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음의 가설을 실증 분석한다. 1) 1980년대 이후 미국 초국적기업의 확장은 본국과 유치국들의 경기순환과 공행성을 갖는다. 2) 경기순환은 미국 초국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영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61723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음의 가설을 실증 분석한다. 1) 1980년대 이후 미국 초국적기업의 확장은 본국과 유치국들의 경기순환과 공행성을 갖는다. 2) 경기순환은 미국 초국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영향...
본 연구는 다음의 가설을 실증 분석한다. 1) 1980년대 이후 미국 초국적기업의 확장은 본국과 유치국들의 경기순환과 공행성을 갖는다. 2) 경기순환은 미국 초국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다.
분석을 위해서는 미국 초국적기업의 경제활동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자료와 경기순환을 측정할 수 있는 자료가 동시에 필요하다. 미국 초국적기업 통계는 USDIA의 기업수준 자료를 활용한다. 이 통계는 미국 초국적기업의 해외활동에 관한 매우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해외직접투자 통계가 가진 몇 가지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USDIA 통계의 ‘금융 및 경영자료’에 포함된 미국 초국적기업 모회사와 해외자회사의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유형별 판매와 행선지별 판매, 총생산 등을 이용한다. 경기변동과 관련한 자료는 미국 초국적기업이 위치한 주요국의 국내총생산 자료를 활용하고 이를 필터링해 이용한다.
본 연구는 미국 초국적기업의 기업별 시계열을 확보해 패널(panel) 자료를 구성하고 이를 실증 분석한다. 특히 본 연구는 ‘동태적 패널 자료 일반화 적률 추정모형(Dynamic Model from Panel Data by th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을 사용한다. 동태적 패널은 종속변수 자체의 내생성을 고려하여 시계열적인 영향력을 반영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초국적기업과 경기변동의 관계에 대한 기업 수준 통계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성을 갖는다. 기업 수준의 통계를 사용하면 개별기업의 초국적 활동이 입지국별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으므로 산업 수준으로 합산하는 과정에서 종종 발생하는 측정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실증분석의 장점뿐만 아니라 기업 수준의 통계를 활용한 연구는 새로운 자료의 발굴뿐만 아니라 개별 기업 수준에서 초국적 활동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