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희성, "텍스트, 그래픽, 애니메이션 적용에 따른 정보제시양식의 차이가 웹사이트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281-290, 2011
2 서혁, "중학생의 양식의 정보성 인식 양상 연구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여" 국어교육학회 53 (53): 79-109, 2018
3 Bearne, E., "읽기 쓰기의 진화 : 아이들은 미디어를 어떻게 읽고 쓰고 만드는가" 사회평론 2004
4 주창윤, "영상 이미지의 구조" 나남출판 2003
5 편지윤,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 재개념화를 위한 시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93-522, 2018
6 편지윤, "복합양식 텍스트성으로서의 영상성의 의미 고찰" 한국독서학회 (49) : 125-160, 2018
7 변은지, "복합양식 텍스트가 학습 목적 읽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72) : 197-240, 2019
8 편지윤,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인지적 평가 요소 개발 연구" 한국독서학회 (54) : 203-244, 2020
9 편지윤,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에서의 전략 사용 양상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68) : 79-116, 2020
10 편지윤, "복합양식 텍스트 유형별 읽기 전략 사용 비교" 청람어문교육학회 (73) : 33-59, 2020
1 전희성, "텍스트, 그래픽, 애니메이션 적용에 따른 정보제시양식의 차이가 웹사이트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281-290, 2011
2 서혁, "중학생의 양식의 정보성 인식 양상 연구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여" 국어교육학회 53 (53): 79-109, 2018
3 Bearne, E., "읽기 쓰기의 진화 : 아이들은 미디어를 어떻게 읽고 쓰고 만드는가" 사회평론 2004
4 주창윤, "영상 이미지의 구조" 나남출판 2003
5 편지윤, "복합양식 텍스트의 텍스트성 재개념화를 위한 시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93-522, 2018
6 편지윤, "복합양식 텍스트성으로서의 영상성의 의미 고찰" 한국독서학회 (49) : 125-160, 2018
7 변은지, "복합양식 텍스트가 학습 목적 읽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72) : 197-240, 2019
8 편지윤,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의 인지적 평가 요소 개발 연구" 한국독서학회 (54) : 203-244, 2020
9 편지윤,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에서의 전략 사용 양상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68) : 79-116, 2020
10 편지윤, "복합양식 텍스트 유형별 읽기 전략 사용 비교" 청람어문교육학회 (73) : 33-59, 2020
11 최숙기, "복합 양식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읽기 행동 분석에 기반한 디지털 시대의 읽기 교육 방안 탐색" 한국독서학회 (29) : 224-264, 2013
12 서혁,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에 따른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및 연구의 과제" 29-45, 2019
13 김기태, "문자읽기와 영상읽기 능력비교를 통한 미디어교육 효과연구: 문자읽기 장애 여부가 영상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5 (5): 35-62, 2005
14 하채현, "문자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9 : 289-313, 2011
15 윤신원, "매체 담화 특성에 따른 독서 행위 비교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38) : 313-332, 2015
16 정현선, "동화와 애니메이션 ‘보기(viewing)’를 중심으로 한 멀티리터러시의 국어교육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14) : 109-141, 2004
17 정현선, "기호와 소통으로서의 언어관에 따른 매체언어교육의 목표에 관한 고찰" 국어교육연구소 (19) : 99-140, 2007
18 서혁, "교과서 속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구현 양상 분석 : <언어와 매체> 교과서의 단원 구성 및 학습활동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58) : 143-167, 2021
19 Caspi, A., "Viewing comprehension : Students’ learning preferences and strategies when studying from video" 33 : 31-47, 2005
20 Magliano, J. P., "Unraveling the behavioral, neurobiological, and genetic components of reading comprehension" Brookes Publishing Co 2013
21 Walsh, M., "The ‘textual shift’ : examining the reading process with print, visual and multimodal texts" 29 (29): 24-37, 2006
22 Pezdek, K.,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cognitive processing of television and radio" 55 : 2072-2082, 1984
23 Voss, S. M., "The Affordances of Multimodal Texts and Their Impact on the Reading Process" The University of Minesota 2011
24 Sanchez, C. A., "Sex differences in science learning : Closing the gap through animations" 20 (20): 271-275, 2010
25 이소연, "PISA 2018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성취 특성 분석: 성취수준별 특성 및 학업탄력성이 있는 학생 특성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26 Delgado, P., "Don’t throw away your printed books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reading media on reading comprehension" 25 : 23-38, 2018
27 List, A., "Comprehension across mediums : the case of text and video" 31 (31): 514-535, 2019
28 Kendeou, P., "Children’s inference generation across different media" 31 (31): 259-272,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