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1세기에 다시 읽는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 한국사회학의 새로운 이론적 위상 정립을 위하여 = Emile Durkheim’s Sociology Revisited in 21st Century: Toward a Reorientation of Theoretical Perspective in Korean Soci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51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표는 뒤르케임의 저작들이 어떠한 통찰력 덕분에 출간 후 한 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여러 가지 도전들을 겪으면서도 수많은 사회학자들로부터 고전으로 인정받고 발전되어 왔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필자가 사용한 방법론은 뒤르케임 연구 관련 사회학자들의 문헌연구와 그 내용분석이다. 그러나 이 주제가 너무 광범위하고 그동안 축적된 수많은 연구들이 있기 때문에, 필자는 연구범위를 21세기 초부터 20년 동안의 뒤르케임 연구들에만 한정시켰다. 그리고 이 연구를 전략적으로 세 단계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는 뒤르케임 관련 기념총서 세 권-『사회학 창시자로서의 에밀 뒤르케임(2008)』, 『뒤르케임은 오늘날 우리가 상식적으로 이해하는 뒤르케임이 맞는가?(2011)』,『21세기 오늘날 다시 보는 뒤르케임(2018)』- 의 내용 중 몇 가지 핵심적 주제들을 간략히 검토해 보았다. 둘째는 위의 세 기념총서 중 소르본 대학에서 뒤르케임 교수직을 계승하고 평생 고전사회학을 연구해온 ‘부동’의 논문과 저술에 초점을 맞추어 그가 문화사회학 이론과 지배적인 뒤르케임 연구들에 대해 어떠한 비판적 입장과 평가를 내리고 있는가를 검토해 보았다. 마지막 셋째는 현대사회학의 거장인 부동이 다양한 고전사회학 전통을 종합해서 뒤르케임 사회학을 어떻게 혁신적․독창적으로 해석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자신의 고유한 현대사회학 이론인 ‘일상적 합리성 이론’을 만들어 갔는가를 그의 후반기 저작들을 중심으로 탐색해보았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 21세기에 들어 새롭게 수행된 뒤르케임 관련 연구들과 부동의 사회학이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사회학의 새로운 소명의식과 정신을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각자 자신의 시대에 맞게 새로운 ‘사회학 이론 틀’을 만들어서, 현대사회의 ‘이념 갈등’과 ‘시민적 가치관’ 혼란의 원인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뒤르케임에서 부동에 이르는 학자들이 자기 분야를 개척하고 해당 시대의 거장으로 남아있을 수 있었던 이유는, 이들이 각자가 필요로 하는 시대적 과제 해결을 위해서 기존의 고전사회학을 혁신적으로 해석하고 창의적으로 종합함으로써 새로운 인문사회학적 ‘분석 틀’을 개척했기 때문이다. 특히 37년간 부동에게서 배우고 그의 저작들을 연구해 온 필자는, 그의 ‘일상적 합리성 이론’에서 현대사회의 이념적 갈등 상황과 대의민주주의 제도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참신한 이론적 대안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의 이론적 대안은 한국사회가 가장 시급히 필요로 하는 좌․우 이념 갈등의 극복과 21세기 우리 상황에 적합한 새로운 ‘시민적 가치관’ 정립에 중요한 가르침을 주었다. 결국 필자가 5년간의 연구 끝에 발견한 21세기의 새로운 사회학 사상은, 사회학의 고전들을 지나치게 고정된 틀로 이해하지 않고 시대적 과제에 맞게 창의적 방식으로 종합하여 합리적․과학적 기반을 갖춘 새로운 통합과학적 인문사회학을 찾는 것이다. 필자는 이 모범 사례를 레이몽 부동에게서 찾았고, 그가 제안한 ‘일상적 합리성 이론’은 한국사회의 이념 갈등을 극복하는 것은 물론, 사회과학의 기초연구를 강화하거나 구체적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표는 뒤르케임의 저작들이 어떠한 통찰력 덕분에 출간 후 한 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여러 가지 도전들을 겪으면서도 수많은 사회학자들로부터 고전으로 인정받고 발전되어 왔...

