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문화교류를 위해서 전시컨벤션센터의 발전전략을 연구하 는 것이다. 21세기 글로컬 시대의 도래하면서 전시컨벤션센터는 빠른 성장을 하고 있 다. 이와 같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5853
강준수 (안양대학교)
2015
Korean
문화교류 ; 글로컬 시대 ; 컨벤션산업 ; 문화정체성 ; Cultural Exchange ; Glocal Era ; Convention Industry ; Cultural Identity
KCI등재
학술저널
71-91(21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문화교류를 위해서 전시컨벤션센터의 발전전략을 연구하 는 것이다. 21세기 글로컬 시대의 도래하면서 전시컨벤션센터는 빠른 성장을 하고 있 다. 이와 같이, ‘...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문화교류를 위해서 전시컨벤션센터의 발전전략을 연구하 는 것이다. 21세기 글로컬 시대의 도래하면서 전시컨벤션센터는 빠른 성장을 하고 있 다. 이와 같이, ‘컨벤션산업’은 문화교류와 관련하여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문화정체성이 다양해지고 세계화함으로써 문화산업 발전을 위해서 그것에 대한 개념정립이 요구된다. 또한 문화교류는 특정한 나라의 문화정체성을 알릴 수 있 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본 연구는 전시컨벤션센터를 ‘글로컬 행사 장소’로서 파악하 고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전시컨벤션센터는 국제문화, 지역문화, 지역정체성을 위해서 문화교류의 중심지가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문화의 보편화만큼이나 전통은 글 로컬 시대의 중요한 핵심들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특히, 21세기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서, 인적교류와 상관없이 세계화 과정은 진행 이 된다. 과거의 문화교류가 지리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제한과 타문화와의 교류에 대한 저항이라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었다면, 원거리 개념이 사라진 현재는 문화 간 교 류가 단시간에 대량으로 확산될 수 있는 상황이다. 문화의 세계화는 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하게 하는 동시에 문화적 국경의 소멸로 인한 지역 정체성과 지역 고유의 문화가 사라지면서 문화정체성의 위기를 초래시키고 있다. 세계화의 결과는 전시컨벤션센터도 더 이상 일방적 조건으로 운영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왜냐하면, 세계화는 지역 문 화 정체성의 상실을 야기했고, 표준화와 획일성의 문제를 발생시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전시컨벤션센터의 지향점은 지역 정체성이 가미된 전시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시컨벤션산업은 개최지를 중심으로 복합문화공간을 형성시키면서 문화, 전시, 예술 등과 같이 다양한 문화산업의 발전을 촉진시킬 수 있어야 한다. 외국인 참관객들과 지 역주민이 함께 문화를 교류하고 소통하는 가운데, 전시컨벤션센터는 국제친선과 국제 교류를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development strategy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for effective cultural exchange. With the advent of the 21st century glocal era,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make rapid progress. Thus, '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development strategy of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for effective cultural exchange. With the advent of the 21st century glocal era,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make rapid progress. Thus, 'Convention Industry' has much significance with regard to the cultural exchange. Particularly, the concept establishment of cultural identity is being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industry as it is diversifying and globalizing. Also, cultural exchange is the most efficient means to inform the cultural identity of a certain country. This study considers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as the 'glocal event place.' Most of all, the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s must be the center of cultural exchange for international culture, local culture and identity. Because the originality as well as cultural generaliz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s in the era of glocaliz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규, "혼종문화론-지구화 시대의 문화연구와 로컬의 문화적 상상력" 소명출판 2013
