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의 성범죄 양형에 대해서, 처벌 수위가 지나치게 관대하고 가해자 중심의 재판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국민들의 비판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어떠한 요인이 이러한 관대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847209
2023
Korean
rape ; sentencing ; sentencing standard ; statement of victim ; the victim opposes punishment ; 강간 범죄 ; 양형 ; 양형기준제 ; 피해자 진술 ; 처벌불원
KCI등재
학술저널
157-191(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사회의 성범죄 양형에 대해서, 처벌 수위가 지나치게 관대하고 가해자 중심의 재판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국민들의 비판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어떠한 요인이 이러한 관대한 ...
우리 사회의 성범죄 양형에 대해서, 처벌 수위가 지나치게 관대하고 가해자 중심의 재판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국민들의 비판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어떠한 요인이 이러한 관대한 양형을 유발하는지 살펴볼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판결문을 분석함으로써 성범죄 중에서 강간죄에 대한 양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강간죄에 대한 양형 중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인 집행유예와 선고 형량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판결문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상급심이 존재하는 강간 사건 판결문 637건의 판결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피고인에 대한 집행유예 선고와 선고 형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특별양형인자인 처벌불원의 인정 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의 처벌불원이 인정되면, 피고인의 집행유예 선고 가능성이 증가하고 선고 형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처벌불원은 원심의 실형 판결을 상급심에서 집행유예로 변경하는 것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행 양형기준제에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며 향후 양형 개선에 대해 충분히 숙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본 연구의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it comes to sentencing sex crimes in our society, there is a growing criticism that the level of punishment is excessively lenient and that the trials are centered around the perpetrator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amine what factors cause ...
When it comes to sentencing sex crimes in our society, there is a growing criticism that the level of punishment is excessively lenient and that the trials are centered around the perpetrator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amine what factors cause this generous sentenc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entencing of rape among sex offenses by analyzing judgement. In particular,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probation and sentencing, which are the most problematic parts of the sentencing for rape. For this purpose, 637 cases of rape cases in which a upper instance exists, included in the judgment databas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entence of probation and sentence of the defendant was the recognition of the absence of punishment, a special sentencing factor. If ‘the victim opposes punishment’ is recognized, the likelihood of the probation increases and the sentence is significantly reduc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bsence of punish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of the sentence of the lower court from a higher court to a suspended sentence. These findings indicate a controversy surrounding the current sentencing standards and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oroughly considering improvements to the sentencing system in the future. Finally, the study discussed the limitations,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explored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지환, "형사합의의 개념과 문제점 고찰" 법학연구소 36 (36): 301-329, 2016
