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엘리트 스포츠를 교육하는 지도자들에게 요구되는 가치 정향을 탐색함으로써 스포츠 분야에 만연해 있는 여러 문제점에 대한 변화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엘리트 스포츠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38019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1-250(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엘리트 스포츠를 교육하는 지도자들에게 요구되는 가치 정향을 탐색함으로써 스포츠 분야에 만연해 있는 여러 문제점에 대한 변화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엘리트 스포츠지...
목적: 엘리트 스포츠를 교육하는 지도자들에게 요구되는 가치 정향을 탐색함으로써 스포츠 분야에 만연해 있는 여러 문제점에 대한 변화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엘리트 스포츠지도자의 교육철학과 추구해야 할 가치 정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중국 노자의 「도덕경」 중 본 연구와 관련된 텍스트를 선별해 분석하였고 관련분야의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노자의 사상을 통하여 엘리트 스포츠지도자의 가치 정향을 탐색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중심 사고의 회복을 통하여 지도자와 선수 및 구성원 모두 ‘스스로 그러한(自然)’ 존귀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해야 하고, 지도자들은 현장에서 사람 중심의 가치를 실현해야 한다. 둘째, 승리 지상주의는 서로를 적대시하는 적대적 ‘상대성(相對性)’으로 인해 발생하였고, 엘리트 스포츠지도자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기대고 의지하며 기다리는 ‘상대성(相待性)’에 대한 가치 정향이 필요하다. 셋째, 노자의 무규정성과 무한성의 사상은 그동안 선수와 지도자와의 관계에서 지시와 복종, 갑과 을이라는 관계를 벗어나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아서 결국은 본인들에게 ‘돌아오는 관계(返)’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결론: 엘리트 스포츠 분야의 구조적인 문제점과 긍정적인 변화의 모색을 위해서 노자의 사상은 엘리트 스포츠지도자가 지녀야 할 가치 정향에 대한 이정표를 제시하는데 근본적인 착안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lues for change in the various problems prevalent in the sport field by examining the value orientation required by elite sport instructors. Methods: In order to identify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eli...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lues for change in the various problems prevalent in the sport field by examining the value orientation required by elite sport instructors.
Methods: In order to identify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elite sports instructors and the value orientation to be pursued, texts related to this study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Lao Tzu"s 「Tao Deokgyeong (Chinese), and a literature analysis in the releavant field was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value orientation of elite sports instructors through Lao-tzu"s thought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storation of human-centered thinking, all members (i.e., instructors, athletes) need to recognize that they are “self-like” noble beings, and instructors must realize human-centered values in the field. Second, victory supremacy was caused by hostile "relativity" that opposes each other, and elite sports instructors need to have a value orientation toward "relativity" where they lean on, depend on and wait for each other. Third, Lao-tzu"s thought of indefiniteness and infinity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athletes and the instructors has been influenced by each other beyond the relationship of instruction and obedience, and eventually returns to them, so-called. ‘return-relationship’.
