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기 부산 음악교육기관과 음악교육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한국 근대 음악교육의 전통을 개관하고, 이러한 기반 위에서 해방기 부산의 음악교육기관의 설립과 음악교육의 지향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방기에 발간된 여러 매...

      이 글에서는 한국 근대 음악교육의 전통을 개관하고, 이러한 기반 위에서 해방기 부산의 음악교육기관의 설립과 음악교육의 지향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방기에 발간된 여러 매체의 기사와 광고 , 학교 자료, 원로음악가의 회고와 공연 팸플릿 등 실증자료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기독교계 학교에서 시작된 음악교육이 대학교육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일별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해방기 부산에서 이루어진 음악교육기관의 실체와 지향점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해방기 부산에는 우수한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음악활동이 역동적으로 펼쳐지는 가운데 다양한 형태와 목적의 음악교육기관이 체계를 갖추고 설립 운영되었다. 특히 초등 교원양성을 위해 설립한 부산사범학교에서 중등 음악교사 양성과를 설치하고 교사를 양성한 사례는 매우 이례적이다. 이 기관들은 재정난과 한국전쟁 발발로 지속되지 못했지만, 부산지역 음악인들의 교육적 역량과 음악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열정을 가늠하는 데 부족함이 없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전후 음악교육의 발전을 견인하는 토대로서의 해방기 음악교육의 의미를 새롭게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제껏 국가음악사에서 배제되었던 지역의 음악활동에 대한 논의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rofessional musician educating institutes in Bus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s a result of examining empirical data such as articles, advertisements and concert pamphlet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rofessional musician educating institutes in Busa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s a result of examining empirical data such as articles, advertisements and concert pamphlets publish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school materials, and memoirs written by local elder musicians, it was confirmed that professional musician educating institutes of various types and purposes were established and operated while various music activities were dynamically developed based on excellent human resources during the liberation in Busan. Although these institutes could not be sustained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t was possible to gauge the passion and capability of Busan musicians to nurture the next generation of musicians through these institut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discover the meaning of professional musician educating activiti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s a basis for driving the development of postwar music education.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was able to expand the scope of discussion about local music activities that had not been properly recogniz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머리
      • 2. 한국 근대 음악교육의 전통
      • 3. 해방기 부산 음악교육기관과 음악교육의 지향점
      • 4. 마무리
      • 국문초록
      • 1. 들머리
      • 2. 한국 근대 음악교육의 전통
      • 3. 해방기 부산 음악교육기관과 음악교육의 지향점
      • 4. 마무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釜山聯合靑年團音樂部, "更生決定"

      2 "홍김 양씨를 위임 연악회를 속개"

      3 방부원, "해방에서 5 16까지의 부산음악계"

      4 남영희, "해방기 부산음악사 연구" 부산대 2021

      5 남영희, "해방기 김학성의 초등용 100곡집 『노래모음』과 노래의 정전화" 한국문학회 (88) : 89-136, 2021

      6 고성휘, "해방공간의 음악교육적 환경에 관한 소고" 11 : 5-22,

      7 안미자, "해방 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교과과정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 25 : 111-146, 2001

      8 이상만, "한국음악백년, 일화로 엮어본 이면사(43)-김재훈의 ‘경성음악전문학원’"

      9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론" 한국학술정보(주) 2010

      10 박은경, "한국 최초의 민간음악교육기관 조선정악전습소 연구" 21 : 161-182, 2001

      1 釜山聯合靑年團音樂部, "更生決定"

      2 "홍김 양씨를 위임 연악회를 속개"

      3 방부원, "해방에서 5 16까지의 부산음악계"

      4 남영희, "해방기 부산음악사 연구" 부산대 2021

      5 남영희, "해방기 김학성의 초등용 100곡집 『노래모음』과 노래의 정전화" 한국문학회 (88) : 89-136, 2021

      6 고성휘, "해방공간의 음악교육적 환경에 관한 소고" 11 : 5-22,

      7 안미자, "해방 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교과과정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 25 : 111-146, 2001

      8 이상만, "한국음악백년, 일화로 엮어본 이면사(43)-김재훈의 ‘경성음악전문학원’"

      9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론" 한국학술정보(주) 2010

      10 박은경, "한국 최초의 민간음악교육기관 조선정악전습소 연구" 21 : 161-182, 2001

      11 "학교소식"

      12 "최초의 음악전문교 2월 1일부터 개교"

      13 제갈삼, "초창기 부산음악사" 세종출판사 2004

      14 "질식상태에 있는 부산악계"

      15 "중등음악교사양성과"

      16 "조선에 처음 생긴 리화녀자전문학교"

      17 "제2회 희망음악회-부산음악가대연주회 팸플릿"

      18 "음악주보"

      19 "음악전문학원 경기도에서 정식 인가"

      20 "음악전문학교 교비생(校費生)을 모집"

      21 조윤영, "음악을 통해 근대여성을 꿈꾸다" 인문과학연구소 (27) : 131-154, 2018

      22 "음악과 노어 강습소를 신설, 임시사무소를 관수동에"

      23 박형태, "음악계의 뿌리와 맥" 부산전문대학 7 : 35-38, 1986

      24 "유령음악강습회"

      25 "우리 음악부흥 음악학교 창립"

      26 "예술학원의 무도(舞蹈) 음악 6월 2일에 개회"

      27 "연악회관 준공, 오늘부터 개학"

      28 "연악회 확장, 세 곳에 지부 설치"

      29 "연악회 학생모집"

      30 "연구회관 신축"

      31 계정식, "악인 김재훈을 추모하며"

      32 "실내악을 주로 한 음악회 팸플릿"

      33 민경찬, "숭실과 한국의 근대음악" 숭실대학교 출판국 2017

      34 "서울음악전문학교 5개과를 신설하고 발족"

      35 이상규, "부산지방에서의 기독교 전래와 교육 의료활동(1880~1910)" (11) : 170-221, 1994

      36 "부산음악연구소 발표음악회 개최"

      37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부산시사 제4권"

      38 부산교육대학교60년사발간위원회, "부산교육대학교 60년사 : 1946-2006" 부산교육대학교 2006

      39 정태수, "미군정기 한국교육사자료집(1945~1948) 상" 홍지원 1992

      40 "무인가 학교 진학자는 요주의"

      41 노동은, "노동은의 세 번째 음악상자" 한국학술정보(주) 2010

      42 "남녀학생모집"

      43 금수현, "나의 시대 70" 월간음악출판부 1989

      44 남영희, "김학성의 삶과 음악 활동" 인문학연구원 122 : 199-243, 2021

      45 "김학성씨 제금독주회"

      46 "기축년 축하"

      47 "근화학원 확장, 음악과도 신설"

      48 "근화여교 29일부로 인가"

      49 "경성음악전문학원 수 정식 인가"

      50 노영숙, "개화기 선교사들의 기독교 교육이 근대 교육⋅문화에 기여한 교육적 의의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1884-1941)-"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4) : 349-388, 2013

      51 김윤정, "개항 이후 일본불교의 침투에 따른 사원의 건립과 건축특성 개관" 한국건축역사학회 21 (21): 53-74, 2012

      52 釜山聯合靑年團音樂部愈よ復活, "斯界の權威宇都宮氏を迎へ八日第一回練習會"

      53 노동은, "‘경성음악전문학원’은 어떤 학교이었나?" 19 : 122-134, 2000

      54 김용호, "1947년판 예술연감"

      55 "(광고) 서울음악전문학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6 1.32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