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거환경요인이 거주민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지역 애착과 집합적 효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Effects of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tress of Residen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lace Attachment and Collective Efficacy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44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거환경요인과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 간의 관계에서 집단효능감과 지역애착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분석에는 2018년 서울서베이 설문조사를 사용하였으며, 해당 자료를 통해 ...

      본 연구는 주거환경요인과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 간의 관계에서 집단효능감과 지역애착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분석에는 2018년 서울서베이 설문조사를 사용하였으며, 해당 자료를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주거환경요인은 지역애착, 집합적 효능,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은 지역애착의 영향을 받았지만 집합적 효능의 유의미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주거환경요인과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 간의 관계에서 지역애착의 매개효과는 확인되었으나, 집합적 효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주거환경요인 뿐만 아니라 지역애착과 집합적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활동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collective efficacy and place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and individual stress levels. The data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through th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collective efficacy and place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and individual stress levels. The data for the analysis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 Seoul Survey at 2018, which can be found on the web of data. seoul. go. kr. A total 19,846 samples were used for analyz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d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of the satisfa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on place attachment, collective efficacy, and individual stress level. 2) Individual stress level was influenced by place attach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3) there is a partial medication effect of place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and individual stress level. However, the medication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was not significant. The finding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mmunity programs and activities for improving place attachment and collective efficacy were important in order to enhance mental health as well as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