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중등학교 학생의 적응자혁신자 역할 분담 문제 해결 활동이 기술적 창의력 계발에 미치는 효과" 2001
2 "초등학생의 성별 다중지능수준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1999
3 "초등학생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2001
4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교육개혁혁신위원회 2005
5 "지각된 다중지능의 집단차와 IQ 및 성적과의 관계 분석연구" 1996
6 "중학생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2002
7 "중학생들의 다중지능과 기술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30 (30): 37-45, 2005
8 "중등학생의 다중지능 분석" 한양대학교 12 : 1996
9 "조사방법의 이해와 SPSS 활동" 대영문화사 2006
10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과 기술적 문제해결과의 관계" 2001
1 "초중등학교 학생의 적응자혁신자 역할 분담 문제 해결 활동이 기술적 창의력 계발에 미치는 효과" 2001
2 "초등학생의 성별 다중지능수준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1999
3 "초등학생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2001
4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교육개혁혁신위원회 2005
5 "지각된 다중지능의 집단차와 IQ 및 성적과의 관계 분석연구" 1996
6 "중학생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2002
7 "중학생들의 다중지능과 기술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30 (30): 37-45, 2005
8 "중등학생의 다중지능 분석" 한양대학교 12 : 1996
9 "조사방법의 이해와 SPSS 활동" 대영문화사 2006
10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과 기술적 문제해결과의 관계" 2001
11 "다지능 이론이란 무엇인가? (젊은 이론)" 108-114, 1999
12 "기술교과교육학" 형설출판사 2005
13 "The theory in practice" Basic Books 1993
14 "The effects of direct and indirect instruction on teaching technology problem solving activities" 1999
15 "Technology in schools" CDT and child-centerdness Open University Pess 228-239, 1986
16 "Teaching thinking through problem solving in J" 5-22, 1987
17 "Secretary'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A blueprint for high performance A SCANS report for America 2000" 1992
18 Walker, D, "Process Over Product" 10-14, 2000
19 "Problem solving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1993
20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 education at the secondary level as perceived by technology educators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1996
21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5-15, 1991
22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Basic Books 19831993
23 "Examining the Dimensions the Dimensions Technology" 5 (5): 219-244, 1995
24 Hutchinson, "Design and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 Delmar Publisher 1994
25 "21세기 정보시대의 새로운 학력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4-15,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