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체대장암세포주 SW480에 대한 재배 와송의 항암효과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885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와송(둥근바위솔, Orostachys japonicus, OJ)은 면역조절, 항노화, 항산화, 독성제거 등의 치료적 효과를 가진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체대장암세포에 대한 재배 와송의 항암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체대장암세포주 SW480에 와송열수추출물을 72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대장암세포의 생존율은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와송은 SW480 세포의 증식과 이주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조군의 스크래치 gap은 24시간부터 유의하게 감소하는 반면, 와송열수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 I과 II의 스크래치 gap은 48시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실험군 I의 스크래치 gap은 72시간까지 유의하게 유지되었다. 와송이 생체 내에서 종양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대장암세포 주사 전, 31일 동안 수컷 C57BL/6 마우스(4주령)에게 와송열수추출물을 경구로 자유 섭취하게 하였다. 이후 SW480 세포(1×107 cells/100 μl)를 피하로 주입한 후 7일, 14일 그리고 28일에서 종양의 형성을 관찰하였고, 각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종양의 무게와 부피(㎣)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와송열수추출물을 섭취하는 동안 실험군 I, II의 체중은 대조군에 비해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SW480 세포 주입 이후 모든 실험군의 체중은 감소하였으나, 세포 주입 후 14일부터 와송 섭취 실험군의 체중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암세포 주입 후 7일과 14일에서 와송을 섭취한 실험군의 종양 무게와 부피는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28일에서는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실험군 II에서 종양 무게와 부피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와송이 인체 대장암세포의 성장, 증식 및 이주를 억제하며, 생체 내 종양형성(tumorigenesis)을 예방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재배와송은 천연 항암제 소재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와송(둥근바위솔, Orostachys japonicus, OJ)은 면역조절, 항노화, 항산화, 독성제거 등의 치료적 효과를 가진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체대장암세포에 대한 재배 와송의 항암효...

      와송(둥근바위솔, Orostachys japonicus, OJ)은 면역조절, 항노화, 항산화, 독성제거 등의 치료적 효과를 가진 약용식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인체대장암세포에 대한 재배 와송의 항암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체대장암세포주 SW480에 와송열수추출물을 72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대장암세포의 생존율은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와송은 SW480 세포의 증식과 이주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조군의 스크래치 gap은 24시간부터 유의하게 감소하는 반면, 와송열수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 I과 II의 스크래치 gap은 48시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실험군 I의 스크래치 gap은 72시간까지 유의하게 유지되었다. 와송이 생체 내에서 종양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대장암세포 주사 전, 31일 동안 수컷 C57BL/6 마우스(4주령)에게 와송열수추출물을 경구로 자유 섭취하게 하였다. 이후 SW480 세포(1×107 cells/100 μl)를 피하로 주입한 후 7일, 14일 그리고 28일에서 종양의 형성을 관찰하였고, 각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종양의 무게와 부피(㎣)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와송열수추출물을 섭취하는 동안 실험군 I, II의 체중은 대조군에 비해 지속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SW480 세포 주입 이후 모든 실험군의 체중은 감소하였으나, 세포 주입 후 14일부터 와송 섭취 실험군의 체중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암세포 주입 후 7일과 14일에서 와송을 섭취한 실험군의 종양 무게와 부피는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28일에서는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실험군 II에서 종양 무게와 부피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와송이 인체 대장암세포의 성장, 증식 및 이주를 억제하며, 생체 내 종양형성(tumorigenesis)을 예방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재배와송은 천연 항암제 소재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rostachys japonicus (OJ) is a medicinal herb with immunoregulatory, anti-aging, anti-oxidative, and many other therapeutic proper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anti-cancer property of cultivated OJ. SW480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cumulative exposure to OJ extract. We also observed inhibitory effects of OJ after 72 hr through the growth and migration of SW480 cells using scratch assay. SW480 cells in OJ-free medium began to move into the scratch site at 24 hr; however, cells in medium containing OJ did not migrate into the scratch site until 48 hr. Male C57BL/6 mice (4 weeks old) were orally administered OJ extract for 31 days before injection of SW480 cells. At 7, 14, and 28 days after subcutaneous injection of SW480 cells, tumor weight and volume were analyzed. The body weight of the OJ-treated group was continuously increased during administration of the OJ extract relative to the control group. Injection of SW480 cells caused a reduction in body weight in all groups; however, the OJ-treated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ody weight after 14 days. Tumor weight and volume were lower in the OJ-treated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28 days. Althou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OJ suppresses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uman colon cancer cells,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to provide preclinical evidence before launching clinical trials evaluating OJ as an anti-cancer biohealth product.
      번역하기

      Orostachys japonicus (OJ) is a medicinal herb with immunoregulatory, anti-aging, anti-oxidative, and many other therapeutic proper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anti-cancer property of cultivated OJ. SW480 cell viability was sign...

