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인식론의 의의와 한계 = 출현 배경과 두 중심 학자의 연구 방향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통적 인식론에서는 개인적 지식의 형성이나 변화를 논의해 왔다. 하지만 과학기술이 발달한 오늘날에 있어서는 지식의 형성조차도 사회화되어 있어서 사회적 인식론이라는 이름 아래 연구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사회적 인식론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근현대의 인식론의 전개 과정에서도 학자들의 사상에 사회적 인식론적 요소가 들어 있다. 더구나 1980년대 이후에는 사회적 인식론이라는 이름 하에 본격적인 연구가 나타났는데, 두 중심 인물은 Goldman과 Fuller이다. 전자는 전통적인 인식론에서 분석철학적으로 인지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인식론의 논의 영역의 확장을 시도한다. 후자는 과학사와 과학사회학에서 제도화된 과학을 이해하기 위한 사회적 구성주의라는 강력한 프로그램의 입장에 서서 과학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양자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도 있으나, 관점이 상이하게 다른 부분들도 있다. 이들의 논의에는 지식 또는 담론 형성의 사회학적 기원이나 권력과의 관련성, 지식 형성시 발생되는 불일치를 해결할 필요성, 권위로부터 얻는 지식에 대한 평가, 증언의 신뢰성 유무, 지식과 관련된 경제적 가치 향유와 분배, 과학의 위상에 대한 상이한 이해, 과학적 지식을 일반 대중에게 이해시키기 위한 과학의 수사학이나 커뮤니케이션 등 많은 주제들이 들어 있다. 이 글에서는 Goldman과 Fuller의 기본적인 사상을 통해 사회적 인식론의 의의와 한계점을 고찰한다.
      번역하기

      전통적 인식론에서는 개인적 지식의 형성이나 변화를 논의해 왔다. 하지만 과학기술이 발달한 오늘날에 있어서는 지식의 형성조차도 사회화되어 있어서 사회적 인식론이라는 이름 아래 연...

      전통적 인식론에서는 개인적 지식의 형성이나 변화를 논의해 왔다. 하지만 과학기술이 발달한 오늘날에 있어서는 지식의 형성조차도 사회화되어 있어서 사회적 인식론이라는 이름 아래 연구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사회적 인식론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근현대의 인식론의 전개 과정에서도 학자들의 사상에 사회적 인식론적 요소가 들어 있다. 더구나 1980년대 이후에는 사회적 인식론이라는 이름 하에 본격적인 연구가 나타났는데, 두 중심 인물은 Goldman과 Fuller이다. 전자는 전통적인 인식론에서 분석철학적으로 인지과학적 연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인식론의 논의 영역의 확장을 시도한다. 후자는 과학사와 과학사회학에서 제도화된 과학을 이해하기 위한 사회적 구성주의라는 강력한 프로그램의 입장에 서서 과학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양자는 서로 중첩되는 부분도 있으나, 관점이 상이하게 다른 부분들도 있다. 이들의 논의에는 지식 또는 담론 형성의 사회학적 기원이나 권력과의 관련성, 지식 형성시 발생되는 불일치를 해결할 필요성, 권위로부터 얻는 지식에 대한 평가, 증언의 신뢰성 유무, 지식과 관련된 경제적 가치 향유와 분배, 과학의 위상에 대한 상이한 이해, 과학적 지식을 일반 대중에게 이해시키기 위한 과학의 수사학이나 커뮤니케이션 등 많은 주제들이 들어 있다. 이 글에서는 Goldman과 Fuller의 기본적인 사상을 통해 사회적 인식론의 의의와 한계점을 고찰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modern philosophers like Locke have discussed classical epistemology, their discussions partially include some sources of social epistemology. Since mid-1980, A. Goldman and S. Fuller have developed social epistemology drastically and enthusiastically. Goldman has various topics of social epistemology by using some consequences of cognitive science from the point-of-view called veritistic epistemology, which is included in a king of classical epistemology. Fuller has propounded social epistemology following the tenor of social constructions on the basis of science-technology-studies. Parts of their achievements of studying social epistemology are introduced and explicated. And some productive points for social epistemology are suggested by me. I discuss those topics by decision-making methods and the principle presented by R. Nozick’s Maximizing Decion-Value.
      번역하기

      Although modern philosophers like Locke have discussed classical epistemology, their discussions partially include some sources of social epistemology. Since mid-1980, A. Goldman and S. Fuller have developed social epistemology drastically and enthusi...

      Although modern philosophers like Locke have discussed classical epistemology, their discussions partially include some sources of social epistemology. Since mid-1980, A. Goldman and S. Fuller have developed social epistemology drastically and enthusiastically. Goldman has various topics of social epistemology by using some consequences of cognitive science from the point-of-view called veritistic epistemology, which is included in a king of classical epistemology. Fuller has propounded social epistemology following the tenor of social constructions on the basis of science-technology-studies. Parts of their achievements of studying social epistemology are introduced and explicated. And some productive points for social epistemology are suggested by me. I discuss those topics by decision-making methods and the principle presented by R. Nozick’s Maximizing Decion-Valu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SE의 출현과 1960년대까지의 전개 개요
      • 3. Goldman의 주요 견해
      • 4. Fuller의 주요 견해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말
      • 2. SE의 출현과 1960년대까지의 전개 개요
      • 3. Goldman의 주요 견해
      • 4. Fuller의 주요 견해
      • 5.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