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와카세계를 통해 본 일본 헤이안시대 연애풍류 -헤이안시대 중기작품을 중심으로- = The love trends of the Japanese Heian Period focusing on Waka -Based on the Mid-Term Works of the Heia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783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trend of romantic relationship was studied, focusing on Waka in the mid-Heian age.
      In Heian age, for being a person of a romantic turn of mind, people needed to know how to recite Waka passionately. In the beginning of dating, Heian men and women were unable to meet face-to-face. Moreover, even after the marriage, there was a tradition that the couple lived separately and a husband had to visit a wife’s house for having sexual relationship. The viral exchanges of Waka in every level of romantic relationship was caused for these reasons.
      The trend of romantic relationship was based on Waka, and people tried to express their emotion and feelings with it. However, only expression of emotion was not good enough for recite decent Waka. They had to understand vibes of seasons and natures. Using these metaphors as a base was thought as an aesthetic sense that people needed to have.
      This aesthetic sense was caused by Kokinwakashu. The preface of this anthology Kana describes that songs (Waka) has power can make life of people better with an aesthetic sense based on nature. Heian people learned how to appreciate nature and how to express their feeling through Kokinwakashu. They introduced using waka as a way of communication for these reasons. Moreover, the aesthetic sense which is based on Kokinwakashu is inherited still in modern generation.
      번역하기

      In this article, the trend of romantic relationship was studied, focusing on Waka in the mid-Heian age. In Heian age, for being a person of a romantic turn of mind, people needed to know how to recite Waka passionately. In the beginning of dating, Hei...

      In this article, the trend of romantic relationship was studied, focusing on Waka in the mid-Heian age.
      In Heian age, for being a person of a romantic turn of mind, people needed to know how to recite Waka passionately. In the beginning of dating, Heian men and women were unable to meet face-to-face. Moreover, even after the marriage, there was a tradition that the couple lived separately and a husband had to visit a wife’s house for having sexual relationship. The viral exchanges of Waka in every level of romantic relationship was caused for these reasons.
      The trend of romantic relationship was based on Waka, and people tried to express their emotion and feelings with it. However, only expression of emotion was not good enough for recite decent Waka. They had to understand vibes of seasons and natures. Using these metaphors as a base was thought as an aesthetic sense that people needed to have.
      This aesthetic sense was caused by Kokinwakashu. The preface of this anthology Kana describes that songs (Waka) has power can make life of people better with an aesthetic sense based on nature. Heian people learned how to appreciate nature and how to express their feeling through Kokinwakashu. They introduced using waka as a way of communication for these reasons. Moreover, the aesthetic sense which is based on Kokinwakashu is inherited still in modern gen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헤이안 중기 작품 속의 와카를 중심으로 일본 헤이안 귀족들의 연애풍류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헤이안시대 풍류인은 정열적인 와카를 읊을 줄 알아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다. 연애 초기 남녀가 직접 대면할 수 없었고 결혼해서도 부부가 따로 지내며 남자가 여자의 집을 방문하는 방처혼이었기 때문에 연애의 모든 단계에서 와카의 증답이 행해지고 있다. 자신의 심정을 와카로 표현하는 것이 당시의 연애 흐름이지만, 심정표현만으로 완성도 높은 와카를 읊을 수는 없다. 자신을 둘러싼 계절이나 자연이 빚어내는 정취를 잘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심정을 잘 표현해야 하는 풍류의식을 지니고 있어야 했다.
      이러한 풍류의식(미의식)은 『고킨와카슈』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가집의 서문인 仮名序에서 기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당시 가인들은 ‘노래는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행복하게 하는 힘이 있다’고 믿었으며, 『고킨와카슈』 세계를 참고하여 자연을 감상하는 안목을 기르고 연애 감정 표현 방법도 습득하여 생활 속에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와카를 도입했다. 이러한 『고킨와카슈』 기반의 풍류의식은 헤이안시대만이 아니라 후대에까지 면면히 이어져 오늘날까지 계승되고 있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헤이안 중기 작품 속의 와카를 중심으로 일본 헤이안 귀족들의 연애풍류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헤이안시대 풍류인은 정열적인 와카를 읊을 줄 알아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다. 연...

