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대학 글쓰기 교육의 의사소통역량 효과성 분석 = Analysis on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in the S University Writing Co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08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paper aims to confirm how the writing courses that is S university requirement classes to students in liberal arts courses affect th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ose courses. In particular, the writing courses are characterized by rather linking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than conducting theory-centered practices. This paper first examines structural uniqueness of the writing courses and oper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in order to figure out the causes that mad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courses. Then, it introduc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diagnostic tools used to investigate their effectiveness, and explores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sequentially. Specifically, the analysis on their effectivenes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asic competency and special competency. At last, this study is concluded by comparing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to find directions and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courses in the future.
      The findings shows that the special competenc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basic one(total average of special competency: 2.80/ total average of basic competency; 2.14). Th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urriculum has an effect on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Meanwhile, the findings require to improve the relatively less effective understanding in basic communication competency(△M=.251) and the relatively less effective motivation in special ones(△M=.147). Furthermore, the singularity is that the law department shows the lowest level of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suggests that academic discussions 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extbook development suitable for each department be required. Second, the writing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for students‘ self-reflection growth with various topic and composition in order to achieve their multi-layered goal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confirm how the writing courses that is S university requirement classes to students in liberal arts courses affect th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ose courses. In particular, the writing...

      This paper aims to confirm how the writing courses that is S university requirement classes to students in liberal arts courses affect th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ose courses. In particular, the writing courses are characterized by rather linking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than conducting theory-centered practices. This paper first examines structural uniqueness of the writing courses and oper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in order to figure out the causes that mad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courses. Then, it introduc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diagnostic tools used to investigate their effectiveness, and explores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sequentially. Specifically, the analysis on their effectivenes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asic competency and special competency. At last, this study is concluded by comparing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to find directions and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courses in the future.
      The findings shows that the special competenc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basic one(total average of special competency: 2.80/ total average of basic competency; 2.14). Th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urriculum has an effect on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Meanwhile, the findings require to improve the relatively less effective understanding in basic communication competency(△M=.251) and the relatively less effective motivation in special ones(△M=.147). Furthermore, the singularity is that the law department shows the lowest level of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suggests that academic discussions 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extbook development suitable for each department be required. Second, the writing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for students‘ self-reflection growth with various topic and composition in order to achieve their multi-layered goa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주, "인문교양 수업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 -팀 기반 독서토론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761-790, 2017

      2 김민정, "이공계 전공과 <글쓰기>를 연계한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배달말학회 (52) : 229-265, 2013

      3 박상태,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율전 캠퍼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7) : 181-208, 2008

      4 김지숙, "이공계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과 효율적인 지도 방안 모색 - 영남대학교 「명저 읽기와 글쓰기」를 중심으로" 영주어문학회 29 : 309-346, 2015

      5 박권수, "이공계 과학글쓰기 교육을 위한 강의 모형" 한국작문학회 (2) : 37-60, 2006

      6 김성경, "실험보고서 분석에 토대를 둔 이공계 글쓰기 강의 모듈" 한국작문학회 (11) : 429-476, 2010

      7 김지혜, "대학에서의 계열별 글쓰기 수업의 교육 방안" 이화어문학회 32 : 151-170, 2014

      8 전은진, "대학생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인문과학연구소 (32) : 167-191, 2012

      9 이순영, "대학글쓰기교육과 핵심역량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 연구" 한국작문학회 (20) : 135-163, 2014

      10 최도식, "계열별 글쓰기의 특성과 교육방법적 모형 개발 - 통섭형 글쓰기로의 지향 -" 시학과언어학회 (29) : 177-205, 2015

      1 김현주, "인문교양 수업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 -팀 기반 독서토론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761-790, 2017

      2 김민정, "이공계 전공과 <글쓰기>를 연계한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배달말학회 (52) : 229-265, 2013

      3 박상태,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율전 캠퍼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7) : 181-208, 2008

      4 김지숙, "이공계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과 효율적인 지도 방안 모색 - 영남대학교 「명저 읽기와 글쓰기」를 중심으로" 영주어문학회 29 : 309-346, 2015

      5 박권수, "이공계 과학글쓰기 교육을 위한 강의 모형" 한국작문학회 (2) : 37-60, 2006

      6 김성경, "실험보고서 분석에 토대를 둔 이공계 글쓰기 강의 모듈" 한국작문학회 (11) : 429-476, 2010

      7 김지혜, "대학에서의 계열별 글쓰기 수업의 교육 방안" 이화어문학회 32 : 151-170, 2014

      8 전은진, "대학생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인문과학연구소 (32) : 167-191, 2012

      9 이순영, "대학글쓰기교육과 핵심역량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 연구" 한국작문학회 (20) : 135-163, 2014

      10 최도식, "계열별 글쓰기의 특성과 교육방법적 모형 개발 - 통섭형 글쓰기로의 지향 -" 시학과언어학회 (29) : 177-205, 2015

      11 박현이, "감성 개발을 위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한 방향: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편지쓰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78-114, 2014

      12 신윤경, "‌이공계 글쓰기 수업에서 문학 텍스트 활용의 당위성 연구 ― 비판적 읽기, 쓰기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1-32,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