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식물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2012년전국 9개 도시에서 유통되고 있는 인삼과 도라지에 대하여전체 112점의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122종의 농약에 대해 GC-EC...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487666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18(6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약용식물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2012년전국 9개 도시에서 유통되고 있는 인삼과 도라지에 대하여전체 112점의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122종의 농약에 대해 GC-EC...
약용식물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2012년전국 9개 도시에서 유통되고 있는 인삼과 도라지에 대하여전체 112점의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122종의 농약에 대해 GC-ECD, GC-NPD 및 HPLC-UVD를이용한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법으로 잔류농약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12점의 시료에서 7종의 농약이 검출되어10.7% 검출률을 보였다. 농약 성분별 검출 빈도는procymidone, kresoxim-methyl, endosulfan, cypermethrin,tralomethrin, tetraconazole, chlorfluazuron 순이었다. 농약이 검출된 시료 중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시료는 2점으로 1.8% 검출률을 보였으며, 도라지 1점에서 tetraconazole,인삼 1점에서 cypermethrin이 검출되었다. 해당 작물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품목고시 되어있지 않은 시료는 10점에서 5종의 농약이 검출되어 8.9%검출률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검출된 농약이 해당 약용식물의 섭취로 인체에 유입될 일일섭취허용량 대비 일일섭취추정량은 최저 0.006%에서 최고 0.333%로 낮은 %ADI값을 보여 인체 위해도는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residual pesticides in ginseng and balloon flower roots and to assess their risk to human health. All of 112 samples consisted of ginseng and balloon roots were purchased from traditional domestic markets and super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residual pesticides in ginseng and balloon flower roots and to assess their risk to human health. All of 112 samples consisted of ginseng and balloon roots were purchased from traditional domestic markets and supermarkets in nine provinces of Korea in 2012. Multi-residue analysis of 122 pesticides was conducted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electron capture detector, gas chromatography-nitrogen/phosphorus detector,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even pesticides were detected in 12 root samples and the detection rate was 10.7%. The detected twelve root samples were 10 ginseng root samples and 2 balloon root samples. Pesticides detected in root samples were procymidone, kresoxim-methyl, endosulfan,cypermethrin, tralomethrin, tetraconazole and chlorfluazuron. Among them, two pesticides as tetraconazole in a balloon flower root and cypermethrin in a ginseng root exceeded the recommended maximum residue limit set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ive pesticides detected from 10 root samples were identified as unregistered pesticides in Korea. In order to do risk assessment with Korean medicinal plant consumption, estimated daily intake of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to acceptable daily intake, referring to %ADI values. The range of %ADI values was from 0.006% to 0.333%. Taken together, it demonstrates the pesticides found in the two root samples were below the safety margin, indicating no effect on human health.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난영, "한방차 원료의 잔류농약 조사연구" 한국농약과학회 16 (16): 28-34, 2012
2 김효영, "유통 중인 관행 및 인증 농산물 중 곡류와 엽채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한국환경농학회 30 (30): 440-445, 2011
3 이승은, "약용식물자원 추출물의 항염증활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217-226, 2011
4 승현정, "서울특별시 강북지역 유통 농산물들에 대한 농약잔류실태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5 (25): 106-117, 2010
5 최영희, "서울지역 유통 한약재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한국농약과학회 15 (15): 335-349, 2011
6 한성희, "서울 북부지역 유통 농산물의 농약 잔류실태" 한국농약과학회 16 (16): 109-120, 2012
7 한국탁, "대전시 노은 도매시장 채소류의 농약 잔류 실태 및 식이섭취량 추정" 한국환경농학회 22 (22): 6-214, 2003
8 황정인, "다공성 규조토 컬럼을 이용한 한약재 중 잔류농약 분석법 개선" 한국농약과학회 15 (15): 140-148, 2011
9 이미경, "남부지역 시설채소 재배 농가의 농약 사용실태" 한국농약과학회 9 (9): 391-400, 2005
10 윤상현, "국내 유통 농산물의 농약 잔류실태 모니터링" 한국식품과학회 39 (39): 237-245, 2007
1 김난영, "한방차 원료의 잔류농약 조사연구" 한국농약과학회 16 (16): 28-34, 2012
2 김효영, "유통 중인 관행 및 인증 농산물 중 곡류와 엽채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한국환경농학회 30 (30): 440-445, 2011
3 이승은, "약용식물자원 추출물의 항염증활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9 (19): 217-226, 2011
4 승현정, "서울특별시 강북지역 유통 농산물들에 대한 농약잔류실태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5 (25): 106-117, 2010
5 최영희, "서울지역 유통 한약재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한국농약과학회 15 (15): 335-349, 2011
6 한성희, "서울 북부지역 유통 농산물의 농약 잔류실태" 한국농약과학회 16 (16): 109-120, 2012
7 한국탁, "대전시 노은 도매시장 채소류의 농약 잔류 실태 및 식이섭취량 추정" 한국환경농학회 22 (22): 6-214, 2003
8 황정인, "다공성 규조토 컬럼을 이용한 한약재 중 잔류농약 분석법 개선" 한국농약과학회 15 (15): 140-148, 2011
9 이미경, "남부지역 시설채소 재배 농가의 농약 사용실태" 한국농약과학회 9 (9): 391-400, 2005
10 윤상현, "국내 유통 농산물의 농약 잔류실태 모니터링" 한국식품과학회 39 (39): 237-245, 2007
11 안지운, "국내 유통 농산물 중 과채류와 근채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한국환경농학회 31 (31): 164-169, 2012
12 Chen, Y., "Multiresidue pesticide analysis of dried botanical dietary supplements using an automated dispersive SPE cleanup for QuEChERS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60 (60): 9991-9999, 2012
13 Matthews, H.B., "Medicinal herbs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needs" 107 (107): 773-778, 1999
14 Hou, Z.G., "Distribution of 19 organochlorinated pesticides residues in ginseng and soils in Jilin Province" 10 (10): 19764-19770, 2011
15 Shen, L., "Atmospheric distribution and long-range transport behavior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north America" 39 (39): 409-420, 2005
16 Yang, Y.S., "A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circulated in Gwangju" 21 (21): 52-59, 2006
17 Kim, J.P., "A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of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Gwangju area" 20 (20): 165-174, 2005
18 권순목, "2006~2008년 부산지역 농산물도매시장 경매 전 농산물의 잔류농약 조사" 한국농약과학회 14 (14): 86-94, 2010
시판 유통 중인 고춧가루의 미생물 및 이화학적 품질 모니터링
Apoptotic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of Tongcao in HEp-2 Human Cervical Cancer Cells
식품원료로 사용금지 대상인 기름치 (기름갈치꼬치 및 흑갈치꼬치) 판별법 개발
Poly (ethylene naphthalate) (PEN 수지)의 2,6-디메틸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 (2,6-NDC)과 2,6-나프탈렌디카복실산(2,6-NDA) 분석법 확립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7-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ry Of Food Hygiene And Safety -> The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9 | 0.726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