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세보 애정시조의 성격과 작품 이해의 시각 = Character and Perspective on Lee Sebo's Love Affair Poem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is aimed to look through to Lee Sebo's Love Affair Poems over 100 pieces in new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his poems. To achieve this, we should first understand the nature of Lee Sebo's Love Affair Poems and explain the way of reading of the poems.
      Lee Sebo's Love Affair Poems are a product of his Pung-Ryu spirit. He took the lead in Pungryumadang of his region before he was exiled, in addition; he loved and enjoyed Pungryu through Pungryubang after releasing from exiling. He sang about magnanimous spirit of man who loved and enjoyed Pungryu on Pungryumadang and the beauty of Pungyu in Pungryubang. He composed Love Affair Poems as Sijo-Changsha to add to the amusement at place where loved and enjoyed Pungryu and put emphasis on Sijo Chang's musical aspects.
      For this study, we saw Lee Sebo's Love Affair Poems showed content's solidarity as well as poetic relation among his works. However, with this simple insight, it was hard to decide we explained the way of Lee Sebo's Love Affair Poems properly. Lee Sebo's Love Affair Poems were arranged according to not only identity of vocabulary and similarity of contents, but also organic relationship in his works. Therefore, for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e in his works, the readers need to understand organic order among his works. When we sequentially sing a series of Sijo-Changsha with regular story at place where loved and enjoyed Pungryu, we are more excited.
      번역하기

      The study is aimed to look through to Lee Sebo's Love Affair Poems over 100 pieces in new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his poems. To achieve this, we should first understand the nature of Lee Sebo's Love Affair Poems and explain the way of reading of...

      The study is aimed to look through to Lee Sebo's Love Affair Poems over 100 pieces in new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his poems. To achieve this, we should first understand the nature of Lee Sebo's Love Affair Poems and explain the way of reading of the poems.
      Lee Sebo's Love Affair Poems are a product of his Pung-Ryu spirit. He took the lead in Pungryumadang of his region before he was exiled, in addition; he loved and enjoyed Pungryu through Pungryubang after releasing from exiling. He sang about magnanimous spirit of man who loved and enjoyed Pungryu on Pungryumadang and the beauty of Pungyu in Pungryubang. He composed Love Affair Poems as Sijo-Changsha to add to the amusement at place where loved and enjoyed Pungryu and put emphasis on Sijo Chang's musical aspects.
      For this study, we saw Lee Sebo's Love Affair Poems showed content's solidarity as well as poetic relation among his works. However, with this simple insight, it was hard to decide we explained the way of Lee Sebo's Love Affair Poems properly. Lee Sebo's Love Affair Poems were arranged according to not only identity of vocabulary and similarity of contents, but also organic relationship in his works. Therefore, for understanding the actual state in his works, the readers need to understand organic order among his works. When we sequentially sing a series of Sijo-Changsha with regular story at place where loved and enjoyed Pungryu, we are more exci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04수에 이르는 이세보의 애정시조를 작품 이해의 새로운 시각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세보 애정시조의 성격을 이해한 다음, 그 독법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세보의 애정시조는 그의 풍류정신의 산물이다. 이세보는 유배되기 전에는 지방의 풍류마당을 주도하면서, 유배에서 풀려난 뒤에는 서울의 풍류방을 중심으로 풍류를 즐겼다. 이세보는 풍류마당에서는 주로 풍류남아의 호방함을 노래했고, 풍류방에서는 주로 풍류염정을 노래했다. 이세보는 풍류공간의 흥을 고조시키기 위해 시조창사로서 애정시조를 지었으며, 시조창의 음악적 측면을 중요시하였다.
      기왕의 연구에서는 이세보의 애정시조에는 일부 작품 사이에 내용의 연대성이나 시적 상황의 관련성 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극히 일부 작품에 대한 이러한 단순한 지적만으로는 이세보 애정시조의 독법을 제대로 해명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세보의 애정시조는 어휘의 동일성이나 내용의 유사성 등에 의해서도 배열되어 있지만, 상당수의 작품이 내용의 유기적 관계에 의해서도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세보 애정시조의 실상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작품들 사이의 유기적 질서를 파악하여 읽어야 할 것이다.
      이세보는 애정시조 한 편 한 편이 지닌 이야기성을 바탕으로 하되, 작품들 사이의 상황과 사건을 관련지어 더 큰 서사적 맥락으로 연결하고자 하였다. 이리하여 풍류공간에서 일정한 스토리(story)를 지닌 일련의 애정시조가 연속적으로 노래될 때, 흥은 더욱 고조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04수에 이르는 이세보의 애정시조를 작품 이해의 새로운 시각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세보 애정시조의 성격을 이해한 다음, 그 독법을 해명하...

