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脫護敎論的 관점으로 본 來韓 선교사 및 선교정책  :  Beyond the Lauding Standpoint for Protestantism = A Critical Appraisal on the Characteristics on the Early Missionaries and their Polic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278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 preliminary work for new research on the history of kindergarten in Korea. This new research is going to criticize the established research inclined to the lauding standpoint for Protestantism.
      The Missionaries, who came to Korea, since 1884, were mostly Americans and Fundamentalists. They emphasized on the thorough separation of the religion-church- from the politics. But inconsistently, they supported the political doctrine, or imperialism, of their own country. Besides they welcomed Japan's occupation of Korea. 'Anti political activity of the church' was the most distinguishing feature of missionary policy in Korea.
      As long as Fundamentalist hold the hegemony of the church, those churches could be hardly possible to league with Independent Movement. So, 'most of kindergarten which were built by those church were the last fortress for Independent Movement' the assertion of the established research, should be reconsidered.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a preliminary work for new research on the history of kindergarten in Korea. This new research is going to criticize the established research inclined to the lauding standpoint for Protestantism. The Missionaries, who came to Korea, s...

      This article is a preliminary work for new research on the history of kindergarten in Korea. This new research is going to criticize the established research inclined to the lauding standpoint for Protestantism.
      The Missionaries, who came to Korea, since 1884, were mostly Americans and Fundamentalists. They emphasized on the thorough separation of the religion-church- from the politics. But inconsistently, they supported the political doctrine, or imperialism, of their own country. Besides they welcomed Japan's occupation of Korea. 'Anti political activity of the church' was the most distinguishing feature of missionary policy in Korea.
      As long as Fundamentalist hold the hegemony of the church, those churches could be hardly possible to league with Independent Movement. So, 'most of kindergarten which were built by those church were the last fortress for Independent Movement' the assertion of the established research, should be reconside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회 형성과 개신교 선교사들" 『한국학보』75 여름 : 1884〜19601994.

      2 "평안도 기독교 세력과 친미엘리트의 형성" (겨울) : 1998.

      3 "일제하 사립중등학교의 위계적 배치" 26 (26): 2004.

      4 "윤치호 일기" 역사비평사 2001.

      5 "와서 우릴 도와라" 기독교문서선교회 2000.

      6 "신사참배에 대한 조선 기독교계의 대응양상 연구 『종교학연구』제7권" 1988.

      7 "식민지 교육의 연속성에 대한 관점과 식민주의의 ?근대성?에 대한 논의" 26 (26): 2004.

      8 "선교사와 일제하 조선의 교육 『한국 기독교와 역사』3호" 1994.

      9 "근대 한일관계에 있어서의 미국과 그 선교사의 위치" 12-12, 1970

      10 "그리스도 신문"

      1 "한국교회 형성과 개신교 선교사들" 『한국학보』75 여름 : 1884〜19601994.

      2 "평안도 기독교 세력과 친미엘리트의 형성" (겨울) : 1998.

      3 "일제하 사립중등학교의 위계적 배치" 26 (26): 2004.

      4 "윤치호 일기" 역사비평사 2001.

      5 "와서 우릴 도와라" 기독교문서선교회 2000.

      6 "신사참배에 대한 조선 기독교계의 대응양상 연구 『종교학연구』제7권" 1988.

      7 "식민지 교육의 연속성에 대한 관점과 식민주의의 ?근대성?에 대한 논의" 26 (26): 2004.

      8 "선교사와 일제하 조선의 교육 『한국 기독교와 역사』3호" 1994.

      9 "근대 한일관계에 있어서의 미국과 그 선교사의 위치" 12-12, 1970

      10 "그리스도 신문"

      11 "大正10年.『朝鮮彙報』『官報』『東洋之光』『그리스도 신문』國史編纂委員會"

      12 "『한국기독교와 민족의식』" 1991

      13 "『한국근대교육의 사상과 운동』" 1987

      14 "『종교와 이데올로기』" 1991.

      15 "『대한제국의 비극』" 집문당 문당 : 1999.

      16 "『개화기의 한미관계』" 1973.

      17 "『개화기 조선과 미국 선교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18 "『敎育과 民衆文化』" 1989.

      19 "South for 1918-1919."

      20 "R. E. The World Servic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1923.

      21 "F. A. Korea's Fight for freedom Reprinted in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19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Of Histor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57 1.215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