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DR 방식의 한국형 스포츠분쟁해결기구에 관하여 - 한국스포츠공정위원회 신설과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 복원 방안 비교 - = A study on the proper Organization of sports disputes solving by ADR in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is another way to come up to an agreement for disagreeing parties, while avoiding courtroom litigation. ADR is more commonly used in sports disputes to prevent their escalation to litigation than any other areas since game rules and constitutions for sports organizations require highly professional knowledge and it conforms to the self-regulating nature of the sports community.
      In order to settle sports disputes effectively, an arbitration agency that well reflects on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hould be in place. In Korea, Korea Commission of Arbitration for Sports (KCAS) was launched in 2006 but was closed in 2009 as Korean Olympic Committee (KOC) suspended its support. As a result, many sports disputes are not properly addressed while various disputes arise from sports events both at home and abroad.
      This research compared two plans - one to create Korea Commission for Fair Play in Sport (KCFS) by revising the Sport Promotion Act in 2014, and the other to restore the dysfunctional KCAS - and analyzed which way is a better fit for the Korean context.
      The creation of KCFS depends on the enactment of a bill which has been pending before a parliamentary standing committee but nobody is pushing the decision forward and it is destined to be abortive at the end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as initially interested in the creation of KCFS but it renounced its support of the enactment, turning eyes to an idea that an organization with similar roles and responsibilities to be put in place within existing KOC.
      When consider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Korean sports community and its past experience, the plan to restore and activate KCAS will be a desirable option for Korea to ensure an effective arbitration system. In addition, it should be independent of KOC, unlike the past, and the Sport Promotion Act should be revised to give it a legal status and stipulate measures of financial support for it.
      번역하기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is another way to come up to an agreement for disagreeing parties, while avoiding courtroom litigation. ADR is more commonly used in sports disputes to prevent their escalation to litigation than any other areas si...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is another way to come up to an agreement for disagreeing parties, while avoiding courtroom litigation. ADR is more commonly used in sports disputes to prevent their escalation to litigation than any other areas since game rules and constitutions for sports organizations require highly professional knowledge and it conforms to the self-regulating nature of the sports community.
      In order to settle sports disputes effectively, an arbitration agency that well reflects on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hould be in place. In Korea, Korea Commission of Arbitration for Sports (KCAS) was launched in 2006 but was closed in 2009 as Korean Olympic Committee (KOC) suspended its support. As a result, many sports disputes are not properly addressed while various disputes arise from sports events both at home and abroad.
      This research compared two plans - one to create Korea Commission for Fair Play in Sport (KCFS) by revising the Sport Promotion Act in 2014, and the other to restore the dysfunctional KCAS - and analyzed which way is a better fit for the Korean context.
      The creation of KCFS depends on the enactment of a bill which has been pending before a parliamentary standing committee but nobody is pushing the decision forward and it is destined to be abortive at the end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as initially interested in the creation of KCFS but it renounced its support of the enactment, turning eyes to an idea that an organization with similar roles and responsibilities to be put in place within existing KOC.
      When considering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Korean sports community and its past experience, the plan to restore and activate KCAS will be a desirable option for Korea to ensure an effective arbitration system. In addition, it should be independent of KOC, unlike the past, and the Sport Promotion Act should be revised to give it a legal status and stipulate measures of financial support for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재판외의 방식을 통한 분쟁 해결 과정과 수단을 통칭해 대안적 분쟁 해결(AD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이라고 한다. 스포츠 분쟁에서는 ADR제도가 다른 분야에 비해 한층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스포츠 종목별 경기규칙이나 경기단체 규약 등 법규의 전문성이 강한데다 스포츠의 특성상 자치권을 존중하고 있는 관행에도 부합하기 때문이다.
      스포츠 분쟁을 한층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여건과 환경에 맞는 효율적인 중재기구를 운영해야 한다. 우리는 지난 2006년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를 출범해 운영하다가 2009년 대한체육회의 지원 중단과 함께 기구를 없애버렸다. 이후 국내외 스포츠경기에서 승부를 둘러싼 각종 분쟁과 갈등이 빈발하고 있는데 스포츠중재기구를 두지 않고 있는 바람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해 한국스포츠공정위원회를 신설하려던 방안과 한때 운영됐다가 폐지된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 복원 방안을 비교해 어느 쪽이 한국적 현실에 더 유용한지를 분석했다.
      한국스포츠공정위원회 신설은 법안 발의후 소관 상임위원회에 계류돼 있으나 통과를 위해 누구도 나서지 않고 있어 19대 국회 종료와 함께 폐기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당초 한국스포츠공정위원회 신설에 관심을 가졌으나 비슷한 역할과 성격의 기구를 별도의 위원회 보다는 대한체육회 내부 조직으로 두는 쪽으로 선회하면서 국회 입법화 지원을 포기했다.
      한국 스포츠계의 여건이나 과거의 운영 경험을 감안할 때 바람직한 한국형 스포츠중재기구로는 사라진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를 복원해 활성화하는 방안이 될 것으로 본다. 특히 과거처럼 대한체육회 산하 기구로서가 아니고 별도의 독립기구로 전환하고 국민체육진흥법에 관련 규정을 명문화해 법적 지위와 함께 확실한 재원 지원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번역하기

      재판외의 방식을 통한 분쟁 해결 과정과 수단을 통칭해 대안적 분쟁 해결(AD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이라고 한다. 스포츠 분쟁에서는 ADR제도가 다른 분야에 비해 한층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