      본 연구는 104수에 이르는 이세보의 애정시조를 작품 이해의 새로운 시각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세보 애정시조의 성격을 이해한 다음, 그 독법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세보의 애정시조는 그의 풍류정신의 산물이다. 이세보는 유배되기 전에는 지방의 풍류마당을 주도하면서, 유배에서 풀려난 뒤에는 서울의 풍류방을 중심으로 풍류를 즐겼다. 이세보는 풍류마당에서는 주로 풍류남아의 호방함을 노래했고, 풍류방에서는 주로 풍류염정을 노래했다. 이세보는 풍류공간의 흥을 고조시키기 위해 시조창사로서 애정시조를 지었으며, 시조창의 음악적 측면을 중요시하였다.
      기왕의 연구에서는 이세보의 애정시조에는 일부 작품 사이에 내용의 연대성이나 시적 상황의 관련성 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극히 일부 작품에 대한 이러한 단순한 지적만으로는 이세보 애정시조의 독법을 제대로 해명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세보의 애정시조는 어휘의 동일성이나 내용의 유사성 등에 의해서도 배열되어 있지만, 상당수의 작품이 내용의 유기적 관계에 의해서도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세보 애정시조의 실상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작품들 사이의 유기적 질서를 파악하여 읽어야 할 것이다.
      이세보는 애정시조 한 편 한 편이 지닌 이야기성을 바탕으로 하되, 작품들 사이의 상황과 사건을 관련지어 더 큰 서사적 맥락으로 연결하고자 하였다. 이리하여 풍류공간에서 일정한 스토리(story)를 지닌 일련의 애정시조가 연속적으로 노래될 때, 흥은 더욱 고조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규홍, "李世輔의 愛情時調와 歌集編纂 問題" 한민족어문학회 55 : 183-208, 2009

      2 박지선, "李世輔 애정관련 작품 진정성 문제와 표현기법" 반교어문학회 (25) : 149-171, 2008

      3 진동혁, "주석 이세보시조집" 정음사 1985

      4 이능화, "조선해어화사" 동문선 244-, 1992

      5 김팔남, "조선조 연정가사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9

      6 신경숙, "이세보가 명기 경옥에게 준 시조집 『(을축)풍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 : 212-214, 2006

      7 정홍모, "이세보 애정시조의 특징과 유통양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50-161, 1995

      8 박노준, "이세보 애정시조의 특질과 그 시조사적 위상" 민족어문학회 33 : 252-254, 1994

      9 윤정화, "이세보 애정시조의 성격과 의미" 한국문학회 21 : 166-167, 1997

      10 진동혁, "이세보 애정시조 고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2 : 53-83, 1982

      1 박규홍, "李世輔의 愛情時調와 歌集編纂 問題" 한민족어문학회 55 : 183-208, 2009

      2 박지선, "李世輔 애정관련 작품 진정성 문제와 표현기법" 반교어문학회 (25) : 149-171, 2008

      3 진동혁, "주석 이세보시조집" 정음사 1985

      4 이능화, "조선해어화사" 동문선 244-, 1992

      5 김팔남, "조선조 연정가사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9

      6 신경숙, "이세보가 명기 경옥에게 준 시조집 『(을축)풍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 : 212-214, 2006

      7 정홍모, "이세보 애정시조의 특징과 유통양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50-161, 1995

      8 박노준, "이세보 애정시조의 특질과 그 시조사적 위상" 민족어문학회 33 : 252-254, 1994

      9 윤정화, "이세보 애정시조의 성격과 의미" 한국문학회 21 : 166-167, 1997

      10 진동혁, "이세보 애정시조 고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2 : 53-83, 1982

      11 고은지, "이세보 시조의 창작 기반과 작품세계" 한국시가학회 5 : 400-, 1999

      12 진동혁, "이세보 시조연구" 집문당 74-75, 1983

      13 이동연, "이세보 기녀등장 시조를 통해 본 19세기 사대부의 풍류양상" 한국고전연구학회 9 : 28-, 2003

      14 장사훈, "시조음악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15 이상섭, "문학비평 용어사전" 민음사 256-256, 2001

      16 정병설, "나는 기생이다-『소수록』 읽기" 문학동네 146-147, 2007

      17 심재완, "교본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18 윤영옥, "時調와 時調唱詞" 한국시가학회 7 : 53-, 2000

      19 성무경, "19세기 축적적 문학담론과 李世輔 時調의 작시법" 한국시가학회 27 : 149-183,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3 1.2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