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응급보수재료 평가에 관한 연구 = Evaluation on Patching Materials for Asphalt Pa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515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evaluation of the patching materials that are used to repair the distress of asphalt pavement. Four kinds of patching materials currently used in practice were tested in both laboratory and field. The laboratory tests included the dry and soaked Marshall stability test, indirect tensile test, wheel tracking test and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asphalt pavement and the repairing material was tested as a performance test. The field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lab samples placed on the location of vehicle tire passing and the performance of the repair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as passing the traffic load. The result of the laboratory tests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design criteria and material standard except for water-immersion stability. Type C patching material showed the highest adhesive shear strength among the patching materials tested. However, the mature distress, such as rutting and stripping were monitored after construction in 10 days.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 of patching material is lack of quality behavior when they were applied in the field and required to develop and applu to prevent the mature distress of the current patching materials.
      번역하기

      This study presents the evaluation of the patching materials that are used to repair the distress of asphalt pavement. Four kinds of patching materials currently used in practice were tested in both laboratory and field. The laboratory tests included ...

      This study presents the evaluation of the patching materials that are used to repair the distress of asphalt pavement. Four kinds of patching materials currently used in practice were tested in both laboratory and field. The laboratory tests included the dry and soaked Marshall stability test, indirect tensile test, wheel tracking test and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asphalt pavement and the repairing material was tested as a performance test. The field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lab samples placed on the location of vehicle tire passing and the performance of the repair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as passing the traffic load. The result of the laboratory tests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design criteria and material standard except for water-immersion stability. Type C patching material showed the highest adhesive shear strength among the patching materials tested. However, the mature distress, such as rutting and stripping were monitored after construction in 10 days.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 of patching material is lack of quality behavior when they were applied in the field and required to develop and applu to prevent the mature distress of the current patching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스팔트 포장 파손을 복구하는 보수재료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네가지 종류 재료들에대하여 실내 및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 시험으로 마샬안정도시험, 간접인장시험, 수침잔류 안정도시험, 휠트랙킹 시험을실시하였다. 또한 성능시험으로는 기존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과의 수평전단강도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시험은 아스팔트포장 도로상에서 차량바퀴가 통과하는 지점에 패칭 슬래브를 제작하여 차량 통과에 따른 공용 결과를 관찰하였다. 실내시험결과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설계 재료들의 기준은 수침잔류 안정도를 제외하고 만족하였다. Type C가 가장 높은 수평전단강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시공후 10일 이후부터 소성변형과 탈리와 같은 파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상온보수 재료들을 현장에 적용할 경우에 우수한 성능을 기대할 수 없어서 조기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시험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스팔트 포장 파손을 복구하는 보수재료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네가지 종류 재료들에대하여 실내 및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 시험으로 마샬안정...

      본 연구는 아스팔트 포장 파손을 복구하는 보수재료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네가지 종류 재료들에대하여 실내 및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 시험으로 마샬안정도시험, 간접인장시험, 수침잔류 안정도시험, 휠트랙킹 시험을실시하였다. 또한 성능시험으로는 기존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과의 수평전단강도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시험은 아스팔트포장 도로상에서 차량바퀴가 통과하는 지점에 패칭 슬래브를 제작하여 차량 통과에 따른 공용 결과를 관찰하였다. 실내시험결과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설계 재료들의 기준은 수침잔류 안정도를 제외하고 만족하였다. Type C가 가장 높은 수평전단강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시공후 10일 이후부터 소성변형과 탈리와 같은 파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상온보수 재료들을 현장에 적용할 경우에 우수한 성능을 기대할 수 없어서 조기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시험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도,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의 포트홀 응급보수재 평가" 5303-5306, 2005

      2 한종민, "아스팔트 혼합물의 전단강도 특성 분석 평가" 4 (4): 103-110, 2002

      3 이경하, "아스팔트 포장의 포트홀 저감대책" 57 (57): 2009

      4 "Two Year Report of Field Performance and Laboratory Evaluations of Rapid Setting Patching Materials for Portland Cement Concrete" NTPEP 2009

      5 "Evaluation of Pothole Patching Materials" NJDOT 2001

      1 황성도,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의 포트홀 응급보수재 평가" 5303-5306, 2005

      2 한종민, "아스팔트 혼합물의 전단강도 특성 분석 평가" 4 (4): 103-110, 2002

      3 이경하, "아스팔트 포장의 포트홀 저감대책" 57 (57): 2009

      4 "Two Year Report of Field Performance and Laboratory Evaluations of Rapid Setting Patching Materials for Portland Cement Concrete" NTPEP 2009

      5 "Evaluation of Pothole Patching Materials" NJDOT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로포장공학회 -> 한국도로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Pavement Engineers ->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7 0.43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