Conclusion: To seek structural problems and positive changes in the field of elite sports, Lao-tzu"s ideology can provide fundamental ideas for presenting a milestone for the value orientation that elite sports instructors should hav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승표,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과 새로운 노인상" 동양철학연구회 (66) : 155-177, 2011
2 이진수, "한국체육사상사"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3 김형진, "학생운동선수의 스포츠윤리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김현덕, "평생 스포츠와 인간의 존재" 20 : 71-77, 2001
5 최의창, "코칭이란 무엇인가? 인문학적 스포츠 코칭론 탐구" 레인보우북스 2013
6 이학준, "체육철학 : 스포츠에서 승리와 패배의 함의" 38 (38): 68-76, 1999
7 이대형, "체육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지도 방안" 한국체육교육학회 7 (7): 17-37, 2003
8 이용선, "체육고등학교의 승리지상주의 문화"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6 (26): 1-19, 2013
9 최진석, "저자노트 :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142-146, 2015
10 박정준, "인성 함양을 위한 스포츠 경쟁 메커니즘의 반성적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281-297, 2013
1 홍승표, "老子의 이상적인 인간상과 새로운 노인상" 동양철학연구회 (66) : 155-177, 2011
2 이진수, "한국체육사상사"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3 김형진, "학생운동선수의 스포츠윤리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김현덕, "평생 스포츠와 인간의 존재" 20 : 71-77, 2001
5 최의창, "코칭이란 무엇인가? 인문학적 스포츠 코칭론 탐구" 레인보우북스 2013
6 이학준, "체육철학 : 스포츠에서 승리와 패배의 함의" 38 (38): 68-76, 1999
7 이대형, "체육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지도 방안" 한국체육교육학회 7 (7): 17-37, 2003
8 이용선, "체육고등학교의 승리지상주의 문화"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6 (26): 1-19, 2013
9 최진석, "저자노트 :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142-146, 2015
10 박정준, "인성 함양을 위한 스포츠 경쟁 메커니즘의 반성적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281-297, 2013
11 이종태, "인간 교육의 개념 정립을 위한 연구 :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 교육의 의미와 실천 방향 탐색" 18 : 99-123, 1997
12 전상완, "영화 <4등>을 통해 본 한국 스포츠폭력 문화의 실상 고찰" 한국스포츠학회 17 (17): 829-838, 2019
13 홍덕기, "스포츠혁신위원회 권고문 분석을 통한 한국사회 스포츠패러다임의 방향 설정과 과제" 한국체육학회 59 (59): 285-302, 2020
14 김홍식, "스포츠지도사와 스포츠철학" 한국체육철학회 26 (26): 21-30, 2018
15 김동혁, "스포츠인권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4 (14): 109-140, 2021
16 정현우, "선수중심코칭의 개념과 실제에 대한 탐색" 한국체육교육학회 25 (25): 89-104, 2021
17 김영갑, "사회트렌드와 스포츠(1): 4차 산업혁명과 스포츠" 한국체육철학회 25 (25): 101-115, 2017
18 안용규, "대학교육으로서 엘리트스포츠의 방향성 탐색" 한국체육철학회 16 (16): 15-29, 2008
19 이한주, "대학교 운동선수들 학업정상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 한국사회체육학회 (40) : 41-55, 2010
20 이영익, "대학 엘리트스포츠 지도자의 윤리적 리더십과 스포츠 윤리의식 및 경기력의 관계" 한국융합과학회 7 (7): 114-128, 2018
21 이민규, "노자의『도덕경(道德經)』에 근거한 ‘궁도(弓道)의 도(道)’에 대한 이해와 체육 교육적 의의 탐색" 한국체육학회 56 (56): 205-220, 2017
22 김부찬, "노자의 양생사상에 나타난 체육교육철학" 한국스포츠학회 10 (10): 105-114, 2012
23 황금중, "노자의 교육론과 그 사상적 의미" 18 (18): 47-70, 2005
24 김용옥, "노자가 옳았다" 통나무 2020
25 이계영, "노자 사상의 체육적 함의" 한국체육학회 52 (52): 49-58, 2013
26 우버들, "노자 『도덕경』에 담긴 포용교육 고찰" 한국교육철학회 (72) : 125-147, 2019
27 김성일, "⌜도덕경⌟에서 찾아본 체육교육론" 한국스포츠학회 17 (17): 183-191, 2019
28 김재경, "“유무상생(有無相生)”의 노자 철학에서 본 인문학적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의 인식 제고와 전망"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8 (18): 131-158, 2017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발달지체아동의 놀이중심 특수체육 프로그램 개발
초임 체육교사들의 체육수업 지도 어려움의 이해: 교육대학원에서 교원 자격을 취득한 교사 사례를 중심으로
협동게임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신체활동가치로서 ‘협동’의 가능성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8 | 1.78 | 1.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1 | 1.8 | 1.668 | 0.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