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研究はコアコンピテンシー強化のために大学の教養科目である「基礎 日本語」の授業をコンピテンス基盤型授業として開発することを目的とした。「...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07402
2021
-
기초일본어 ; 핵심역량 강화 ; 역량기반형교육 ; 교양교육 ; 수업설계 ; basic Japanese language course ; core competency improvement ; competency-based education ; general education ; instructional design ; 基礎日本語 ; コアコンピテンシー ; 強 ; 化 ; コンピテンス基盤型教 ; 育 ; 教 ; 養教 ; 育 ; 授業設計
830
KCI등재
학술저널
21-39(1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研究はコアコンピテンシー強化のために大学の教養科目である「基礎 日本語」の授業をコンピテンス基盤型授業として開発することを目的とした。「...
本研究はコアコンピテンシー強化のために大学の教養科目である「基礎 日本語」の授業をコンピテンス基盤型授業として開発することを目的とした。「基礎日本語」の授業は力量中心の教育運営の核心要素である授業内容の再構造化、学生参加型授業、フィードバックを強調した過程中心の評価を基に開発された。論者は「基礎日本語」の授業で達成できると期待されるコンピテンスとしてグローバル市民の力量に最も重点を置き、デジタル読解力、感性的な認知能力、創造的な問題発見力および解決力を授業と連携させた。「基礎日本語」の授業は4つのコアコンピテンシーを向上させるために授業の目標をコンピテンス別に設定し、週単位で授業内容がコアコンピテンシーまたは下位力量と繋がるように設計した。授業方法は討論、発表、共同学習などを活用し、多様な日本語ICT学習コンテンツとeポートフォリオを活用することによってデジタルリテラシーと授業省察能力を培えるようにした。以上の結果を通じて「基礎日本語」の授業とコアコンピテンシーを結び付ける可能性を探り、日本語教育がコンピテンス基盤型教育に寄与できることを確認した。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asic Japanese language course from a liberal arts course to a core competency-based course. The basic Japanese course is developed based on process-oriented evaluation, which emphasizes the key components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asic Japanese language course from a liberal arts course to a core competency-based course. The basic Japanese course is developed based on process-oriented evaluation, which emphasizes the key componen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al management: restructuring class content, student-engaging class and feedback. Among the four core competencies to be achieved in the course, global citizenship is greatly emphasized in liaison with the others - digital literacy, emotional cognition, and creative problem design and solution. In order to improve the four core competencies, the lesson goals are set separately by each competency, and the lessons of each week are designed to be linked to the core or sub competencies. The teaching methods used are class discussions, presentations, and collaborative learning enabling students to improve digital application and class reflection abilities through various Japanese ICT contents and e-portfolios. The research explored the possibility to connect a basic Japanese language course with core competencies, and the result confirmed that Japanese language education has a role to contribute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승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23, 2020
2 민춘기,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의 방법 이론 -TPACK와 대학교수법 중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25-238, 2020
3 이효성, "핵심역량 함양과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편 방안 탐색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53-265, 2020
4 박혜정, "핵심역량 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65-87, 2018
5 정선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83-310, 2016
6 조대하, "일본어교육에서의 ICT 리터러시 교육" 일본어문학회 (76) : 143-166, 2017
7 길혜지,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핵심요소가 중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6 (56): 289-315, 2018
8 김혜경, "수업에서 역량기반평가활동이 학습자 역량 및 수업효과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99-818, 2018
9 김은주, "산업체가 인식하는 대학 교양교육과 핵심역량 교육요구도 분석-보건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21-145, 2017
10 정철민, "대학 교양교육의 변화 - 하버드 교양교육 보고서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26 (26): 189-210, 2016
1 백승수,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당면 과제와 개선 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23, 2020
2 민춘기,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의 방법 이론 -TPACK와 대학교수법 중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25-238, 2020
3 이효성, "핵심역량 함양과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편 방안 탐색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53-265, 2020
4 박혜정, "핵심역량 기반 대학 교양교육과정 설계 모형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65-87, 2018
5 정선호,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P대학 학생의 인식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283-310, 2016
6 조대하, "일본어교육에서의 ICT 리터러시 교육" 일본어문학회 (76) : 143-166, 2017
7 길혜지,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핵심요소가 중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6 (56): 289-315, 2018
8 김혜경, "수업에서 역량기반평가활동이 학습자 역량 및 수업효과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99-818, 2018
9 김은주, "산업체가 인식하는 대학 교양교육과 핵심역량 교육요구도 분석-보건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21-145, 2017
10 정철민, "대학 교양교육의 변화 - 하버드 교양교육 보고서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교육학회 26 (26): 189-210, 2016
11 이숙정,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역량기반 교양교육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11-42, 2012
12 박영민,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경중마방(古鏡重磨方)』을 활용한 인성역량 함양 방안 탐색" 영남퇴계학연구원 (27) : 7-40, 2020
13 염미란, "교양일본어의 수업개선을 위한 기초연구-J대학교 학습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53-76, 2018
14 이영환, "교양교육을 위한 대학의 핵심역량 개발 과정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81-198, 2019
15 "福娘童話集の朗読"
16 "マルチメディア「にほんごをまなぼう」Ver.1.1"
17 윤혜경, "‘핵심역량교육’으로서 교양영어교육의 역할-경남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429-458, 2013
18 "PAGODA"
19 Rychen, D. S.,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Hogrefe & Huber Publisher 42-43, 2003
20 Wang, H., "Investigating feedback implemented by instructors to support online competency-based learning (CBL): a multiple case study" International advisory board 18 (18): 1-2, 2021
21 권영성, "4차 산업혁명과 외국어교육의 미래 - 일본어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일어교육학회 (54) : 57-77, 2021
22 교육부, "2021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편람 설명회 자료집"
23 교육부, "2018년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ACE+) 기본계획" 교육부 13-, 2018
24 정영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이해에 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11-237, 2019
1930~50년대 일본의 여성 앞치마를 통해서 본 여성의 표상 : 갓포기와 에이프런을 중심으로
근세시대 재해 속 서벌턴 피해자 : 1807년 에이타이바시(永代橋) 붕괴 사건을 중심으로
明治軍歌と昭和軍歌·軍国歌謡テキストに見られるメタファーの働き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5 | 0.25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5 | 0.23 | 0.565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