      이 연구의 목표는 뒤르케임의 저작들이 어떠한 통찰력 덕분에 출간 후 한 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여러 가지 도전들을 겪으면서도 수많은 사회학자들로부터 고전으로 인정받고 발전되어 왔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필자가 사용한 방법론은 뒤르케임 연구 관련 사회학자들의 문헌연구와 그 내용분석이다. 그러나 이 주제가 너무 광범위하고 그동안 축적된 수많은 연구들이 있기 때문에, 필자는 연구범위를 21세기 초부터 20년 동안의 뒤르케임 연구들에만 한정시켰다. 그리고 이 연구를 전략적으로 세 단계로 나누어 보았다. 첫째는 뒤르케임 관련 기념총서 세 권-『사회학 창시자로서의 에밀 뒤르케임(2008)』, 『뒤르케임은 오늘날 우리가 상식적으로 이해하는 뒤르케임이 맞는가?(2011)』,『21세기 오늘날 다시 보는 뒤르케임(2018)』- 의 내용 중 몇 가지 핵심적 주제들을 간략히 검토해 보았다. 둘째는 위의 세 기념총서 중 소르본 대학에서 뒤르케임 교수직을 계승하고 평생 고전사회학을 연구해온 ‘부동’의 논문과 저술에 초점을 맞추어 그가 문화사회학 이론과 지배적인 뒤르케임 연구들에 대해 어떠한 비판적 입장과 평가를 내리고 있는가를 검토해 보았다. 마지막 셋째는 현대사회학의 거장인 부동이 다양한 고전사회학 전통을 종합해서 뒤르케임 사회학을 어떻게 혁신적․독창적으로 해석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자신의 고유한 현대사회학 이론인 ‘일상적 합리성 이론’을 만들어 갔는가를 그의 후반기 저작들을 중심으로 탐색해보았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 21세기에 들어 새롭게 수행된 뒤르케임 관련 연구들과 부동의 사회학이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사회학의 새로운 소명의식과 정신을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각자 자신의 시대에 맞게 새로운 ‘사회학 이론 틀’을 만들어서, 현대사회의 ‘이념 갈등’과 ‘시민적 가치관’ 혼란의 원인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과학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뒤르케임에서 부동에 이르는 학자들이 자기 분야를 개척하고 해당 시대의 거장으로 남아있을 수 있었던 이유는, 이들이 각자가 필요로 하는 시대적 과제 해결을 위해서 기존의 고전사회학을 혁신적으로 해석하고 창의적으로 종합함으로써 새로운 인문사회학적 ‘분석 틀’을 개척했기 때문이다. 특히 37년간 부동에게서 배우고 그의 저작들을 연구해 온 필자는, 그의 ‘일상적 합리성 이론’에서 현대사회의 이념적 갈등 상황과 대의민주주의 제도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참신한 이론적 대안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의 이론적 대안은 한국사회가 가장 시급히 필요로 하는 좌․우 이념 갈등의 극복과 21세기 우리 상황에 적합한 새로운 ‘시민적 가치관’ 정립에 중요한 가르침을 주었다. 결국 필자가 5년간의 연구 끝에 발견한 21세기의 새로운 사회학 사상은, 사회학의 고전들을 지나치게 고정된 틀로 이해하지 않고 시대적 과제에 맞게 창의적 방식으로 종합하여 합리적․과학적 기반을 갖춘 새로운 통합과학적 인문사회학을 찾는 것이다. 필자는 이 모범 사례를 레이몽 부동에게서 찾았고, 그가 제안한 ‘일상적 합리성 이론’은 한국사회의 이념 갈등을 극복하는 것은 물론, 사회과학의 기초연구를 강화하거나 구체적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의 형태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reasons why so many modern sociologists have respected and developed Durkheim’s works as classic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critiques against his sociology for over one century. The methodology of our research is the content analysis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Durkheimian studies collected by my research design. Because of a great many studies accumulated concerning Durkheim in this period, I set limits the period of our research from 2000 to 2020 and check various books published in this period. But still there are many books studied and published by sociologists of various schools, I strategically planned our work in three stages. Firstly, I have chosen three books celebrating the birth and the death of our founder of discipline. They are Emile Durkheim as a founder of modern sociology(2008), Durkheim whom we usually talk about is really Durkheimian? by his own standards?(2011), Emile Durkheim reevaluated by the view of sociologists of late modern society(2018). We reviewed these three books by focusing on key concepts as solidarity, cultural sociology, typology of social relations. And then we have explored the some new areas of sociology such as economic sociology, political sociology inherited from the Durkheimian sociological tradition. Secondly, among various articles edited by three books mentioned above, we have chosen only two important articles of Raymond Boudon to clarify his theoretical positions vis à vis cultural sociology of Jeffrey Alexander and the other dominant positions in interpreting The Elementary forms of religious life. Finally we have explored the Raymond Boudon’s sociological theory-theory of ordinary rationality- from the view of 21st contemporary sociology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ways of synthesizing the various classical sociologists such as Tocqueville, Durkheim, Weber, Simmel, and Adam Smith. In this research, we specially paid attention to his innovative and original way of interpreting the Durkheimian sociology on the basis of his overall synthesis of the various classical sociologies. And then we have observed him to elaborate his own theory of ordinary rationality as a master scholar of this domain. As a result of our research, we have confirmed that Durkheim and Boudon are sharing the same spirit of vocation of sociology and professionalism in seeking their own ways of sociology for the new academic frontier areas. This spirit consists in elaboration of new theoretical problematics in tune with their times, necessary for resolving the problems of ideological conflicts and for establishing righteous value system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In this research we have confirmed the reasons why Boudon and Durkheim could become master scholars in their times in their own way. It’s because of their spirit for pioneering the new social scientific problematics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ir times. I finally reconfirm the scholar spirit and professionalism in their adventurous and persevering works for creating new theoretical problematics against various challenges ahead of their vocation. Personally, I think that our research