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의 Cavum Septi Pellucidi에 관한 자기공명영상 연구 = An MRI Study of Cavum Septi Pellucidi in Schizophrenia and Mood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91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뇌자기공명촬영술을 이용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와 기분장애 환자, 대조군의 Cavum Septi Pellucidi를 측정하여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에서 생물학적인 원인 중 하나인 신경 발달학적 가설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34명의 정신분열병 환자와 18명의 기분장애 환자, 22명의 대조군에게 자기공명촬영술을 시행하여 CSP의 출현 빈도 및 CSP의 크기에 따른 출현빈도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CSP의 출현 빈도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61%, 기분 장애환자에서 61%, 대조군에서 41%로 나타났다. T1 강조 축상 영상에서 가장 크게 보이는 단면에서 가로로 가장 긴 부분의 길이가 3mm 이상으로 정의한 큰 CSP의 출현빈도는 정신분혈병환자에서 24%, 기분 장애 환자에서 11%, 대조군에서 5%였고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대조군의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대조군의 순으로 큰 CSP의 빈도가 높은 경향성은 확인할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었기 때문에 신경발달학적 가설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향후 환자수를 확대하고 보다 정교하게 고안된 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뇌자기공명촬영술을 이용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와 기분장애 환자, 대조군의 Cavum Septi Pellucidi를 측정하여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에서 생물학적인 원인 중 하나인 신경 발달학적 ...

      연구목적:
      뇌자기공명촬영술을 이용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와 기분장애 환자, 대조군의 Cavum Septi Pellucidi를 측정하여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에서 생물학적인 원인 중 하나인 신경 발달학적 가설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34명의 정신분열병 환자와 18명의 기분장애 환자, 22명의 대조군에게 자기공명촬영술을 시행하여 CSP의 출현 빈도 및 CSP의 크기에 따른 출현빈도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CSP의 출현 빈도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61%, 기분 장애환자에서 61%, 대조군에서 41%로 나타났다. T1 강조 축상 영상에서 가장 크게 보이는 단면에서 가로로 가장 긴 부분의 길이가 3mm 이상으로 정의한 큰 CSP의 출현빈도는 정신분혈병환자에서 24%, 기분 장애 환자에서 11%, 대조군에서 5%였고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대조군의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정신분열병, 기분장애, 대조군의 순으로 큰 CSP의 빈도가 높은 경향성은 확인할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었기 때문에 신경발달학적 가설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향후 환자수를 확대하고 보다 정교하게 고안된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neuro-developmental hypothesis of schizo-phrenia and mood disorder.
      Methods: We performe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in 34 schizophrenic
      patients, 18 mood disorder patients and 22 controls and compared the incidence and the size of carum septi pellucidi(CSP).
      Results: The incidences of CSP in schizophrenia, mood disorder and controls were 61%,61%, and 41%, respectively. The incidences of large CSP, defined as largest diameter larger than 3mm in T1-weighted image, were 24% in schizophrenic patients, 11% in mood disorder patients, and 5% in controls. But they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We could find the tendency that the incidence of CSP was high as following order ; schizophrenia, mood disorder, control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verify neuro-developmental hypothesis, we need larger pool of patients and better study design.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neuro-developmental hypothesis of schizo-phrenia and mood disorder. Methods: We performe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in 34 schizophrenic patients, 18 mood disorder patients and 22 controls an...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neuro-developmental hypothesis of schizo-phrenia and mood disorder.
      Methods: We performe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in 34 schizophrenic
      patients, 18 mood disorder patients and 22 controls and compared the incidence and the size of carum septi pellucidi(CSP).
      Results: The incidences of CSP in schizophrenia, mood disorder and controls were 61%,61%, and 41%, respectively. The incidences of large CSP, defined as largest diameter larger than 3mm in T1-weighted image, were 24% in schizophrenic patients, 11% in mood disorder patients, and 5% in controls. But they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We could find the tendency that the incidence of CSP was high as following order ; schizophrenia, mood disorder, control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verify neuro-developmental hypothesis, we need larger pool of patients and better study desig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1. 연구대상
      • 2. CSP 측정 방법
      • 3. 자료 분석
      • Ⅰ. 서론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1. 연구대상
      • 2. CSP 측정 방법
      • 3. 자료 분석
      • Ⅲ. 결과
      • 1. CSP의 출현 빈도
      • 2. CSP의 크기에 따른 출현 빈도
      • Ⅳ. 토론
      • Ⅴ.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