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인항공기의 안전한 도입을 위한 보안기능요구사항 개발 = Development of Security Functional Requirements for Secure-Introduc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72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possibility of wireless control of the aircraft by Nicola Tesla, Unmanned Aerial Vehicle(UAV) was mainly used for military and defense purposes with the rapid development through World War I and II. As civilian applications of unmanned aerial...

      With the possibility of wireless control of the aircraft by Nicola Tesla, Unmanned Aerial Vehicle(UAV) was mainly used for military and defense purposes with the rapid development through World War I and II. As civilian application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have expanded, they have been used with various services,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control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and risk factor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However, GPS spoofing, Jamming attack and security accidents are occurring due to the communication in the unmaned aerial vehicle system or the security vulnerabilit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tself. In order to secure introduc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South Korea has established Unmanned Aerial Vehicle verification system called Airworthiness Certification. However, the existing cerfication system is more focused on test flight, design and structure's safety and relia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model and propose security functional requirements o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in the corresponding system model for secure-introduc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We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verification technology. From this proposal,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of evaluation and verification technology of Unmanned Aerial Vehicle will be pres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니콜라 테슬라에 의해 항공기의 무선제어 가능성이 제시되면서 출현한 무인항공기는 제 1, 2차 세계대전을 통해 항공력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군사, 방산용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2000년대, ...

      니콜라 테슬라에 의해 항공기의 무선제어 가능성이 제시되면서 출현한 무인항공기는 제 1, 2차 세계대전을 통해 항공력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군사, 방산용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2000년대, 무인항공기의 분야가 촬영, 배송, 통신 등 민간분야까지 확대됨에 따라 여러 서비스와 융합되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무인항공기 시스템에서의 통신이나 무인항공기 자체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하여 GPS 스푸핑, 전파 교란 공격 등을 시도하는 보안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안전한 무인항공기의 도입을 위하여 국내에서는 자체 무인항공기 검증 제도인 감항 인증 제도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감항 인증 제도는 무인항공기의 보안성보다는 시험 비행, 설계 및 물리적 구조의 안전성과 인증하는 쪽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보안성 높은 안전한 무인항공기의 도입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무인항공기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고 데이터 흐름도를 작성하였다. 작성한 데이터 흐름도를 바탕으로 무인항공기 시스템에서의 위협을 도출하였고, 도출한 위협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기능요구사항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보안기능요구사항을 통해 향후 무인항공기의 안전한 도입을 위한 앞으로의 평가, 검증 기술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근석, "전장에서 드론을 활용한 보안 위협과 시나리오" 한국융합보안학회 18 (18): 73-79, 2018

      2 "국토교통부훈령 제872호 2017.6.5. 타법개정, 무인 항공기 비행안전 제고를 위한 입법·정책 과제"

      3 Shostack, Adam, "Threat modeling: Designing for security" John Wiley & Sons 2014

      4 "Protection Profiles CCV files"

      5 Low Cost, "Phrack issue 0x3c(60), article 13"

      6 Potter, Bruce, "Microsoft SDL threat modelling tool" 2009 (2009): 15-18, 2009

      7 Rodday, N. M., "Exploring security vulnerabilitie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EEE 993-994, 2016

      8 Shostack, Adam, "Experiences Threat Modeling at Microsoft"

      9 "DoDI 8500.2"

      10 J. Warner, "A Simple Demonstration That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s Vulnerable to Spoofing" 25 : 5-8, 2002

      1 박근석, "전장에서 드론을 활용한 보안 위협과 시나리오" 한국융합보안학회 18 (18): 73-79, 2018

      2 "국토교통부훈령 제872호 2017.6.5. 타법개정, 무인 항공기 비행안전 제고를 위한 입법·정책 과제"

      3 Shostack, Adam, "Threat modeling: Designing for security" John Wiley & Sons 2014

      4 "Protection Profiles CCV files"

      5 Low Cost, "Phrack issue 0x3c(60), article 13"

      6 Potter, Bruce, "Microsoft SDL threat modelling tool" 2009 (2009): 15-18, 2009

      7 Rodday, N. M., "Exploring security vulnerabilitie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EEE 993-994, 2016

      8 Shostack, Adam, "Experiences Threat Modeling at Microsoft"

      9 "DoDI 8500.2"

      10 J. Warner, "A Simple Demonstration That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s Vulnerable to Spoofing" 25 : 5-8, 2002

      11 이영욱, "4차 산업혁명시대 우리나라 드론의 발전 방향" 한국융합보안학회 18 (18): 3-10,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7-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 -> 한국융합보안학회
      영문명 : Korea Information Assurance Society -> Korea Convergence Security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12-07-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보안논문지 -> 융합보안 논문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Information Assurance -> Journal of convergence security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4-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1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보증논문지 -> 정보*보안논문지 KCI등재후보
      2006-1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보증논문지 -> 정보*보안논문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Information Assurance -> Journal of The Information and Securi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1 0.451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