      Orostachys japonicus (OJ) is a medicinal herb with immunoregulatory, anti-aging, anti-oxidative, and many other therapeutic proper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anti-cancer property of cultivated OJ. SW480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cumulative exposure to OJ extract. We also observed inhibitory effects of OJ after 72 hr through the growth and migration of SW480 cells using scratch assay. SW480 cells in OJ-free medium began to move into the scratch site at 24 hr; however, cells in medium containing OJ did not migrate into the scratch site until 48 hr. Male C57BL/6 mice (4 weeks old) were orally administered OJ extract for 31 days before injection of SW480 cells. At 7, 14, and 28 days after subcutaneous injection of SW480 cells, tumor weight and volume were analyzed. The body weight of the OJ-treated group was continuously increased during administration of the OJ extract relative to the control group. Injection of SW480 cells caused a reduction in body weight in all groups; however, the OJ-treated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ody weight after 14 days. Tumor weight and volume were lower in the OJ-treated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28 days. Althou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OJ suppresses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uman colon cancer cells,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to provide preclinical evidence before launching clinical trials evaluating OJ as an anti-cancer biohealth produ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경진, "태백둥근바위솔 분화 재배를 위한 적정 광도, 용토 및 시비 수준" 한국화훼학회 21 (21): 46-51, 2013

      2 최선영, "채취 시기에 따른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157-164, 2008

      3 신성철, "재배 조건에 따른 바위솔의 총페놀함량 및 항산화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14 (14): 234-238, 2006

      4 김은진, "자생식물과 생약자원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44 (44): 337-342, 2012

      5 원영선, "인체 전립선 암세포에서 재배 와송의 항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67-73, 2014

      6 김재용, "인체 대장암 세포주 SW480에서 재배 와송의 세포 사멸 유도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4 (44): 317-323, 2012

      7 신소연, "인체 대장암 세포주 SW480에서 docosahexaenoic acid에 의한 침윤억제 기전" 한국생명과학회 20 (20): 561-571, 2010

      8 이경선, "와송추출물의 비만유발 ICR 마우스에서의 항비만 효과"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5 (45): 284-290, 2017

      9 성낙주, "와송의 이화학적 특성 및 NDMA 생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148-156, 2008

      10 오찬호, "와송의 HL60백혈병세포의 Apoptosis유도 효과" 한국생약학회 40 (40): 118-122, 2009

      1 정경진, "태백둥근바위솔 분화 재배를 위한 적정 광도, 용토 및 시비 수준" 한국화훼학회 21 (21): 46-51, 2013

      2 최선영, "채취 시기에 따른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157-164, 2008

      3 신성철, "재배 조건에 따른 바위솔의 총페놀함량 및 항산화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 14 (14): 234-238, 2006

      4 김은진, "자생식물과 생약자원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탐색" 한국식품과학회 44 (44): 337-342, 2012

      5 원영선, "인체 전립선 암세포에서 재배 와송의 항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67-73, 2014

      6 김재용, "인체 대장암 세포주 SW480에서 재배 와송의 세포 사멸 유도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4 (44): 317-323, 2012

      7 신소연, "인체 대장암 세포주 SW480에서 docosahexaenoic acid에 의한 침윤억제 기전" 한국생명과학회 20 (20): 561-571, 2010

      8 이경선, "와송추출물의 비만유발 ICR 마우스에서의 항비만 효과"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45 (45): 284-290, 2017

      9 성낙주, "와송의 이화학적 특성 및 NDMA 생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1 (21): 148-156, 2008

      10 오찬호, "와송의 HL60백혈병세포의 Apoptosis유도 효과" 한국생약학회 40 (40): 118-122, 2009

      11 안희영, "와송과 발효 와송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징 및 항산화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5 (25): 577-584, 2015