will provide new theoretical alternative for Korean society and the community of Korean sociologists who are wandering facing the crisis without any soli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I hope that this kind of theoretical research will help us to overcome the deep-seated ideological conflicts of our society and to establish the righteous value system, adequate and necessary for realizing the new future just order. The new sociological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we have discovered will guide us to the new way of thought in interpreting classical sociological tradition for developing boldly original ways of thoughts in tune with the task of our times. This will help us to find a integrated human & social sciences on the basis of a new rational and scientific found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reasons why so many modern sociologists have respected and developed Durkheim’s works as classic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critiques against his sociology for over one century. T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reasons why so many modern sociologists have respected and developed Durkheim’s works as classic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critiques against his sociology for over one century. The methodology of our research is the content analysis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Durkheimian studies collected by my research design. Because of a great many studies accumulated concerning Durkheim in this period, I set limits the period of our research from 2000 to 2020 and check various books published in this period. But still there are many books studied and published by sociologists of various schools, I strategically planned our work in three stages. Firstly, I have chosen three books celebrating the birth and the death of our founder of discipline. They are Emile Durkheim as a founder of modern sociology(2008), Durkheim whom we usually talk about is really Durkheimian? by his own standards?(2011), Emile Durkheim reevaluated by the view of sociologists of late modern society(2018). We reviewed these three books by focusing on key concepts as solidarity, cultural sociology, typology of social relations. And then we have explored the some new areas of sociology such as economic sociology, political sociology inherited from the Durkheimian sociological tradition. Secondly, among various articles edited by three books mentioned above, we have chosen only two important articles of Raymond Boudon to clarify his theoretical positions vis à vis cultural sociology of Jeffrey Alexander and the other dominant positions in interpreting The Elementary forms of religious life. Finally we have explored the Raymond Boudon’s sociological theory-theory of ordinary rationality- from the view of 21st contemporary sociology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ways of synthesizing the various classical sociologists such as Tocqueville, Durkheim, Weber, Simmel, and Adam Smith. In this research, we specially paid attention to his innovative and original way of interpreting the Durkheimian sociology on the basis of his overall synthesis of the various classical sociologies. And then we have observed him to elaborate his own theory of ordinary rationality as a master scholar of this domain. As a result of our research, we have confirmed that Durkheim and Boudon are sharing the same spirit of vocation of sociology and professionalism in seeking their own ways of sociology for the new academic frontier areas. This spirit consists in elaboration of new theoretical problematics in tune with their times, necessary for resolving the problems of ideological conflicts and for establishing righteous value system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In this research we have confirmed the reasons why Boudon and Durkheim could become master scholars in their times in their own way. It’s because of their spirit for pioneering the new social scientific problematics to resolve the problems of their times. I finally reconfirm the scholar spirit and professionalism in their adventurous and persevering works for creating new theoretical problematics against various challenges ahead of their vocation. Personally, I think that our research will provide new theoretical alternative for Korean society and the community of Korean sociologists who are wandering facing the crisis without any soli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s. I hope that this kind of theoretical research will help us to overcome the deep-seated ideological conflicts of our society and to establish the righteous value system, adequate and necessary for realizing the new future just order. The new sociological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we have discovered will guide us to the new way of thought in interpreting classical sociological tradition for developing boldly original ways of thoughts in tune with the task of our times. This will help us to find a integrated human & social sciences on the basis of a new rational and scientific found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문홍, "현대사회학과 한국사회학의 위기" 도서출판 길 2008

