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함경방언 구사 북한이탈주민과 서울방언 화자의 음높이 대조 연구 = A Contrastive Study on Pitches of Hamgyeong Dialect Speakers, Defected from North Korea, and Seoul Dialect Spea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21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the intonation between the speech of North Korean defectors from Hamgyeong-do and the speech of Seoul dialect speakers in an experimental phonetic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oul dialect speaker group has a wider pitch range within the same sentences than the Hamgyeong dialect speaker group.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oul dialect speaker group and the Hamgyeong dialect speaker group is greater in low-pitched sentences than in the high-pitched sentences. Third, in the case of interrogative sentences, the Seoul dialect speaker group tends to speak in rising tone. In contrast, the Hamgyeong dialect speaker group tends to speak in horizontal tone. The three-way analysis of variance confirmed that the main effects of the group in 4 out of 5 items in both the declarative sentences and the interrogative sentences. Also, for the interaction effec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s X genders, and groups X sentence typ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the intonation between the speech of North Korean defectors from Hamgyeong-do and the speech of Seoul dialect speakers in an experimental phonetic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the intonation between the speech of North Korean defectors from Hamgyeong-do and the speech of Seoul dialect speakers in an experimental phonetic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oul dialect speaker group has a wider pitch range within the same sentences than the Hamgyeong dialect speaker group.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oul dialect speaker group and the Hamgyeong dialect speaker group is greater in low-pitched sentences than in the high-pitched sentences. Third, in the case of interrogative sentences, the Seoul dialect speaker group tends to speak in rising tone. In contrast, the Hamgyeong dialect speaker group tends to speak in horizontal tone. The three-way analysis of variance confirmed that the main effects of the group in 4 out of 5 items in both the declarative sentences and the interrogative sentences. Also, for the interaction effect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s X genders, and groups X sentence typ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함경도 출신의 북한이탈주민의 발화와 서울 방언 화자의 발화 상의 억양 차이를 실험음성학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서울 방언 화자가 함경 방언 화자보다 같은 문장 내에서 음도 범위가 넓다. 둘째, 고성조군 문장에서보다 저성조군 문장에서 서울 방언 화자 집단과 함경 방언 화자 집단 간의 차이가 더 크다. 셋째, 의문문의 경우 서울 방언 화자는 올림조, 함경 방언 화자는 수평조로 발화하는 경향이 있다. 삼원분산분석 결과 평서문과 의문문 모두 5개 항목 중 4개에서 집단의 주효과가 나타났고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집단 × 성별 혹은 집단 × 문장종류(고저성조)의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함경도 출신의 북한이탈주민의 발화와 서울 방언 화자의 발화 상의 억양 차이를 실험음성학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서울 방언 화자가 함경 방언 ...

      본 연구는 함경도 출신의 북한이탈주민의 발화와 서울 방언 화자의 발화 상의 억양 차이를 실험음성학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서울 방언 화자가 함경 방언 화자보다 같은 문장 내에서 음도 범위가 넓다. 둘째, 고성조군 문장에서보다 저성조군 문장에서 서울 방언 화자 집단과 함경 방언 화자 집단 간의 차이가 더 크다. 셋째, 의문문의 경우 서울 방언 화자는 올림조, 함경 방언 화자는 수평조로 발화하는 경향이 있다. 삼원분산분석 결과 평서문과 의문문 모두 5개 항목 중 4개에서 집단의 주효과가 나타났고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집단 × 성별 혹은 집단 × 문장종류(고저성조)의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은혜, "현대 육진 방언 자모음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봉국, "함북 육진방언의 복합성조" 한국어교육학회 (113) : 525-544, 2004

      3 전학석, "함경도 방언의 음조에 대하여" 224 : 95-108, 1994

      4 박진혁, "함경 방언의 성조- 음고의 유형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언학회 (28) : 5-38, 2018

      5 강순경, "함경 방언의 모음 체계" 33 : 117-135, 1997

      6 이호영, "한국어의 억양체계"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3) : 129-151, 1991

