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중학교 2학년 학생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070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이 제공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데이터 가운데
      중학교 2학년 학생 2,03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사회적
      위축, 스마트폰 과의존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 3단계 매개효과 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여가추구형 스
      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
      년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의 부분매개효과
      가 나타나 부모의 부정적 양육 태도가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수준을 높이며, 이로
      인해 여가 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증가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론: 청소년들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을 위해서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를
      긍정적 양육태도로 전환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며, 사회적 위축을 완화할 수 있는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청소...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이 제공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데이터 가운데
      중학교 2학년 학생 2,03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사회적
      위축, 스마트폰 과의존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 3단계 매개효과 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여가추구형 스
      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
      년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의 부분매개효과
      가 나타나 부모의 부정적 양육 태도가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수준을 높이며, 이로
      인해 여가 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증가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론: 청소년들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을 위해서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를
      긍정적 양육태도로 전환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며, 사회적 위축을 완화할 수 있는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2,039 2nd grade students extracted from the 2018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Reliability was assessed using measurement tools for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ee-stage mediat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ignificantly affect adolescents'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with higher level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leading to increased levels of overdependence. Second, in the effect of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is observed. This suggests that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increase adolescents' levels of social withdrawal, which in turn
      leads to a higher level of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Conclusion: To prevent adolescents'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it is important to
      help parents shift from negative to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o implement active
      interventions that can alleviate social withdrawal. Through these measures, the issu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2,039 2nd grade students extracted from the 2018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Reliability was assessed using measurement tools for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ee-stage mediat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ignificantly affect adolescents'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with higher level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leading to increased levels of overdependence. Second, in the effect of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is observed. This suggests that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increase adolescents' levels of social withdrawal, which in turn
      leads to a higher level of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Conclusion: To prevent adolescents'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it is important to
      help parents shift from negative to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o implement active
      interventions that can alleviate social withdrawal. Through these measures, the issu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