물, 이용자 간의 상호 유기적 작용 및 관계성 또한 약화되고 있는 실증이며, 이를 해결하기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관점에서의 조형디자인표현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주요 도시 중 인지도 높은 건축물들이 집중되어 있는 홍콩 도시공간 건축물을 중심으로, 유형에 따른 각 종 건축물에 대한 조형디자인 구성요소 표현특성을 토대로, 조형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피실험자 대상의 조형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시지각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는 전문가 관점에서의 작품성 위주로의 연구수행이 아니라 향후 이용자 관점에서의 업무 및 상업지역내 건축물에 대한 조형디자인표현특성을 이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향후 조형디자인 계획 방향 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번역하기

      도시 공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로공간은 도로와 대지를 바탕으로 3차원의 물리적 형태로 구성되며, 환경조형물의 형태 및 조형디자인구성에 따라, 그 공간의 특성을 표현한다. ...

      도시 공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로공간은 도로와 대지를 바탕으로 3차원의 물리적 형태로 구성되며, 환경조형물의 형태 및 조형디자인구성에 따라, 그 공간의 특성을 표현한다. 특히 3차원의 환경조형물 중 도시공간의 주된 구성 요소인 건축물은 도시의 이미지를 결정하는 주요소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물리적 도시성장과 국제주의 양식에 따른 획일화된 건축 디자인 계획으로 인해 정체성을 상실한 도시공간이 되어가고 있다. 즉 전문가, 건축물, 이용자 간의 상호 유기적 작용 및 관계성 또한 약화되고 있는 실증이며, 이를 해결하기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관점에서의 조형디자인표현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주요 도시 중 인지도 높은 건축물들이 집중되어 있는 홍콩 도시공간 건축물을 중심으로, 유형에 따른 각 종 건축물에 대한 조형디자인 구성요소 표현특성을 토대로, 조형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피실험자 대상의 조형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시지각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는 전문가 관점에서의 작품성 위주로의 연구수행이 아니라 향후 이용자 관점에서의 업무 및 상업지역내 건축물에 대한 조형디자인표현특성을 이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향후 조형디자인 계획 방향 등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specific forms of environmental mouldings along with formative design compositions, street spaces which are composed of three dimensionally various physical forms including many different roads and lands are not only occupied lots of portions but expressed as a specific characteristic area in a city. Especially architectural buildings among three dimensional environmental mouldings represent truly as a main element in a city. City has been only physically developed with losing identities by uniformed architectural design planning so we are facing with the time to solving all the issues which currently has been disconnected between architects, buildings, and user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provides with aspects of users’ viewpoints for formative design characteristics. In order to find priority of visual perception regarding formative design components from test subjects, we focused on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city, Hong Kong which has lots of different types of formative design characteristic buildings including specific expression methods for formative design components. This study is to be basic research materials suggesting formative design directions which are not from professionals’ viewpoints for design quality but users’ viewpoints in office and commercial district.
      번역하기

      According to specific forms of environmental mouldings along with formative design compositions, street spaces which are composed of three dimensionally various physical forms including many different roads and lands are not only occupied lots of port...

      According to specific forms of environmental mouldings along with formative design compositions, street spaces which are composed of three dimensionally various physical forms including many different roads and lands are not only occupied lots of portions but expressed as a specific characteristic area in a city. Especially architectural buildings among three dimensional environmental mouldings represent truly as a main element in a city. City has been only physically developed with losing identities by uniformed architectural design planning so we are facing with the time to solving all the issues which currently has been disconnected between architects, buildings, and user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provides with aspects of users’ viewpoints for formative design characteristics. In order to find priority of visual perception regarding formative design components from test subjects, we focused on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city, Hong Kong which has lots of different types of formative design characteristic buildings including specific expression methods for formative design components. This study is to be basic research materials suggesting formative design directions which are not from professionals’ viewpoints for design quality but users’ viewpoints in office and commercial distri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2 연구범위 및 방법
      • 2. 유형별 건축물 조형디자인 표현 특성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2 연구범위 및 방법
      • 2. 유형별 건축물 조형디자인 표현 특성
      • 2.1 조사대상 건축물 선정 및 방법
      • 2.2 유형별 건축물 종류 및 표현 특성
      • 2.3 표현장소에 따른 유형별 선호도 분석
      • 3. 시지각 우선순위에 의한 건축물 조형디자인
      • 3.1 분석내용 및 방법
      • 3.2 건축물 조형디자인구성요소 시지각 우선순위
      • 3.3 유형별 건축물 조형디자인구성요소 시지각 우선순위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길성호, "현대건축사고론" 시공문화사 1999

      2 길성호, "패러다임에 의한 건축적 사고유형의 체계화에의한 연구" 8 (8): 1992

      3 김근식, "도시공간 건축물 사고유형에 따른 군집별 조형디자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건축가 그룹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63-74, 2012

      4 류영희, "도시 환경조형물의 조형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강남대로 및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2 (12): 49-58, 2010

      5 김정재, "도시 공간과 환경조형물에 관한 연구" 3 : 1991

      1 길성호, "현대건축사고론" 시공문화사 1999

      2 길성호, "패러다임에 의한 건축적 사고유형의 체계화에의한 연구" 8 (8): 1992

      3 김근식, "도시공간 건축물 사고유형에 따른 군집별 조형디자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건축가 그룹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63-74, 2012

      4 류영희, "도시 환경조형물의 조형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강남대로 및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2 (12): 49-58, 2010

      5 김정재, "도시 공간과 환경조형물에 관한 연구" 3 :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5 0.53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