      7 곽숙영, "한국어의 발화 길이 및 절 경계와 초점에 의한 점진하강(declination) 연구" 한국음성학회 2 (2): 11-22, 2010

      8 박기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억양 교육 방안 —특히 양태 의미에 따른 억양 차이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4) : 373-397, 2009

      9 이현복, "억양과 국어 생활" 10 : 41-49, 1987

      10 김태희,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담화상황에서의 언어중재가 북한이탈주민의 발화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0

      1 정은혜, "현대 육진 방언 자모음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봉국, "함북 육진방언의 복합성조" 한국어교육학회 (113) : 525-544, 2004

      3 전학석, "함경도 방언의 음조에 대하여" 224 : 95-108, 1994

      4 박진혁, "함경 방언의 성조- 음고의 유형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언학회 (28) : 5-38, 2018

      5 강순경, "함경 방언의 모음 체계" 33 : 117-135, 1997

      6 이호영, "한국어의 억양체계"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3) : 129-151, 1991

      7 곽숙영, "한국어의 발화 길이 및 절 경계와 초점에 의한 점진하강(declination) 연구" 한국음성학회 2 (2): 11-22, 2010

      8 박기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억양 교육 방안 —특히 양태 의미에 따른 억양 차이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34) : 373-397, 2009

      9 이현복, "억양과 국어 생활" 10 : 41-49, 1987

      10 김태희, "시각적 피드백을 이용한 담화상황에서의 언어중재가 북한이탈주민의 발화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0

      11 서초슬, "서울지역과 대구지역 방언의 억양 대조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12 이호영, "서울말과 경상도 방언의 운율유형론"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5) : 353-382, 1993

      13 이홍식, "새터민의 언어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15 (15): 141-161, 2007

      14 이호영, "새터민 언어 적응 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1-70, 2009

      15 최미영, "새터민 성인의 문장읽기 억양 특성"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3

      16 양수경, "새터민 면담을 통한 남북한 화법 차이 고찰" 국어교육학회 (28) : 459-484, 2007

      17 권순희,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현황"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561-586, 2014

      18 김다미, "북한이탈주민의 문장 읽기 억양 특성-음도범위와 청지각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음성학회 11 (11): 9-21, 2019

      19 정순미,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남한 청소년의 역할" 한국윤리교육학회 (22) : 301-320, 2010

      20 정중석, "북한의 지방행정 체제에 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국제대학원 2001

      21 곽충구, "동북방언과 국어국문학" 43 : 5-42, 2018

      22 배준영, "대구지역 새터민의 언어적응 양상 연구 : 음운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23 이현복, "남북한 음성언어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29 : 61-94, 1995

      24 김석향, "남북한 언어 이질화 정도에 대한 집단별 인식의 차이 고찰" 북한대학원대학교 8 (8): 85-124, 2005

      25 이호영, "국어음성학" 태학사 1996

      26 이상규, "국어방언학" 학연사 2003

      27 허웅, "국어 음운학" 샘문화사 1985

      28 김영만, "국어 운율의 본질과 변천-함경 ‧ 경상 ‧ 전라 ‧ 서울의 액센트와 중세국어의 성조의 비교적 고찰-" 65.66 : 29-51, 1974

      29 왕영준, "경상도 방언이 한국어 억양 습득에 미치는 영향-의문문의 문말 억양을 중심으로-" 32 : 50-71, 2016

      30 Robert Ramsey, S., "咸鏡 慶尙 兩方言의 액센트 硏究" 2 : 105-132, 1974

      31 Jun, S., "K-ToBI(Korean ToBI)Lablelling Conversations : Version 3. 1" 99 : 149-173, 2000

      32 이옥주, "Global Pitch Characteristics of Tonal and Non-Tonal Language Speakers : Evidence from Mandarin-Korean Bilinguals" 한국중국어문학회 98 : 267-300,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69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