      2 민문홍, "한국 사회의 이념적 정체성과 자유민주주의 : 사회 통합을 위한 자유민주주의 이념의 재구성" 한국사회이론학회 (42) : 241-273, 2012

      3 민문홍, "프랑스 제3공화정 당시의 이념갈등과 사회통합 - 뒤르케임의 공화주의 이념과 사회학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5 (15): 73-107, 2012

      4 민문홍, "창의사회와 자유민주주의의 이념적 기초 - 레이몽 부동의 사회학을 중심으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4

      5 박선웅, "제프리 알렉산더의 문화사회학" 한국문화사회학회 4 (4): 73-113, 2008

      6 민문홍, "자유민주주의의 이념적 기초와 인문사회학의 역할: 한국 사회의 이념갈등 극복을 위한 사회학적 시론" 한국사회이론학회 (39) : 189-224, 2011

      7 이재혁, "오늘의 사회이론가들" 한울 256-290, 2015

      8 민문홍,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아카넷 2001

      9 김덕영, "에밀 뒤르케임 : 사회실재론" 도서출판 길 2019

      10 민문홍, "사회학과 도덕과학" 민영사 1994

      1 민문홍, "현대사회학과 한국사회학의 위기" 도서출판 길 2008

      2 민문홍, "한국 사회의 이념적 정체성과 자유민주주의 : 사회 통합을 위한 자유민주주의 이념의 재구성" 한국사회이론학회 (42) : 241-273, 2012

      3 민문홍, "프랑스 제3공화정 당시의 이념갈등과 사회통합 - 뒤르케임의 공화주의 이념과 사회학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5 (15): 73-107, 2012

      4 민문홍, "창의사회와 자유민주주의의 이념적 기초 - 레이몽 부동의 사회학을 중심으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4

      5 박선웅, "제프리 알렉산더의 문화사회학" 한국문화사회학회 4 (4): 73-113, 2008

      6 민문홍, "자유민주주의의 이념적 기초와 인문사회학의 역할: 한국 사회의 이념갈등 극복을 위한 사회학적 시론" 한국사회이론학회 (39) : 189-224, 2011