      재판외의 방식을 통한 분쟁 해결 과정과 수단을 통칭해 대안적 분쟁 해결(AD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이라고 한다. 스포츠 분쟁에서는 ADR제도가 다른 분야에 비해 한층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스포츠 종목별 경기규칙이나 경기단체 규약 등 법규의 전문성이 강한데다 스포츠의 특성상 자치권을 존중하고 있는 관행에도 부합하기 때문이다.
      스포츠 분쟁을 한층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여건과 환경에 맞는 효율적인 중재기구를 운영해야 한다. 우리는 지난 2006년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를 출범해 운영하다가 2009년 대한체육회의 지원 중단과 함께 기구를 없애버렸다. 이후 국내외 스포츠경기에서 승부를 둘러싼 각종 분쟁과 갈등이 빈발하고 있는데 스포츠중재기구를 두지 않고 있는 바람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해 한국스포츠공정위원회를 신설하려던 방안과 한때 운영됐다가 폐지된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 복원 방안을 비교해 어느 쪽이 한국적 현실에 더 유용한지를 분석했다.
      한국스포츠공정위원회 신설은 법안 발의후 소관 상임위원회에 계류돼 있으나 통과를 위해 누구도 나서지 않고 있어 19대 국회 종료와 함께 폐기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당초 한국스포츠공정위원회 신설에 관심을 가졌으나 비슷한 역할과 성격의 기구를 별도의 위원회 보다는 대한체육회 내부 조직으로 두는 쪽으로 선회하면서 국회 입법화 지원을 포기했다.
      한국 스포츠계의 여건이나 과거의 운영 경험을 감안할 때 바람직한 한국형 스포츠중재기구로는 사라진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를 복원해 활성화하는 방안이 될 것으로 본다. 특히 과거처럼 대한체육회 산하 기구로서가 아니고 별도의 독립기구로 전환하고 국민체육진흥법에 관련 규정을 명문화해 법적 지위와 함께 확실한 재원 지원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병희, "한국에서 스포츠분쟁해결을 위한 ADR제도" 한국스포트엔터테인먼트법학회 (5) : 2004

      2 연기영,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의 설립과 활동"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415-433, 2007

      3 김경배, "한국 대체적 분쟁해결제도(ADR)의 제도화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18 (18): 251-274, 2005

      4 백윤철, "일본 스포츠 진흥정책의 시사점" 법학연구소 35 (35): 473-497, 2011

      5 강병근, "스포츠중재재판소(CAS)를 통한 스포츠 분쟁의 처리" 5 : 2004

      6 오석응, "스포츠중재의 효율성과 과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1 (11): 11-31, 2008

      7 김상겸, "스포츠분쟁해결에 관한 헌법적 연구" (5) : 2004

      8 연기영, "스포츠분쟁 해결기구의 설립 방안" 5 : 2004

      9 양천수, "스포츠법에 대한 법이론적 접근"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1 (11): 335-355, 2008

      10 김상겸, "스포츠權의 憲法的 保障" (1) : 2000

      1 양병희, "한국에서 스포츠분쟁해결을 위한 ADR제도" 한국스포트엔터테인먼트법학회 (5) : 2004

      2 연기영,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의 설립과 활동"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0 (10): 415-433, 2007

      3 김경배, "한국 대체적 분쟁해결제도(ADR)의 제도화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18 (18): 251-274, 2005

      4 백윤철, "일본 스포츠 진흥정책의 시사점" 법학연구소 35 (35): 473-497, 2011

      5 강병근, "스포츠중재재판소(CAS)를 통한 스포츠 분쟁의 처리" 5 : 2004

      6 오석응, "스포츠중재의 효율성과 과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1 (11): 11-31, 2008

      7 김상겸, "스포츠분쟁해결에 관한 헌법적 연구" (5) : 2004

      8 연기영, "스포츠분쟁 해결기구의 설립 방안" 5 : 2004

      9 양천수, "스포츠법에 대한 법이론적 접근"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1 (11): 335-355, 2008

      10 김상겸, "스포츠權의 憲法的 保障" (1) : 2000

      11 남기연, "스포츠 중재 합의에 관한 법률적 검토" 법학연구소 10 (10): 483-510, 2009

      12 정승재, "스포츠 조정·중재제도의 법적 과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1 (11): 61-78, 2008

      13 채우석, "스포츠 분쟁해결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2 (12): 171-194, 2009

      14 안철순, "대안적 분쟁해결의 이론과 실제: 미국의 경험과 한국사회에의 적용"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소 1 (1): 2003

      15 임동진, "대안적 갈등해결 방식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2

      16 연기영,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비추어 본 한국스포츠중재위원회(KSAC)의역할과 과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1 (11): 91-127, 2008

      17 손석정 김현규, "국민체육진흥법의 제정과 변천과정 고찰" 2008

      18 김상찬, "ADR제도의 비교법적 연구* -아시아의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중재학회 19 (19): 67-91, 2009

      19 김용길, "ADR을 활용한 스포츠사건의 해결에 관한 고찰- 중재제도를 중심으로 -" 한국중재학회 21 (21): 109-130, 2011

      20 지철호, "ADR을 통한 스포츠분쟁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 2015

      21 이로리, "ADR을 통한 EU의 국경 간 분쟁해결제도 - EU 민․상사 중개지침을 중심으로 -" 법무부 (86) : 184-213, 2009

      22 스팃, 앨런 J, "ADR 소송없이 이기는 방법: 효과적인 갈등 해결 시스템은 어떻게 만들까?" 커뮤니케이션스북스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6-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포츠와 법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9-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포츠법학회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7-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0.74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