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중화와 복지태도: 임금 근로자의 복지태도에 관한 분석 = Dualization and Welfare Attitude: an Analysis of Welfare Attitudes of Wage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11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이중화 이론에 근거하여 다양한 고용 지위의 차이가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소득의 양극화와 고용의 불안정성의 확대 등 이중화의 추세가 심화되는 조건에서 임금 ...

      이 논문은 이중화 이론에 근거하여 다양한 고용 지위의 차이가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소득의 양극화와 고용의 불안정성의 확대 등 이중화의 추세가 심화되는 조건에서 임금 근로자의 복지태도의 차이가 실제로 발생하는지 조사한다. 이 논문은 2010년 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임금 근로자 개인의 근로소득 수준, 고용관계, 근로계약 기간, 근로시간 형태가 전반적인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그리고 세부 복지제도에 대한 지지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가 제시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복지 확대에 대한 임금 근로자의 광범위한 지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정규직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저소득층, 유기고용의 근로자들이 정규직 근로자가 많은 고소득층, 무기고용의 근로자들에 비해 복지확대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확률이 유의하게 높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셋째, 한국의 노동계급 내부에서 복지정책의 하위 영역에 대한 상이한 태도가 관찰되었다. 특히 고용기간이 정해진 유기고용 근로자의 경우 무기고용 근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업대책과 고용보험에 대한 지지가 높았다. 이는 노동시장의 이중화의 심화에 대응하여 임금 근로자 집단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이해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ifferent welfare attitudes of wage workers who have different employment relations. Based on dualization theory, we examine the differences of welfare attitudes of wage workers in the dualized labor market. While we exp...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ifferent welfare attitudes of wage workers who have different employment relations. Based on dualization theory, we examine the differences of welfare attitudes of wage workers in the dualized labor market. While we explore the 2010 Korean Welfare Panel Data,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income level, employment relation, working time, working contract period, and other social demographic factors. Dependent variables include public support for welfare policies and other related policy issues. This study finds that wage workers generally support the expansion of social expenditure for state welfare. Among them, low income group and temporary workers are more willing to support welfare expansion. In particular, temporary workers are more supportive for the active / passive labor market policy and employment insur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develop relevant policy proposals to tackle the insider-outsider dilemma in a dualized labor marke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순, "한국인의 복지태도: 탈계급성과 비일관성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2 김영순, "한국인의 복지태도 : 비계급성과 비일관성 문제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91) : 211-240, 2011

      3 김신영, "한국인의 복지의식 결정요인 연구: 국가의 공적책임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1 (11): 87-105, 2010

      4 안상훈, "한국의 친복지태도 결정요인과 그 경로구조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16 (16): 163-192, 2009

      5 강남훈, "한국의 빈곤 확대와 노동시장구조" 한울 2011

      6 김윤태, "한국의 복지태도의 정치적 역동성: 탈계급성과 정치적 기회의 재평가" 한국학연구소 (45) : 183-212, 2013

      7 김윤태, "한국의 복지태도와 복지제도: 개별 복지제도에 대한 경제활동인구의 태도" 한국사회과학연구회 (90) : 331-378, 2014

      8 주은선, "한국의 복지인식 지형 - 계층, 복지수요, 공공복지 수급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4) : 203-225, 2007

      9 이성균, "한국사회 복지의식의 특성과 결정요인:국가의 복지책임지지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6 (36): 8-24, 2002

      10 김진욱, "한국 사회보장제도의 확장과 한계: 그 성과와 사각지대의 재조명"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63-93, 2010

      1 김영순, "한국인의 복지태도: 탈계급성과 비일관성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2 김영순, "한국인의 복지태도 : 비계급성과 비일관성 문제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91) : 211-240, 2011

      3 김신영, "한국인의 복지의식 결정요인 연구: 국가의 공적책임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1 (11): 87-105, 2010

      4 안상훈, "한국의 친복지태도 결정요인과 그 경로구조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16 (16): 163-192, 2009

      5 강남훈, "한국의 빈곤 확대와 노동시장구조" 한울 2011

      6 김윤태, "한국의 복지태도의 정치적 역동성: 탈계급성과 정치적 기회의 재평가" 한국학연구소 (45) : 183-212, 2013

      7 김윤태, "한국의 복지태도와 복지제도: 개별 복지제도에 대한 경제활동인구의 태도" 한국사회과학연구회 (90) : 331-378, 2014

      8 주은선, "한국의 복지인식 지형 - 계층, 복지수요, 공공복지 수급경험의 영향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4) : 203-225, 2007

      9 이성균, "한국사회 복지의식의 특성과 결정요인:국가의 복지책임지지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36 (36): 8-24, 2002

      10 김진욱, "한국 사회보장제도의 확장과 한계: 그 성과와 사각지대의 재조명"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63-93, 2010

      11 양재진, "한국 복지국가 성격 논쟁 Ⅱ" 인간과 복지 2009

      12 유범상, "한국 노동운동 리더십의 위기: ‘이기주의자’라는 ‘정치적 낙인’에 관한 논의" 한국노동연구원 2008

      13 김수완, "한국 노동시장과 사회적 보호의 내부자-외부자 균열: 공적연금지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9 (29): 83-103, 2013

      14 정이환, "한국 고용체제론" 후마니타스 2013

      15 선학태, "정치제도와 복지국가 :민주국가들의 비교" 동서문제연구원 24 (24): 191-218, 2012

      16 윤진호, "일의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는가Ⅰ: 한국의 임금결정" 한울 2010