      7 이재혁, "오늘의 사회이론가들" 한울 256-290, 2015

      8 민문홍,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아카넷 2001

      9 김덕영, "에밀 뒤르케임 : 사회실재론" 도서출판 길 2019

      10 민문홍, "사회학과 도덕과학" 민영사 1994

      11 민문홍, "사회분업론(De La Division du Travail Social)" 아카넷 2012

      12 이황직, "민주주의의 탄생 : 왜 지금 다시 토크빌을 읽는가" 아카넷 2018

      13 스미스, 필립, "문화이론" 이학사 2008

      14 우스나우 들, "문화분석" 한울아카데미 2009

      15 김덕영, "막스 베버 : 통합과학적 인식의 패러다임을 찾아서" 도서출판 길 2012

      16 민문홍, "레이몽 부동의 ‘일상적 합리성이론’에 관한 시론" 한국이론사회학회 (25) : 189-216, 2014

      17 민문홍, "레이몽 부동과 자유주의" 38 (38): 43-78, 2008

      18 최종렬,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 : 이론과 방법론" 이학사 2007

      19 최종렬, "뒤르케임의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에 대한 담론이론적 해석-신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을 넘어-" 한국사회학회 38 (38): 1-31, 2004

      20 한국사회이론학회, "뒤르케임을 다시 생각한다" 동아시아 2008

      21 박영신, "뒤르케임을 다시 생각한다" 동아시아 16-45, 2008

      22 민문홍, "뒤르케임 탄생 150주년에 다시 읽는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21세기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뒤르케임 독해가 필요한 10가지 이유" 한국사회이론학회 (34) : 83-121, 2008

      23 최종렬, "뒤르케임 전통에서 본 신자유주의와 문화" 한국사회이론학회 (34) : 189-230, 2008

      24 민문홍, "뒤르케임 문화사회학의 지평과 과제 - 한국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회학회 1 (1): 19-54, 2006

      25 이황직, "교양에서 시민으로-뒤르케임 교육론의 함의" 한국사회이론학회 (34) : 231-258, 2008

      26 박영신, "‘민주공화정’의 표상과 공공 미덕 : 3․1운동 100돌 새김" 한국사회이론학회 (56) : 1-28, 2019

      27 Fournier, Marcel, "Émile Durkheim : 1858-1917" Fayard 2007

      28 Boudon, R., "Tocqueville Aujourd’hui" Odile Jacob 2005

      29 Smith, A.,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Liberty Classics 1976

      30 Parsons, T.,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 The Free Press 1939

      31 Langlois, Simon, "The PUF Sociologies Series: A Major source of Scientific Knowledge in Contemporary Sociology" 261-282, 2009

      32 Rorty, R., "The Future of Academic Freedom" Chicago University Press 21-41, 1996

      33 Fields, Karen E., "The Cambridge Companion to Durkhei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0-180, 2005

      34 Jones, R. Alun, "The Cambridge Companion to Durkheim" Cambridge University Press 80-100, 2005

      35 Alexander, Jeffrey C., "The Cambridge Companion To Durkhei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6 Durkheim, E., "Textes 1권-3권" Editions Minuit 1975

      37 Durkheim, E., "Sociologie et Philosophie" P. U. F. 1974

      38 Reynaud, Jean-Daniel, "Sociologie des conflicts du travail" P. U. F. 1982

      39 Paugam, Serge, "Repenser La Solidarité" P.U.F. 2011

      40 Boudon, R., "Renouveller La Démocratie" Odile Jacob 2006

      41 Cherkaoui, Mohamed, "Raymond Boudon. A Life in Sociology - Essays in Honour of Raymond Boudon, 1권-4권" Bardwell Press 2009