      12 이소정, "와송(Orostachys japonicus) 잎,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열 및 pH 안정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571-1579, 2009

      13 진동혁, "와송(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추출물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환경과학회 25 (25): 695-703, 2016

      14 권진, "와송 추출물이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학회 12 (12): 315-320, 2004

      15 윤소영, "와송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4-18, 2009

      16 김기훈, "와송 다당체 및 올리고당류의 생리 활성" 한국미생물학회 40 (40): 334-341, 2004

      17 김세건,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에 대한 와송 플라보노이드 분획물의 효과" 한국생약학회 40 (40): 51-58, 2009

      18 이수정, "생약재와 와송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성 흰쥐의 혈당강하 및 혈중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587-594, 2013

      19 박경욱, "대두박 식용사포닌의 항산화 및 대장암세포 성장 억제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6 (16): 754-758, 2009

      20 이수정, "건조 방법에 따른 와송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605-611, 2008

      21 Zhou, J., "Tumor hypoxia and cancer progression" 237 : 10-21, 2006

      22 Park, H. J., "Triterpene and steroids from Orostachys japonicus" 25 : 20-24, 1994

      23 Park, J. G., "Phenolic compounds from Orostachys japonicus having anti-HIV-1 protease activity" 6 : 117-121, 2000

      24 Ryu, D. S., "Orostachys japonicus induces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through the mitochondria-dependent apoptotic pathway i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45 : 459-469, 2014

      25 Amado, N. G., "Isoquercitrin suppresses colon cancer cell growth in vitro by targeting the 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289 : 35456-35467, 2014

      26 Li, H., "Inhibition of tumor growth of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in a nude mouse xenograft model by the total flavonoids from Arachniodes exilis" 2017 : 5310563-, 2017

      27 Lu, H., "Hypoglycemic effect of the total flavonoid fraction from folium Eriobotryae" 16 : 967-971, 2009

      28 Ryu, D. S., "Effects of the ethylacetate extract of Orostachys japonicus on induction of apoptosis through the p53-mediated signaling pathway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35 : 660-665, 2012

      29 류덕선, "Effects of polysaccharides derived from Orostachys japonicus on induction of cell cycle arrest and apoptotic cell death in human colon cancer cells" 생화학분자생물학회 43 (43): 750-755, 2010

      30 임순재, "Doxorubicin에 의한 내인성 산화질소가 인간 대장암 세포주에서의 세포사멸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4 (24): 1137-1143, 2014

      31 Choi, S. D., "Cytotoxicitie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gainst cancer cell lines" 12 : 25-30, 2005

      32 Takabayashi, K., "Continuous low-dose irradiation by I-125 seeds induces apoptosis of gastric cancer cells regardless of histological origin" 15 : 81-88, 2014

      33 Seo, D. J., "Comparison of the antiviral activity of flavonoids against murine norovirus and feline calicivirus" 60 : 25-30, 2016

      34 Lee, J. H., "Characterisation of flavonoids in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using HPLC-MS/MS: Contribution to the overall antioxidant effect" 124 : 1627-1633, 2011

      35 Statistics Korea,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6" 1-56, 2017

      36 정규원,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4" 대한암학회 49 (49): 292-305, 2017

      37 Vessal, M., "Antidiabetic effects of quercetin in streptozocin-induced diabetic rats" 135 : 357-364, 2003

      38 Lee, H. S.,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chloromethane fraction from Orostachys japonicus in RAW 264.7 cells: suppression of NF-${\kappa}B$ activation and MAPK signaling" 140 : 271-276, 2012

      39 Zhang, G. F., "Anti-diabetic potential of Orostachys japonicu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es mellitus rat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08

      40 Ju, S. A., "Administration of 6-gingerol greatly enhances the number of tumor-infiltrating lymphocytes in murine tumors" 130 : 2618-2628, 2012

      41 Kim, S. H., "Acute oral toxicity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Orostachys japonicus in mice" 52 : 1345-1350, 2014

      42 Park, H. J., "A study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22 : 78-84, 1991

      43 Kim, H. J., "A New epicatechin gallate and calpain inhibitory activity from Orostachys japonicus" 80 : 73-76,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7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