      17 존 슈미트, "선진국의 저임금 노동: 경험과 교훈" 2011

      18 김윤태, "빈곤: 어떻게 싸울 것인가" 한울 2013

      19 김유선,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2013.8) 결과"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3

      20 류진석, "복지태도의 미시적 결정구조와 특성"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79-101, 2004

      21 류만희, "복지정책에 대한 지지도 연구: 복지의식, 계층, 자기이해(self-interest)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191-210, 2009

      22 백정미, "복지인식 구조의 국가간 비교 - 사민주의, 자유주의, 보수주의 복지국가와 한국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319-344, 2008

      23 최 균, "복지의식의 경향과 특징: 이중성" 16 : 223-254, 2000

      24 장귀연, "대기업 노조의 비정규 노동자 배제" 73-96, 2009

      25 이병훈, "노동시장 유연화와 노동복지" 인간과복지 2003

      26 김희자, "계급 ․ 계층이 복지정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변인의 조절효과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0 (20): 35-68, 2013

      27 Svallfors, S, "Worlds of Welfare and Attitudes to Redistribution: A Comparison of Eight Western Nations" 13 (13): 283-304, 1997

      28 Arts, W, "Welfare States, Solidarity and Justice Principles: Does the Type Really Matter" 44 : 283-299, 2001

      29 Myles, J, "Welfare States and Public Opinion" 71 : 495-498, 2006

      30 Hāusermann, S, "Varieties of Dualization? Labor Market Segmentation and Insider-Outsider Divides Across Regi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1 Vis, B, "The Times They Are Changing?: Crisis and the Welfare State" Wiley-Blackwell 2012

      32 Lindvall, J, "The Politics of Purpose" 38 (38): 253-272, 2006

      33 Kitschelt, H, "The Politics of Post-Industrial Welfare States: Adapting Post-War Social Policies to New Social Risks" Routledge 2006

      34 Edlund, J, "The Political Sociology of the Welfare State Institutions, Social Cleavages, and Orientations" Stanford University Press 30-71, 2007

      35 Korpi, W, "The Democratic Class Struggle" Routledge & Kegan Paul 1983

      36 Peng, I, "The Age of Dualization: The Changing Face of Inequality in Deindustrializing Socie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7 Eichhorst, W, "The Age of Dualization: The Changing Face of Inequality in Deindustrializing Societies" Oxford University Press

      38 Emmenegger, P, "The Age of Dualization: The Changing Face of Inequality in Deindustrializing Socie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9 Lindvall, J, "The Age of Dualization: The Changing Face of Inequality in Deindustrializing Societ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40 Rueda, D, "Social Democracy Inside Out: Partisanship and Labor Market Policy in Industrialized Democrac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41 Titmuss, R, "Richard Titmuss, Essays on 'the Welfare State'" George Allen and Unwin 34-55, 1958

      42 Oesch, D, "Redrawing the Class Map: Stratification and Institutions in Germany, Britain, Sweden and Switzerland" Palgrave Macmillan 2006

      43 Streeck, W, "Re-forming Capitalism: Institutional Change in the German Political Ec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44 Bonoli, G, "Public Attitudes to Social Protection and Political Economy Traditions in Western Europe" 2 (2): 431-452, 2000

      45 Blekesaune, M, "Public Attitudes Toward Welfare State Polic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24 Nations" 19 (19): 415-427, 2003

      46 Esping-Andersen, G, "Politics Against Market: The Social Democratic Road to Pow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5

      47 Iversen, T, "Partisan Politics, the Welfare State and Three Worlds of Human Capital Formation" 41 (41): 600-637, 2008

      48 Rehm, P, "Insecure Alliance: Risk, Inequality, and Support for the Welfare State" 106 (106): 386-406, 2012

      49 OECD, "Growing Unequal?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in OECD countries" OECD Publishing 2008

      50 Andress, H-J, "Four Worlds of Welfare State Attitudes? A Comparison of Germany, Norway, and the United States" 17 (17): 337-356, 2001

      51 Hāusermann, S, "Explaining welfare state preferences and insider-outsider divides in dualized societies" 2013

      52 Diamond, P, "European Welfare States After the Crisis: Changing Public Attitudes" Policy Network 2013

      53 Blekesaune, M, "Economic Conditions and Public Attitudes to Welfare Policies" 23 (23): 393-403, 2007

      54 OECD, "Divided We Stand: Why Inequality Keeps Rising" OECD Publishing 2011

      55 Pierson, P, "Dismantling the Welfare State? The Politics of Retrenchment i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56 Svallfors, S, "Class, Attitudes and the Welfare State: Sweden in Comparative Perspective" 38 (38): 119-138, 2004

      57 Park, Alison, "British Social Attitudes: the 30th Report" NatCen Social Research 2013

      58 Gujarati, D. N, "Basic Econometrics" McGraw-Hill 341-386, 2003

      59 Bean, C, "A Comparison of Mass Attitudes Towards the Welfare State in Different Institutional Regimes, 1985-1990" 10 (10): 211-236, 1998

      60 Svallfors, S, "A Bedrock of Support? Trends in Welfare State Attitudes in Sweden, 1981-2000" 45 (45): 806-825, 2011

      61 한국노동연구원, "2010 KLI 해외노동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2 1.61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