2 김혜정, "현행 양형기준상 양형인자로서의 합의(처벌불원)에 관한 제문제" 사법발전재단 1 (1): 3-45, 2018
3 이진화, "합의와 공탁이 아동·청소년 대상 성폭력범죄의 양형에 미치는 영향" 사법발전재단 1 (1): 33-73, 2015
4 이재일, "합리적 형사처벌을 위한 사법부의 과제-양형기준 준수율과 작량감경문제-" 국회입법조사처 2016
5 장유진,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에 의존하는 형사절차에 대한 포스트식민주의적 비판" 21 : 129-163, 2021
6 기광도, "피해자와 가해자 관계가 양형에 미치는 영향분석: 강간죄(13세 이상 대상)를 중심으로" 한국피해자학회 24 (24): 205-234, 2016
7 이주형, "최초 양형기준에 대한 비판적고찰" 21 : 45-93, 2009
8 김현정 ; 박창언,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평가자 간의 신뢰도 측정"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35 (35): 44-49, 2015
9 정진연, "집행유예제도의 개선방안" 16 : 205-229, 2006
10 김종률, "진술증거의 신빙성 판단" 2 (2): 185-201, 2010
1 하지환, "형사합의의 개념과 문제점 고찰" 법학연구소 36 (36): 301-329, 2016
2 김혜정, "현행 양형기준상 양형인자로서의 합의(처벌불원)에 관한 제문제" 사법발전재단 1 (1): 3-45, 2018
3 이진화, "합의와 공탁이 아동·청소년 대상 성폭력범죄의 양형에 미치는 영향" 사법발전재단 1 (1): 33-73, 2015
4 이재일, "합리적 형사처벌을 위한 사법부의 과제-양형기준 준수율과 작량감경문제-" 국회입법조사처 2016
5 장유진,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에 의존하는 형사절차에 대한 포스트식민주의적 비판" 21 : 129-163, 2021
6 기광도, "피해자와 가해자 관계가 양형에 미치는 영향분석: 강간죄(13세 이상 대상)를 중심으로" 한국피해자학회 24 (24): 205-234, 2016
7 이주형, "최초 양형기준에 대한 비판적고찰" 21 : 45-93, 2009
8 김현정 ; 박창언,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평가자 간의 신뢰도 측정"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35 (35): 44-49, 2015
9 정진연, "집행유예제도의 개선방안" 16 : 205-229, 2006
10 김종률, "진술증거의 신빙성 판단" 2 (2): 185-201, 2010
11 이형근 ; 김성희, "진술 신빙성 평가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성인지 감수성과 인격적 요소의 경향성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법학회 20 (20): 153-186, 2022
12 이미선 ; 정주은, "지적장애인 대상 성폭력 사건의 양형과 감경사유: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31 (31): 67-94, 2020
13 홍세희,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교육과학사 2005
14 김웅재, "이른바 '합의'가 양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38 (38): 89-124, 2021
15 최이문,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활용한 성범죄의 집행유예 결정인자 연구" 한국형사정책학회 30 (30): 171-201, 2018
16 권보원, "음주운전 처벌법이 사회규범으로 작동하기 위한 조건: 통계와 행동경제학이 주는 교훈" 한국법경제학회 17 (17): 55-136, 2020
17 양형위원회, "양형위원회 연간보고서" 2021
18 최형표, "양형실무의 변화와 과제 - 양형기준제도 및 양형심리를 중심으로 -" 한국법학원 146 (146): 11-68, 2015
19 기광도, "양형기준제도의 피해자 관련요인이 양형결정에 미치는 효과분석: 성폭력을 중심으로" 한국피해자학회 23 (23): 35-59, 2015
20 박성훈 ; 최이문, "양형기준제도가 양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성범죄와 강도범죄를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7 (27): 1-34, 2016
21 양형위원회, "양형기준제"
22 이진국, "양형기준에서 특별감경요소로서 ‘피해회복을 위한 진지한 노력’에 관한 고찰"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7 (27): 1-22, 2016
23 김혜정, "양형기준 준수의미의 재고찰에 기초한 양형기준제도의 발전적 운영방안" 법조협회 67 (67): 127-166, 2018
24 정숙희, "양형기준 시행 이후 작량감경규정의 재조명 -성폭력범죄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32 (32): 367-398, 2012
25 박성훈 ; 강태경, "시나리오 접근을 통한 일반인과 법조인의 양형 인식 비교 : 실형선고의 적절성을 중심으로" 대한범죄학회 10 (10): 65-100, 2016
26 강은영, "성폭력피해자진술의 신빙성에 대한 형사사법기관 판단및 개선방안: 성인지감수성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원 1-352, 2020
27 박용철, "성폭력 형사사건에서피해자 진술의 신빙성과 경험칙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1-232, 2020
