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건청 아동과 청각장애 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이 초기 아동기 때 언어적 경험의 양적, 질적 차이로 인해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아래 두 집단 간의 음운인식능력의 차이를 알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24563
2004
-
음운인식능력 ; 청각장애 ; 음절체 ; 운모 ; 음절구조 ; phonological awareness ; hearing impairment ; syllable structure ; rhyme ; body
370
KCI등재,SCOPUS,ESCI
학술저널
65-82(18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건청 아동과 청각장애 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이 초기 아동기 때 언어적 경험의 양적, 질적 차이로 인해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아래 두 집단 간의 음운인식능력의 차이를 알아...
본 연구는 건청 아동과 청각장애 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이 초기 아동기 때 언어적 경험의 양적, 질적 차이로 인해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아래 두 집단 간의 음운인식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건청 아동, 보청기 착용 아동,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집단 유형과 언어구조(좌분지, 우분지 구조)에 따른 음운인식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3, 4, 5세 건청 아동 34명과 청각장애 아동 31명이었다. 음운인식능력의 평가는 음절수 세기, 같은 음절로 시작하는 단어 찾기, 같은 음절로 끝나는 단어 찾기, 같은 음절체로 시작하는 단어 찾기, 같은 운모로 끝나는 단어 찾기, 같은 초성으로 시작하는 단어 찾기, 같은 종성으로 끝나는 단어 찾기로 크게 7가지 하위 영역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청각장애 아동과 건청 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은 유의하게 차이가 났으며, 집단유형에 따라서도 유의하게 차이가 났다. 음절구조에 따라서는 건청 아동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청각장애 아동과 건청 아동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음절, 음절체-운모, 음소 수준으로 음운인식능력이 발달해가고, 청각장애 아동은 다른 음운 단위보다 운모의 발달이 두드러졌으며, 한국어의 음운구조는 좌분지 구조이고, 청각장애 아동은 건청 아동에 비하여 특정 음운구조에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group was divided into children with hearing aids and those with cochlear implant.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group was divided into children with hearing aids and those with cochlear implant. The phonological awareness assessment tasks consisted of 34 questions with the subject required to point to the pictured word with the same sound. The study subjects were 34 normal children and 31 hearing impaire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honological aware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normal children and the hearing impaired children. (2) The phonological aware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normal children and the hearing aided children and the cochlear implanted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 of group.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onological awareness about syllable structure for the normal children, but not for either of the two hearing impaired group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오, "한글 글자열의 음독과 음운규칙 실험 및 인지" 8 (8): 1-23, 1996
2 홍성인, "한국 아동의 음운인식 발달" 2000
3 최은희, "한국 아동의 어휘 발달 연구" 2000
4 석동일, "음운장애치료"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0
5 백은아, "음운인식중재가 취학 전 언어장애아동의 초기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3
6 김영우, "음운인식 훈련이 읽기장애 아동의 문자해독에 미치는 영향" 2002
7 윤미정, "유아의 지능 단기기억 및 음운인식이 읽기에 미치는 영향" 2003
8 신지영, "우리말 소리의 체계" 한국문화사 2003
9 윤혜경, "아동의 한글읽기발달에 관한 연구: 자소-음소 대응 규칙의 터득을 중심으로" 1997
10 박향아, "아동의 음운인식 발달" 21 (21): 35-44, 2000
1 이광오, "한글 글자열의 음독과 음운규칙 실험 및 인지" 8 (8): 1-23, 1996
2 홍성인, "한국 아동의 음운인식 발달" 2000
3 최은희, "한국 아동의 어휘 발달 연구" 2000
4 석동일, "음운장애치료"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0
5 백은아, "음운인식중재가 취학 전 언어장애아동의 초기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2003
6 김영우, "음운인식 훈련이 읽기장애 아동의 문자해독에 미치는 영향" 2002
7 윤미정, "유아의 지능 단기기억 및 음운인식이 읽기에 미치는 영향" 2003
8 신지영, "우리말 소리의 체계" 한국문화사 2003
9 윤혜경, "아동의 한글읽기발달에 관한 연구: 자소-음소 대응 규칙의 터득을 중심으로" 1997
10 박향아, "아동의 음운인식 발달" 21 (21): 35-44, 2000
11 조윤경, "내가 할래요" 대한사회복지개발원 2000
12 Charlier, B. L, "The rhyming skills of deaf children educated with phonetically augmented speech-reading" 53a (53a): 349-375, 2000
13 Goswami, "Phonological skills and learning to rea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0
14 Hanson,V, "Phonological coding in word reading:Evidence from hearing and deaf readers" 15 : 199-207, 1987
15 Dodd,B, "Phonological coding by the prelinguistically deaf" 21 : 413-417, 1977
16 Sterne, A, "Phonological awareness of syllables, rhymes, and phonemes" 41 (41): 609-625, 2000
17 Yoon,, "Experimental studies of the syllable and the segment in Korean University of Albert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95
18 Yoon,, "Experimental studies of the syllable and the segment in Korean University of Albert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95
19 Bradley,L, "Categorizing sounds and learning to read a casual connection" 301 : 419-421, 1983
20 Van Kleeck, A, "A study of classroom-based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for preschoolers with speech and/or language disorders" 7 (7): 65-76, 1998
21 윤혜경, "A cross-linguistic investigation on the process of spelling-sound correspondence Some relations between oral language and reading development" 7 (7): 19-32, 1998
유창성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의 비유창성과 말 속도에 관한 비교 연구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의사소통 전략과 대화연쇄 유형 비교
이야기 도식화 전략 교수가 초등 고학년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 및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학령전기 경직형 하지마비 아동이 산출한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 |
2013-03-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 |
2012-12-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 |
2007-06-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 |
2006-09-1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 ![]() |
2005-10-1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1 | 1.18 | 1.626 | 0.33 |
Hearing Impairment in Mainstream: Rosie's World
Teachers TV Teachers TVHearing Impairment in Mainstream: Emily's World
Teachers TV Teachers TVBody Theology: From Conference to Classroom
Teachers TV Teachers TVB.U.S.(body-user-safety) 지식브릿지
K-MOOC 동의대학교 이재인, 권해연, 김윤희B.U.S.(body-user-safety) 지식브릿지
K-MOOC 동의대학교 이재인, 권해연, 김윤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