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은혜, "현대 육진 방언 자모음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봉국, "함북 육진방언의 복합성조" 한국어교육학회 (113) : 525-544, 2004
3 전학석, "함경도 방언의 음조에 대하여" 224 : 95-108, 1994
4 박진혁, "함경 방언의 성조- 음고의 유형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언학회 (28) : 5-38, 2018
5 강순경, "함경 방언의 모음 체계" 33 : 117-135, 1997
6 이호영, "한국어의 억양체계"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3) : 129-151, 1991
7 곽숙영, "한국어의 발화 길이 및 절 경계와 초점에 의한 점진하강(declination) 연구" 한국음성학회 2 (2): 11-22, 2010
8 박기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억양 교육 방안 —특히 양태 의미에 따른 억양 차이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4) : 373-397, 2009
9 이현복, "억양과 국어 생활" 10 : 41-49, 1987
10 김태희,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담화상황에서의 언어중재가 북한이탈주민의 발화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0
1 정은혜, "현대 육진 방언 자모음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봉국, "함북 육진방언의 복합성조" 한국어교육학회 (113) : 525-544, 2004
3 전학석, "함경도 방언의 음조에 대하여" 224 : 95-108, 1994
4 박진혁, "함경 방언의 성조- 음고의 유형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언학회 (28) : 5-38, 2018
5 강순경, "함경 방언의 모음 체계" 33 : 117-135, 1997
6 이호영, "한국어의 억양체계"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3) : 129-151, 1991
7 곽숙영, "한국어의 발화 길이 및 절 경계와 초점에 의한 점진하강(declination) 연구" 한국음성학회 2 (2): 11-22, 2010
8 박기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억양 교육 방안 —특히 양태 의미에 따른 억양 차이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4) : 373-397, 2009
9 이현복, "억양과 국어 생활" 10 : 41-49, 1987
10 김태희,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담화상황에서의 언어중재가 북한이탈주민의 발화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0
11 서초슬, "서울지역과 대구지역 방언의 억양 대조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12 이호영, "서울말과 경상도 방언의 운율유형론"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5) : 353-382, 1993
13 이홍식, "새터민의 언어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15 (15): 141-161, 2007
14 이호영, "새터민 언어 적응 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1-70, 2009
15 최미영, "새터민 성인의 문장읽기 억양 특성"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3
16 양수경,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 국어교육학회 (28) : 459-484, 2007
17 권순희,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현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561-586, 2014
18 김다미, "북한이탈주민의 문장 읽기 억양 특성-음도범위와 청지각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음성학회 11 (11): 9-21, 2019
19 정순미,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남한 청소년의 역할" 한국윤리교육학회 (22) : 301-320, 2010
20 정중석, "북한의 지방행정 체제에 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국제대학원 2001
21 곽충구, "동북방언과 국어국문학" 43 : 5-42, 2018
22 배준영, "대구지역 새터민의 언어적응 양상 연구 : 음운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23 이현복, "남북한 음성언어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29 : 61-94, 1995
24 김석향, "남북한 언어 이질화 정도에 대한 집단별 인식의 차이 고찰" 북한대학원대학교 8 (8): 85-124, 2005
25 이호영, "국어음성학" 태학사 1996
26 이상규, "국어방언학" 학연사 2003
27 허웅, "국어 음운학" 샘문화사 1985
28 김영만, "국어 운율의 본질과 변천-함경 ‧ 경상 ‧ 전라 ‧ 서울의 액센트와 중세국어의 성조의 비교적 고찰-" 65.66 : 29-51, 1974
29 왕영준, "경상도 방언이 한국어 억양 습득에 미치는 영향-의문문의 문말 억양을 중심으로-" 32 : 50-71, 2016
30 Robert Ramsey, S., "咸鏡 慶尙 兩方言의 액센트 硏究" 2 : 105-132, 1974
31 Jun, S., "K-ToBI(Korean ToBI)Lablelling Conversations : Version 3. 1" 99 : 149-173, 2000
32 이옥주, "Global Pitch Characteristics of Tonal and Non-Tonal Language Speakers : Evidence from Mandarin-Korean Bilinguals" 한국중국어문학회 98 : 267-300,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