28 박정난, "성폭력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판단에 관한 검토" 한국형사소송법학회 12 (12): 207-238, 2020
29 이수진, "성폭력 범죄에서 피해자 진술의 이해 - ‘2018고합75 판결’과 ‘2018노2354 판결’ 이슈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60 (60): 35-62, 2019
30 이창한, "성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법관과 일반인의 인식차이" 한국공안행정학회 18 (18): 273-300, 2009
31 최호진 ; 백소연, "성범죄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집행유예의 실효성과 한계"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32 (32): 69-96, 2021
32 박철현, "성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의 국제비교 : 한국, 미국, 영국의 양형기준에 나타난 형량의 비교" 한국치안행정학회 8 (8): 77-99, 2012
33 최광진, "성범죄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판단에 있어 인지과학의 활용 가능성" 사법발전재단 1 (1): 311-359, 2022
34 박지선 ; 강은영, "성범죄 피해자 진술신빙성과 피고인 처벌 판단에 성차별의식과 강간통념이 미치는 영향" 젠더법학연구소 13 (13): 1-34, 2021
35 박미랑 ; 이민식, "성범죄 집행유예 기준의 세분화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학회 26 (26): 189-217, 2014
36 차성안, "성범죄 양형기준상 처벌불원의 정당성 ― 비교법적 고찰에서 출발한 시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8 (28): 179-225, 2021
37 법원행정처, "사법연감"
38 이철형, "법과학, 녹취분석학개론" 부크크 2021
39 한경도 ; 박용규, "모의 실험을 이용한 여러 합치도들의 비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3 (23): 25-37, 2012
40 안명호, "머신러닝을 이용한 알고리즘 트레이딩 시스템 개발" 한빛미디어 2016
41 박종렬 ; 노상욱, "데이트 강간의 여성 인식에 관한 문헌통계학적 접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3 (13): 287-294, 2008
42 박강우, "대법원 양형기준안과 바람직한 양형개혁의 방향" 한국법학원 (114) : 206-229, 2009
43 "대법원 2018. 10. 25. 선고 2018도7709 판결"
44 류나현 ; 김형석 ; 강필성, "다중선형회귀모형에서의 변수선택기법 평가" 대한산업공학회 42 (42): 314-326, 2016
45 이정원 ; 이종섭, "국내 오판의 현황과 특성: 살인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학회 34 (34): 31-67, 2023
46 김혜정 ; 기광도, "강간죄의 양형기준제도 준수현황 및 개선방안" 대한변호사협회 (455) : 8-29, 2016
47 기광도, "강간죄에 대한 양형기준제도 운용현황 분석" 대한범죄학회 9 (9): 63-92, 2015
48 이정원 ; 김혜숙, "강간사건 판단에 주변 단서들이 미치는 영향: 부부강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6 (26): 47-73, 2012
49 머니투데이, "“진술 신빙성이…” 성범죄 판결 가르는 그들의 한마디"
50 Nowok, B., "synthpop : Bespoke Creation of Synthetic Data in R" 74 (74): 1-26, 2016
51 Raskin, D. C., "The suggestibility of children’s recollec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53-164, 1991
52 R Core Team,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53 Feinstein, A. R., "High agreement but low Kappa : I. the problems of two paradoxes" 43 (43): 543-549, 1990
54 Gwet, K., "Handbook of inter-rater reliability" STATAXIS Publishing company 2001
55 Cole, K., "Going Off the Grid: Assessing Sentencing Departures for Individuals Convicted of Sexual Offenses" 67 : 1676-1705, 2020
56 Lundrigan, S., "Factors Predicting Conviction in Stranger Rape Cases" 10 : 526-, 2019
57 Hagan, J., "Extra-Legal Attributes and Criminal Sentencing: An Assessment of a Sociological Viewpoint" 8 (8): 357-383, 1974
58 Menard, S., "Appli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age 1995
59 Yue, L., "An Empirical Analysis of Rape Sentence Based on SPSS" 182-187, 2022
60 Golding, J. M., "Advances in Psychology and Law" 1-37, 2022
61 한겨레21, "5일 만에 양성되는 진술분석전문가"
62 여성가족부, "2019년 성폭력 안전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63 이민식, "13세 이상 대상 강간죄의 양형에 관한 경험적 연구: 제1기 양형기준 적용현황 분석" 한국형사정책학회 23 (23): 87-119, 2011
범죄자 사이코패스 성향의 유형분류 및 유형별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라인업 제시 방식과 동인종 편향이 목격자의 식별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