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의 일러스트레이션은 독자의 시선을 유도하며, 글보다 우선하여 한눈에 이야기의 주제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특징은 문자에 익숙하지 않은 유아에게 책에 대한 관심을 갖...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22868
2008
Korean
658.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5-46(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그림책의 일러스트레이션은 독자의 시선을 유도하며, 글보다 우선하여 한눈에 이야기의 주제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특징은 문자에 익숙하지 않은 유아에게 책에 대한 관심을 갖...
그림책의 일러스트레이션은 독자의 시선을 유도하며, 글보다 우선하여 한눈에 이야기의 주제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특징은 문자에 익숙하지 않은 유아에게 책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며 내용을 이해하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또한 그림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의미를 파악하는 시각적 해석 능력을 길러준다. 그림책은 유아 및 아동이 처음 접하게 되는 시각 기호, 조형요소, 상징들이 담긴 일러스트레이션의 집합체이다. 어린 독자들은 그림책을 통해서 사회·문화의 기본적인 토대를 형성하고 이해하며,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과 함께 시각예술의 즐거움을 알게 된다. 또한 문자 인식에 앞서 그림에 대한 감상을 통해 흥미와 감동을 받으며, 미적 감수성을 키우게 된다. 수많은 그림책들중에서 특히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을 통해 하나의 예술로서 좋은 그림책이 되기 위한 조건 즉, 그림과 글의 조화,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 이미지의 상징, 조형요소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초가 되는 조형요소 즉 점, 선, 면, 입체, 색, 질감, 빛, 시간, 공간 등의 기본적인 이론과 특징들을 이해하고, 각각의 조형요소가 중점적으로 활용된 그림책들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앤서니 브라운의 일러스트레이션에 내재된 조형요소와 상징성 분석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진입로 및 주변 보행공간 기본계획
지역자원의 효과적 활용과 컨텐츠화를 위한 서산시 축제의 특화·발전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