2 강형기, "향부론" 비봉출판사 2001
3 인권환, "한국전통문화의 현대적 모색" 태학사 2003
4 강내희, "한국의 문화변동과 문화정치--문화사회를 위한 비판적 문화연구" 문화과학사 2003
5 김원용, "한국미의 탐구" 열화당 1996
6 류기환, "컨벤션산업론" 석학당 2004
7 권순명,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 한국기록학회 21 (21): 41-84, 2009
8 Friedman, J., "지구화시대의 문화정체성" 당대 2009
9 류서정, "우리나라 국제회의의 발전전략에 관한 고찰" 16 : 111-128, 2001
10 노명환, "역사를 통해 본 유럽의 서로 다른 문화 읽기" 신서원 2011
1 김용규, "혼종문화론-지구화 시대의 문화연구와 로컬의 문화적 상상력" 소명출판 2013
2 강형기, "향부론" 비봉출판사 2001
3 인권환, "한국전통문화의 현대적 모색" 태학사 2003
4 강내희, "한국의 문화변동과 문화정치--문화사회를 위한 비판적 문화연구" 문화과학사 2003
5 김원용, "한국미의 탐구" 열화당 1996
6 류기환, "컨벤션산업론" 석학당 2004
7 권순명,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 한국기록학회 21 (21): 41-84, 2009
8 Friedman, J., "지구화시대의 문화정체성" 당대 2009
9 류서정, "우리나라 국제회의의 발전전략에 관한 고찰" 16 : 111-128, 2001
10 노명환, "역사를 통해 본 유럽의 서로 다른 문화 읽기" 신서원 2011
11 김은진, "엔터테인먼트가 여행전시박람회 관람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무역전시학회 9 (9): 67-83, 2014
12 성경륭, "세계화의 딜레마" 35 (35): 29-57, 2001
13 구범모, "세계문화와 민족문화의 발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14 Anderson, B., "상상의 공동체" 나남출판 2002
15 박치완, "문화콘텐츠와 문화코드"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1
16 양건열,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2
17 원승룡, "문화이론과 문화읽기" 서광사 2001
18 김문환, "문화외교론" 소학사 2004
19 조부근, "문화선진국의 문화정책과 문화외교, 어디로 가고 있는가: 세계화 시대의 국가이익과 문화외교" 민속원 2007
20 유태용, "문화란 무엇인가" 학연문화사 1999
21 Fiske, J., "문화, 일상, 대중" 한나래 1996
22 구미정, "무역전시회에서의 공간디자인을 위한 개념적 고찰" 한국무역전시학회 9 (9): 25-45, 2014
23 김봉석, "무역전시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1 (1): 27-48, 2006
24 류지석, "로컬리톨로지를 위한 시론―로컬, 로컬리티, 로컬리톨로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3) : 135-158, 2009
25 박용래, "대도시정부의 국제교류실태와 활성화 방안" 한국학술정보 2007
26 Wolf, M., "Why Globalization Works" Yale University Press 2004
27 Geddes, P., "The Evolution of Cities" Williams & Norgate 1960
28 이태숙, "MICE산업 발전을 위한 국내 국제기구유치 환경 분석 : 성공, 실패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무역전시학회 9 (9): 87-108, 2014
29 김철원, "MICE Serviceology에 대한 탐색적 패러다임 연구" 한국무역전시학회 10 (10): 1-20, 2015
30 Cox, R. J., "Documenting Localities: a Practical Model for American Archivist and Manuscript Curators" Scarecrow Press 1996
31 Hall, S., "Cultural Remix" Lawrence & Wishart 1995
32 신현종, "20세기형 세계화와 21세기형 세계화의 비교 분석" 20 (20): 79-100, 2001
33 윤승현, "2013년 국고지원 전시회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무역전시학회 9 (9): 109-128, 2014
34 Hall, S., "'Encoding, Decoding,' Culture, Media, Language" University of Birmingham 107-116, 1980
35 Bhabha, H. K., "'Dissemination: Time, Narrative, and the Margins of the Modern Nation,'Nation and Narration" Routledge 1990
복합용도개발 방식을 적용한 신규 전시컨벤션센터 개발 전략
MICE산업 종사자의 직무역량이 조직의 글로벌화에 미치는 영향 : 해외 업무 경험 조절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8 | 1.78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6 | 1.81 | 1.057 |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