      42 Schnapper, Dominique, "Qu’est-ce que l’intégration?" Gallimard 2007

      43 Coenen-Huther, J., "Quel avenir pour la th‰orie sociologique?" L’Harmattan 2015

      44 Durkheim, E., "Pragmatisme et sociologie, préface de A. Cuvillier" J. Vrin 1955

      45 Alexander, Jeffrey C., "Neofunctionalism and After" Blackwell 1998

      46 Nicolet, Claude, "L’Idée républicaine en France(1789-1924)" Gallimard 1982

      47 Birnbaum, Pierre, "L’Etat durkheimien fait de la résistance" P.U.F. 217-225, 2018

      48 Durkheim, E., "L’Education Morale" F. Alcan 1925

      49 Besnard, Philippe, "L’Anomie" P. U. F. 1987

      50 Boudon, R., "L’Analyse mathématique des faits sociaux" Plon 1967

      51 Boudon, R., "L’Analyse empirique de la causalité" Mouton 1966

      52 Durkheim, E., "Leçons de Sociologie: Physique Des Moeurs et du Droit, Georges Davy" P. U. F. 1959

      53 Aron, Raymond, "Les Étapes de la pens‰e sociologique" Gallimard 1983

      54 Simmel, Georg, "Les problémes de la philosophie de l’histoire" P.U.F. 1984

      55 L’Année Sociologique, "Les formes de la vie religieuse, un siécle aprés" 62 (62): 2012

      56 Durkheim, E., "Les Régles de La Méthode Sociologique" F. Alcan 1895

      57 Durkheim, E., "Les Formes Elementaires de La Vie Religieuse" F. Alcan 1912

      58 Policar, Alain, "Le libéralisme politique et son avenir" CNRS Editions 2012

      59 Durkheim, E., "Le Suicide, Paris, F. Alcan" PUF 1981

      60 Borlandi, M, "Le Suicide un siécle aprés Durkheim" P. U. F. 2000

      61 Boudon, R., "Le Sens des Valeurs" P.U.F. 1999

      62 Weber, Max, "Le Savant et Le politique (Wissenschaft als Beruf), Raymond Aron (서문)" Union Générale d’Editions 1959

      63 Boudon, R., "Le Rouet de Montaigne" Hermann 2013

      64 Spitz, Jean-Fabien, "Le Moment Républicain en France" Gallimard 2005

      65 Bernstein, Serge, "Le Modéle républicain" P. U. F. 1992

      66 Marcel, Jean-Christophe, "Le Durkheimisme Dans L’Entre-Deux-Guerres" P. U. F. 2002

      67 Boudon, R., "La rationalité" P.U.F. 2012

      68 Boudon, R., "La nature de la religion selon Durkheim" Fut-il Durkheimien 145-160, 2011

      69 Bera, Mathieu, "La critique de Durkheim dans quelque ouvrages d’introduction à la Sociologie" 4 (4): 45-55, 2014

      70 Boudon R., "La crise de la sociologie" Librairie Droz 1972

      71 Boudon, R., "La Sociologie comme science" La Découverte 2010

      72 Boudon, R., "La Sociologie cognitive" Edition de La Maison des Sciences de l’homme 43-74, 2011

      73 Min, Moon-Hong, "La Sociologie Durkheimienne Face Au Socialisme, Au Syndicalisme et Au Catholicisme Social" 소르본 대학 (Paris IV 대학) 1988

      74 Durkheim, E., "La Science Sociale et L'Action, J.-C. Filloux" P. U. F. 1970

      75 민문홍, "La Place du Desordre" 한길사 2011

      76 Berthelot, J.-M., "La Place des Régles dans la sociologie française contemporaine (1945-1995)" La Sociologie et Sa Methode, Borlandi 373-400, 1995

      77 Boudon R., "La Logique du Social" Hachette 1979

      78 Boudon, R., "La Comptence Morale du Peuple" Fondation Pour L'Innovation Politique 2010

      79 Bourricaud, F., "L'individualisme institutionnel" P. U. F. 1977

      80 Aron, Raymond, "Histoire et Politique" Commentaire Julliard 1985

      81 Cuin, C. -H., "Histoire de la sociologie" La Déouverte 2017

      82 Coleman, J.,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83 Boudon, R., "Etudes sur Les Sociologues Classiques II" P.U.F. 2000

