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reud, Sigmund, "쾌락 원리의 저편"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09
2 Eliade, Mircea, "종교형태론" 한길사 1996
3 유성호, "윤리와 실존으로서의 종교의식" 한국문학연구학회 (37) : 97-122, 2009
4 박두진, "여전히 돌은 말이 없다" 신원문화사 1996
5 박두진, "시적 번뇌와 시적 목마름" 신원문화사 1996
6 정기철, "상징, 은유 그리고 이야기" 문예출판사 2004
7 오문석, "박두진의 후기시론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37) : 75-95, 2009
8 김응교, "박두진의 상상력 연구" 박이정 2004
9 박두진, "박두진문학전집 제4권" 범조사 1984
10 신대철, "박두진 연구18 –수석 산지와 탐석 체험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1 : 147-163, 2002
1 Freud, Sigmund, "쾌락 원리의 저편"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09
2 Eliade, Mircea, "종교형태론" 한길사 1996
3 유성호, "윤리와 실존으로서의 종교의식" 한국문학연구학회 (37) : 97-122, 2009
4 박두진, "여전히 돌은 말이 없다" 신원문화사 1996
5 박두진, "시적 번뇌와 시적 목마름" 신원문화사 1996
6 정기철, "상징, 은유 그리고 이야기" 문예출판사 2004
7 오문석, "박두진의 후기시론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37) : 75-95, 2009
8 김응교, "박두진의 상상력 연구" 박이정 2004
9 박두진, "박두진문학전집 제4권" 범조사 1984
10 신대철, "박두진 연구18 –수석 산지와 탐석 체험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1 : 147-163, 2002
11 김성숙, "박두진 수석 시론(水石詩論)의 알레고리적 상상력 분석" 한국문학연구학회 (45) : 405-438, 2011
12 박두진, "문학적 자화상" 도서출판 한글 1994
13 김화영, "문학 상상력의 연구" 문학동네 1998
14 박두진, "돌과의 사랑" 청아출판사 1986
15 Bachelard, Gaston, "대지와 의지의 몽상" 삼성출판사 1982
16 유시욱, "가을절벽" 미래사 1999
17 김준오, "詩論" 삼지원 1982
18 Aristoteles, "詩學" 문예출판사 1988
19 신대철, "朴斗鎭의 水石詩의 근원과 인간의 한계" 2 : 139-149, 1982
20 김승희, "‘수석 시편’에 나타난 프로소포페이아의 시학과 그 양상 - 박두진, 전봉건의 수석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30) : 85-112, 2011
21 Hrushovski, Benjamin, "Poetic Metaphor and Frames of Reference with Examples from Eliot, Rilke, Mayakovsky, Mandelshtam, Pound, Creeley, Amichai, and the New York Times" 5 : 11-13,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