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상례문화는 다른 지방과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전통적인 유교식 제례 형식을 중시하면서 장례를 치르는 것, 일포날에만 손님을 맞이하고 문상을 하는 풍습, 장례비용 공동분담, 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92110
2009
-
제주도 ; 상례문화 ; 유교 의례 ; 무속 의례 ; 일포 ; 공동묘지 ; 장례 ; 장묘문화 ; Funeral-rite ; Funeral-rite`s culture ; Je-Ju rural society
331.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25-370(46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제주도 상례문화는 다른 지방과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전통적인 유교식 제례 형식을 중시하면서 장례를 치르는 것, 일포날에만 손님을 맞이하고 문상을 하는 풍습, 장례비용 공동분담, 장...
제주도 상례문화는 다른 지방과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전통적인 유교식 제례 형식을 중시하면서 장례를 치르는 것, 일포날에만 손님을 맞이하고 문상을 하는 풍습, 장례비용 공동분담, 장사지낸 날 귀양풀이를 하는 것 등이다. 이러한 상례문화는 조선 시대 이후 유교 의례와 무속의례가 혼합되고, 지역적인 문화 풍토의 영향을 받아 생겨나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전통이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와서 상례문화는 많은 부분에서 변화하고 있다. 상례 기간이 급속하게 단축되어 삼년상은 이미 80년대 후반에 사라졌으며, 최근에는 100일 탈상, 49재 탈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각 마을마다 존재하였던 장례 주관자들이 소멸되고, 전문적인 장의사들이 제주도내 모든 마을에 침투하여 장례와 관련된 일을 처리하고 있다. 장례는 개인의 일이면서 또한 마을 공동의 일이었으며, 이를 통하여 마을 공동체 규범이 생겨나고 유지되었지만, 지금은 이러한 현상도 약화되고 있다. 풍수사상, 조상숭배 사상의 약화는 장묘문화에도 많은 영향을 끼쳐 마을 공동묘지 이용이 보편화되고, 화장, 납골당으로 장례를 마치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상여가 없어지면서 상여소리, 달구소리 등 놀이문화도 사라졌으며, 전통적인 장례 음식도 현대화되어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농촌공동체의 해체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더 급속한 변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has examined how funeral-rite`s culture change and the social meaning of this change in the procession to destruct modern rural community. Funeral-rite`s culture in Je-Ju has changed rapidly in 2000s. The change starts from inside funeral...
This article has examined how funeral-rite`s culture change and the social meaning of this change in the procession to destruct modern rural community. Funeral-rite`s culture in Je-Ju has changed rapidly in 2000s. The change starts from inside funeral-rite culture by outside influences. A shift in generation to keep a rural community,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values and norm, the decline of existed tradition and the trend of urbanization in a rural culture have renovated briskly the rural society in 2000s. The aspects of these changes have affected largely funeral-rite`s culture. This article emphasizes on the various phenomena which construct funeral rite` culture and explains how it have changed. Also, this study summarizes the meaning of the changes through the concrete case studies. The issues with which I did not deal in this article are the view of the soul and death, the thought of another world, the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rituals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Confucianism ritual and shamanism ritual. The funeral rite in the city has forfeited traditional form and transformed it into modern form. However, funeral-rite in a rural society is still working for important custom and people consider it of meaningful ceremony in kinship community and community. Also, ancestor-worship thought still has remained. The maintenance and change of tradition are co-existed. Through the case studies this research will help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rural society`s culture in Je-Ju.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규, "통과의례" 문화재관리국 65-67, 1974
2 현승환, "제주인의 일생" 제주특별자치도⋅국립민속박물관 69-103, 2007
3 최재석, "제주도의 친족조직" 일지사 301-324, 1979
4 현용준, "제주도의 상제 in: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집문당 321-343, 2002
5 김영돈, "제주도민의 통과의례" 문화재관리국 708-715, 1966
6 현용준, "제주도무속연구" 집문당 362-365, 1986
7 김기태, "제주도 상례의 실태와 그 특색"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117-130, 1977
8 임재해, "전통상례" 대원사 22-, 1998
9 하천리 향토지, "냇끼" 141-155, 1995
10 신례2리 향토지, "공천포지" 178-, 1994
1 이광규, "통과의례" 문화재관리국 65-67, 1974
2 현승환, "제주인의 일생" 제주특별자치도⋅국립민속박물관 69-103, 2007
3 최재석, "제주도의 친족조직" 일지사 301-324, 1979
4 현용준, "제주도의 상제 in: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집문당 321-343, 2002
5 김영돈, "제주도민의 통과의례" 문화재관리국 708-715, 1966
6 현용준, "제주도무속연구" 집문당 362-365, 1986
7 김기태, "제주도 상례의 실태와 그 특색"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117-130, 1977
8 임재해, "전통상례" 대원사 22-, 1998
9 하천리 향토지, "냇끼" 141-155, 1995
10 신례2리 향토지, "공천포지" 178-, 1994
11 가시리 향토지, "가스름" 191-192, 1988
제주도의 본풀이와 민담의 교섭양상 -삼두구미본을 중심으로
<지장본풀이>에 담긴 수수께끼와 연행방식 고찰 -지장과 새의 의미, 연행방식의 특징을 중심으로
난생신화와 "궤짝신화"의 상관성 고찰 -석탈해신화 화소의 복잡함에 던지는 의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9-05-1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AMLA CULTURAL INSTITUTE -> Research Institute for the Tamla Culture | ![]() |
2017-06-1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탐라문화연구소 -> 탐라문화연구원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2 | 0.913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