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방법: 문학사회학적 방법론(생산이론과 반영이론) 민요에는 사회적 자아가 하나의 집단적 주체로 등장한다. 다시 말해 민요에서 우리는 그 민족의 집단적 공동체적 의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5417
200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의 방법: 문학사회학적 방법론(생산이론과 반영이론) 민요에는 사회적 자아가 하나의 집단적 주체로 등장한다. 다시 말해 민요에서 우리는 그 민족의 집단적 공동체적 의식...
1. 연구의 방법: 문학사회학적 방법론(생산이론과 반영이론)
민요에는 사회적 자아가 하나의 집단적 주체로 등장한다. 다시 말해 민요에서 우리는 그 민족의 집단적 공동체적 의식을 엿볼 수 있다는 말이다. 민요에는 해당 민족의 삶이 지리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여건에 따라서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민요의 분석과 연구에는 문학사회학적 방법론이 그 연구방법론으로서 가장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문학사회학적 방법론은 생산이론과 반영이론으로 대별되는데, 생산자가 불분명한 민요의 경우 생산이론의 적용보다는 작품에 반영된 주체의 의식을 연구하는 반영이론이 더 타당할 것 같다. 반영이론을 통해서 우리는 민요에서 당시의 사회상을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2. 독일 민요와 한국 민요 비교 분석: 비교문학적 전제
본 연구는 민요의 기본 기능과 역할을 우리나라 민요에 국한시켜서 고찰하지 않고 그 범위를 확대하여 독일 민요와 비교해보고자 한다. 인간 본성의 표출로서, 그리고 사회적 결과물로서의 민요가 두 나라의 경우 어떠한 공통점을 지니며, 또 어떤 차이점을 지니는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간 비교 연구 방식interkulturelle Literaturwissenschaft을 택한다.
2.1. 문화간 비교 연구 방식
2.2. 문화적 억제: 한국의 유교와 독일의 계몽주의
2.3. 야한 민요의 수집
3. 민요란 무엇인가?
헤르더의 이론에 나타난 민중과 민요 개념의 비교 설명
4. 구체적 작품 분석: 교화적 기능의 민요와 에로틱한 민요의 대
비적 분석
4.1. 은유, 우의, 풍자, 비유 체계 비교 분석
4.2. 사랑의 테마와 관련된 정형적 표현 비교 분석
5. 문화간 연구 전문 독일 교수와의 공동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