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재활상담사 채용직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Job Placement of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19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장애인재활상담사 채용 직무와 배치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로 먼저, 장애인재활상담사 배치 직무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장애인재활관련 기관의 직무에대한 실태조사 방식을 통해 채용 직무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법 형식의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채용 직무는 양성과 교육관련 내용만 있을 뿐이지 배치 규정은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을 지닌 국제법외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미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둘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채용이 필요한 직무는 19개 직무영역으로 나타났으며 부처별로는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교육부, 국토교통부의 장애인재활사업을 실시하는 기관들이며, 셋째, 장애인재활상담사 배치 직무를 위하여 개정되어야 할 법 형식은 19개이며 법률과 시행령 각 4개, 시행규칙 3개, 고시 1개, 특수공법인의 직제 및 인사관리 규정 7개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재활상담사 채용 직무가 조속히정착되기 위해서는 법 형식에 대한 개정 외에도 첫째, 장애인재활상담 분야에 대한 명확한 업무기준과채용 및 자격기준을 확립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교육과정 보완과 자격 응시자중 사회복지사 자격을 가지고 응시하는 자와 장애인재활상담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자의 구분된 보수교육 체계 개선과 이행을 통해 해당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셋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윤리기준 마련과 교육 강화를 통해 직무의 전문성과 배치 필요성에 대해 모두가인정하고 공유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넷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적절한 보상체계와 위상확립을 위한한국장애인재활상담사협회에 대한 지원과 장애인재활상담사의 보수체계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장애인재활상담사 채용 직무와 배치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로 먼저, 장애인재활상담사 배치 직무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장애인재활관련 기...

      이 연구는 장애인재활상담사 채용 직무와 배치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로 먼저, 장애인재활상담사 배치 직무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장애인재활관련 기관의 직무에대한 실태조사 방식을 통해 채용 직무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법 형식의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채용 직무는 양성과 교육관련 내용만 있을 뿐이지 배치 규정은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을 지닌 국제법외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미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둘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채용이 필요한 직무는 19개 직무영역으로 나타났으며 부처별로는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교육부, 국토교통부의 장애인재활사업을 실시하는 기관들이며, 셋째, 장애인재활상담사 배치 직무를 위하여 개정되어야 할 법 형식은 19개이며 법률과 시행령 각 4개, 시행규칙 3개, 고시 1개, 특수공법인의 직제 및 인사관리 규정 7개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재활상담사 채용 직무가 조속히정착되기 위해서는 법 형식에 대한 개정 외에도 첫째, 장애인재활상담 분야에 대한 명확한 업무기준과채용 및 자격기준을 확립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교육과정 보완과 자격 응시자중 사회복지사 자격을 가지고 응시하는 자와 장애인재활상담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자의 구분된 보수교육 체계 개선과 이행을 통해 해당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셋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윤리기준 마련과 교육 강화를 통해 직무의 전문성과 배치 필요성에 대해 모두가인정하고 공유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넷째,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적절한 보상체계와 위상확립을 위한한국장애인재활상담사협회에 대한 지원과 장애인재활상담사의 보수체계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jop development and place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th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 study and through a survey of the duties of institutions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is analyzed that the regulations concerning the employ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re insufficient as they are found to have only training and education-related contents, but not only international law, Second, the jobs that require the recruit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include 19 job areas, including those that carry out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ird, there are 19 laws that need to be revised for the place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the legal form is four each of the laws and enforcement decree, three enforcement regulations, one code, and seven personnel management regulations for special public corpora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jop development and place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th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 study and through a survey of the duties of institutions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jop development and place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the research methods were literature study and through a survey of the duties of institutions related to the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is analyzed that the regulations concerning the employ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re insufficient as they are found to have only training and education-related contents, but not only international law, Second, the jobs that require the recruit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include 19 job areas, including those that carry out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ird, there are 19 laws that need to be revised for the place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nd the legal form is four each of the laws and enforcement decree, three enforcement regulations, one code, and seven personnel management regulations for special public corpor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무능력표준과 채용직무 Ⅲ. 장애인재활상담사 채용 직무에 대한 실태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 Ⅰ. 서 론 Ⅱ.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직무능력표준과 채용직무 Ⅲ. 장애인재활상담사 채용 직무에 대한 실태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운환, "장애인재활상담사 자격유형 개선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3 (23): 1-23, 2019

