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金龍濟(1939.7.27), 「眞實と普遍性」, 『京城日報』"
2 윤대석, "조선어의 ‘마지막 수업’" 한국학연구소 (18) : 241-260, 2008
3 와타나베 나오키(渡? 直紀), "임화의 언어론" 국어국문학회 (138) : 433-460, 2004
4 "임화(1939.8.16~20), 「言葉を意識する」, 『경성일보』"
5 "임화(1936.3.8~24), 「조선어의 위기하의 조선문학」, 『조선중앙일보』"
6 임화, "예술적 인식표현의 수단으로서의 언어" 1936
7 임화, "언어의 현실성" 1936
8 임화, "언어의 마술성" 1936
9 윤대석, "언어와 식민지 in: 식민지 국민문학론" 역락 2006
10 임화, "언어와 문학" 1934
1 "金龍濟(1939.7.27), 「眞實と普遍性」, 『京城日報』"
2 윤대석, "조선어의 ‘마지막 수업’" 한국학연구소 (18) : 241-260, 2008
3 와타나베 나오키(渡? 直紀), "임화의 언어론" 국어국문학회 (138) : 433-460, 2004
4 "임화(1939.8.16~20), 「言葉を意識する」, 『경성일보』"
5 "임화(1936.3.8~24), 「조선어의 위기하의 조선문학」, 『조선중앙일보』"
6 임화, "예술적 인식표현의 수단으로서의 언어" 1936
7 임화, "언어의 현실성" 1936
8 임화, "언어의 마술성" 1936
9 윤대석, "언어와 식민지 in: 식민지 국민문학론" 역락 2006
10 임화, "언어와 문학" 1934
11 좌담회, "문학자의 자기비판" 1946
12 임화(, "문학어로서의 조선어" 1939
13 임화, "문학과 언어" 1935
14 임화, "문예의 융성과 어문정리" 1938
15 윤해동, "근대를 다시 읽는다1" 역사비평사 2006
16 "韓曉(1939.7.14), 「國文文學問題」, 『京城日報』"
17 編輯部, "朝鮮文學についての一つの疑問" 1940
18 座談會, "朝鮮文化の將來" 1939
19 玄永燮, "朝鮮人の進むべき道" 綠旗聯盟 1938
20 時枝誠記, "朝鮮に於ける国語政策及び國語敎育の將來" 1942
21 兪鎭午, "張赫宙氏へ in:帝國大學新聞" 1939
22 時枝誠記, "國語學への道" 明治書院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