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보코프가 세계적 작가로서 명성을 얻은 곳이 영미 문화권이고 한 작가로서 성장하고 완성된 곳이 유럽의 러시아 망명 문단이라면 이 모든 과정의 초석으로 작가의 미적 성향과 예술적 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7534
201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나보코프가 세계적 작가로서 명성을 얻은 곳이 영미 문화권이고 한 작가로서 성장하고 완성된 곳이 유럽의 러시아 망명 문단이라면 이 모든 과정의 초석으로 작가의 미적 성향과 예술적 가...
나보코프가 세계적 작가로서 명성을 얻은 곳이 영미 문화권이고 한 작가로서 성장하고 완성된 곳이 유럽의 러시아 망명 문단이라면 이 모든 과정의 초석으로 작가의 미적 성향과 예술적 가치관을 심어 준 곳은 ‘’러시아문화의 르네상스‘’로 평가받고 있는 세기 초의 러시아이다. 실제로 특정한 문학 유파나 미학적 노선과 자신을 연계시키려는 그 어떠한 시도도 단호히 거부했던 나보코프가 이례적으로 자신의 창작 세계에 대한 영향을 직접적으로 인정한 것이 바로 세기(" I am a product of that period, I was bred in that atmosphere"). 러시아 모더니즘의 주요 세 흐름 가운데서 나보코프의 예술관과 창작 원리 형성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상징주의이다. 1860년대 이후 러시아 평단을 지배했던 이념지향적인 공리주의 비평에 대한 반발로 등장하여 세기 말 시문학의 부흥을 이끈 세력이 바로 상징주의자이며 이들이 새롭게 설정한 문학,예술(시인,예술가)의 본질과 사명이 러시아 모더니즘 전체의 미학 원칙과 세계관의 토대를 이루게 된다: 개인의 가치를 집단과 사회보다 우위에 두고, 문학의 자족성을 강조하고, 문학과 시인은 이질적 존재층 사이, 상징주의의 표현에 따르면, 이 세계의 realia와 다른 세계의 realiora 사이에 대응과 소통을 실현해가는 매체로서 존재론적 형이상학적인 미션을 부여받는다. 나보코프역시 예술과 예술가에 대해 상징주의가 제시한 이 세 가지 원칙을 자신의 미학적 원칙과 예술관의 근간으로 삼았고 창작 활동 초기부터 블록을 비롯한 상징주의의 대표적인 시인들의 창작 원리와 기법 등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앙가주망 문학에 대해 극도의 거부감과 소설 '재능'에서 공리주의 문학의 대표적인 아이콘인 체르니셰프스키를 희화화한 나보코프의 대담함은 자신들이 부정하는 문학 전통과 유파에 대해 상징주의자들이 보여줬던 미학적 태도와 행위이기도 했다. "러시아 상징주의와 나보코프"의 관점에서 작가의 창작 시기를 살펴보면, 초기 시에서 나보코프는 상징주의의 압도적인 영향 속에서 자기만의 목소리를 내지 못한 채 상징주의 아류 시인에 머물렀다면 산문의 공간에서는 상징주의의 일방적인 영향권에서 벗어나 상징주의가 표방하는 예술적 개념과 주제, 이미지와 모티프들을 유희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즉 러시아 문학 전통의 전임자들을 우상처럼 수동적으로 따르는 대신 살아 있는 대화 상대자로, 논쟁의 상대로 대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학적 권위들과의 논쟁적 관계를 통해 나보코프는 점차 러시아 문학사에서 자신이 차지하게 될 위치를 확보해 나간다. 벨린스키와 체르니쉐프스키같은 잘못된 권위는 전복시키고 낡고 진부해져버린 예술적 표현들은 조롱하면서 독특한 테마와 서사 장치와 구조적 원칙들은 자신의 예술 체계 속에서 수용하여 새롭게 발전시켜 나갔다 흥미로운 것은 나보코프의 주요 러시아어 산문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상징주의에 대한 작가의 논쟁적 태도가 영어 작품인 ''롤리타''에서는 더욱 정교하고 은닉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롤리타‘’-텍스트의 다양한 차원에서 작가가 은밀하게 벌이고 있는 상징주의와의 논쟁의 내용과 양상을 체계적으로 조명하고 그것이 함의하는 바가 무엇인지 제대로 규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정을 밟아 나갈 것이다. 이를 통해 상징주의자들이 제기한 주요 문제들-예술의 본질과 현실과 예술의 관계 설정, 예술가의 위상 및 역할-에 대한 나보코프의 입장이 무엇인지를 규명한 데 주력할 것이다. 1.상징주의 모델의 세 가지 발전 단계(1.초기 상징주의-유미주의적 모델 2. 신화시학적 모델. 3.그로테스크 카니발 모델)에 해당하는 주요 미학적 원칙과 개념, 예술관을 분석하고 이러한 상징주의의 3단계 과정을 거쳐 간 블록의 창작 세계의 진화 과정을 그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통해 살펴 볼 것이다. 2. 상징주의의 3단계를 거쳐 완성되고 있는 블록의 세계관과 예술적 결정에 대해 ‘’롤리타‘’에서 다양한 문학적 장치들(패러디, 인유, 언어 유희 등)을 통해 나보코프가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해명할 것이다. “롤리타”에서는 테제에서 안티테제로 넘어가는 시기의 블록 작품들에 대한 인유와 패러디가 다수를 이루고 있는 바, 이 시기의 블록이 구축한 창작 세계의 미학적,형이상학적 개념들(아름다운 여인, 분신, 생예술- 삶의 예술화, 발라간)이 ‘’롤리타‘’의 텍스트에서 어떻게 재구성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살펴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