      2 박희찬, "우리나라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 고찰" 한국직업재활학회 13 (13): 129-155, 2003

      3 "https://www.onetonline.org/link/details/21-1015.00"

      4 "https://www.onetcenter.org/dl_files/ContentModel_DetailedDesc.pdf"

      5 Rubin, S. E, "Roles and Functions of Certified Rehabilitation Counselors" 27 : 199-224, 1984

      6 Na, W. H., "Research on the place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Korea Society of Rehabilitation Counselor 2019

      7 Na, W. H., "Research on job analysis of rehabilitation counselor"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2017

      8 Wright, G. N., "Rehabilitation skills inventory: Importance of counselor competencies" 31 (31): 107-118, 1987

      9 Beardsley, M.,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An investigation of generic job tasks and knowledge" 37 : 122-139, 1988

      10 Emener, W., "Rehabilitation counselor role and functions and sources of role strain" 11 : 57-59, 1980

      1 나운환, "장애인재활상담사 자격유형 개선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3 (23): 1-23, 2019

      2 박희찬, "우리나라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 고찰" 한국직업재활학회 13 (13): 129-155, 2003

      3 "https://www.onetonline.org/link/details/21-1015.00"

      4 "https://www.onetcenter.org/dl_files/ContentModel_DetailedDesc.pdf"

      5 Rubin, S. E, "Roles and Functions of Certified Rehabilitation Counselors" 27 : 199-224, 1984

      6 Na, W. H., "Research on the placement of rehabilitation counselor" Korea Society of Rehabilitation Counselor 2019

      7 Na, W. H., "Research on job analysis of rehabilitation counselor"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2017

      8 Wright, G. N., "Rehabilitation skills inventory: Importance of counselor competencies" 31 (31): 107-118, 1987

      9 Beardsley, M.,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An investigation of generic job tasks and knowledge" 37 : 122-139, 1988

      10 Emener, W., "Rehabilitation counselor role and functions and sources of role strain" 11 : 57-59, 1980

      11 Remley, T., "Rehabilitation counseling: A scholarly model for the generic profession of counseling" 37 (37): 182-186, 1993

      12 Whitehouse, F. A., "Rehabilitation clinician" 41 : 24-26, 1975

      13 "Korean Dictionary of Occupations"

      14 Kim, Y. B., "Feasibility study of national test evaluation of grade system"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2018

      15 Gilbride, D., "Demand-side job development: A model for the 1990s" 58 (58): 34-39, 1992

      16 이승욱, "DACUM법을 이용한 산재장애인 재활상담사 직무분석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8 (18): 137-158, 2008

      17 Patterson, J. B., "Certified rehabilitation counselors (CRC)" 18 (18): 45-47, 1987

      18 Roessler, R. T., "Cas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counseling" PRO-ED 2008

      19 Roessler, R. T., "Case management and rehabilitation counseling" PRO-ED 1998

      20 Hershenson, D., "Along for the ride: The evaluation of rehabilitation counselor education" 31 : 204-217, 1988

      21 Na, W. H., "A study on training program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10 (10): 61-80, 2000

      22 Shin, H. W., "A study on the expertise analysi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23 (23): 5-26, 2013

      23 Lee, H. K., "A study on eligibility criteria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KODDI 2015

      24 CARF, "2019 employment and community services" CARF International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9-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Rehabilitation of Persons Disabilies ->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with RI Korea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Mycobiology -> 재활복지
      외국어명 : Mycobiology ->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7 1.53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