      84 Boudon, R., "Etudes sur Les Sociologues Classiques" P.U.F. 1998

      85 Crozier, Michel, "Etat modeste, Etat moderne" Fayard 1987

      86 Boudon, R., "Essais sur la théorie générale de la rationalité" P. U. F. 2007

      87 Durkheim, E., "Emile Durkheim on Morallity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Press 1973

      88 LaCapra, Dominique, "Emile Durkheim : Sociologist and Philosopher" Cornell University Press 1972

      89 Lukes, S., "Emile Durkheim : His Life and Work" Harper & Row Publishers 1973

      90 Sintomer, Yves, "Emile Durkheim : Entre républicanisme et démocratie délibérative" 2 (2): 405-416, 2011

      91 Boudon, R., "Durkheim: L’nstitution de La Sociologie" P. U. F. 151-171, 2008

      92 Boudon, R., "Durkheim: Fut-il Durkheimien?" Armand Colin 2011

      93 Abott, A., "Durkheim, acteur moral" P.U.F. 125-145, 2018

      94 Raynaud, Philippe, "Durkheim fut-il Durkheimien?" 173-183, 2011

      95 Filloux, Jean-Claude, "Durkheim et le socialisme" Droz 1977

      96 Boudon R., "Durkheim et Weber: Vers la fin des malentendus ?" L’Harmattan 1994

      97 Badie, Bertrand, "Durkheim et L’Avènement d’une Sociologie des Relations Internationles" P. U. F. 259-275, 2018

      98 Cuin, C. -H, "Durkheim d’un siécle à l’autre : Lectures actuelles des r‰gles de la méthode sociologique" P. U. F. 1997

      99 Weber, Florence, "Durkheim aujourd’hui" P. U. F. 163-187, 2018

      100 Lallement, Michel, "Durkheim aujourd’hui" P. U. F. 67-83, 2018

      101 Karsenti, B., "Durkheim aujourd’hui" P. U. F. 295-307, 2018

      102 Fournier, Marcel, "Durkheim aujourd’hui" P. U. F. 21-43, 2018

      103 Fleury, Cynthia, "Durkheim aujourd’hui" P. U. F. 227-239, 2018

      104 Fassin, Didier, "Durkheim aujourd’hui" P.U.F. 147-161, 2018

      105 Dubet, F., "Durkheim aujourd’hui" P. U. F. 47-66, 2018

      106 Chazel, F., "Durkheim aujourd’hui" P. U. F. 331-355, 2018

      107 Steiner, P., "Durkheim aujourd’hui" P. U. F. 279-293, 2018

      108 Paugam, Serge, "Durkheim aujourd’hui" P. U. F. 189-213, 2018

      109 Muchielli, Laurent, "Durkheim aujourd’hui" P. U. F. 85-99, 2018

      110 Cuin, C. -H, "Durkheim aujourd’hui" P. U. F. 101-121, 2018

      111 Cuin, C. -H, "Durkheim aujourd’hui" P.U.F. 1-20, 2018

      112 Cuin, C. -H, "Durkheim aujourd’hui" P.U.F. 2018

      113 Bellah, R. N., "Durkheim and History" 24 (24): 447-461, 1959

      114 Pickering, W. S. F., "Durkheim On Religion" Routledge & K. Paul 1975

      115 Valade, B., "Durkheim : L'Iinstitution de La Sociologie" P. U. F. 2008

      116 Dubet, F., "Durkheim : 100 ans aprés" 9 (9): 291-303, 2017

      117 Besnard, Philippe, "Division du travail et lien social : la thése de Durkheim un siéle aprés" P. U. F. 1993

      118 Boudon, R., "Dictionnaite critique de la sociologie" P. U. F. 1982

      119 Boudon, R., "Croire et Savoir" P.U.F. 2012

      120 Coenen-Huther, Jacques, "Comprendre Durkheim" Armand Colin 2010

      121 Morin, Jean-Michel, "Boudon : Un Sociologue Classique" L’Harmattan 2006

      122 Hamlin, C. Lins, "Beyond Relativism: Raymond Boudon, cognitive rationality and critical realism" Routledge 2002

      123 Geertz, C, "Anti anti-relativism" 86 (86): 263-278, 1984

      124 민문홍, "21세기에 다시 보는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한국연구재단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ocial Theory -> Korean Journal of Social Theor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82 1.401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