      본고에서는 헤이안 중기 작품 속의 와카를 중심으로 일본 헤이안 귀족들의 연애풍류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헤이안시대 풍류인은 정열적인 와카를 읊을 줄 알아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다. 연애 초기 남녀가 직접 대면할 수 없었고 결혼해서도 부부가 따로 지내며 남자가 여자의 집을 방문하는 방처혼이었기 때문에 연애의 모든 단계에서 와카의 증답이 행해지고 있다. 자신의 심정을 와카로 표현하는 것이 당시의 연애 흐름이지만, 심정표현만으로 완성도 높은 와카를 읊을 수는 없다. 자신을 둘러싼 계절이나 자연이 빚어내는 정취를 잘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심정을 잘 표현해야 하는 풍류의식을 지니고 있어야 했다.
      이러한 풍류의식(미의식)은 『고킨와카슈』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가집의 서문인 仮名序에서 기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당시 가인들은 ‘노래는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행복하게 하는 힘이 있다’고 믿었으며, 『고킨와카슈』 세계를 참고하여 자연을 감상하는 안목을 기르고 연애 감정 표현 방법도 습득하여 생활 속에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와카를 도입했다. 이러한 『고킨와카슈』 기반의 풍류의식은 헤이안시대만이 아니라 후대에까지 면면히 이어져 오늘날까지 계승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천일, "풍류인" 어드북스 12-, 2012

      2 今井卓爾, "美の世界 雅びの継承" 勉誠社 170-181, 1992

      3 山田繁雄, "百人一首" 三省堂 124-, 2002

      4 阿部秋生, "源氏物語, 1" 小学館 159-187, 1996

      5 松尾聰, "枕草子" 小学館 89-, 1996

      6 西村亨, "日本の四季" 講談社學術文庫 21-22, 1979

      7 久保田淳, "後拾遺集" 岩波書店 302-, 1994

      8 新村出, "廣辭苑" 岩波書店 2475-, 1993

      9 菊地靖彦, "土佐日記 蜻蛉日記" 小学館 288-, 2000

      10 藤岡忠美, "和泉式部日記․紫式部日記․更級日記․讃岐典侍日記" 小学館 334-335, 1995

      1 김천일, "풍류인" 어드북스 12-, 2012

      2 今井卓爾, "美の世界 雅びの継承" 勉誠社 170-181, 1992

      3 山田繁雄, "百人一首" 三省堂 124-, 2002

      4 阿部秋生, "源氏物語, 1" 小学館 159-187, 1996

      5 松尾聰, "枕草子" 小学館 89-, 1996

      6 西村亨, "日本の四季" 講談社學術文庫 21-22, 1979

      7 久保田淳, "後拾遺集" 岩波書店 302-, 1994

      8 新村出, "廣辭苑" 岩波書店 2475-, 1993

      9 菊地靖彦, "土佐日記 蜻蛉日記" 小学館 288-, 2000

      10 藤岡忠美, "和泉式部日記․紫式部日記․更級日記․讃岐典侍日記" 小学館 334-335, 1995

      11 小沢正夫, "古今和歌集" 小学館 17-, 1994

      12 中野幸一, "伊勢物語" 旺文社 110-112, 1990

      13 尼ヶ崎彬, "いきと風流" 大修館書店 47-52, 2017

      14 大岡信, "あなたに語る日本文学史" 新書館 88-92, 1995

      15 https://search.yahoo.co.jp/search?p=%E8%97%A4%E5%8E%9F%E8%A1%8C%E6%88%90&aq=0&oq=%E8%97%A4%E5%8E%9F%E8%A1%8C&at=s&ai=5jVA2krUTJeNtQ13PVkJoA&ts=2832&ei=UTF-8&fr=top_ga1_sa&x=wrt, "https://search.yahoo.co.jp/search?p=%E8%97%A4%E5%8E%9F%E8%A1%8C%E6%88%90&aq=0&oq=%E8%97%A4%E5%8E%9F%E8%A1%8C&at=s&ai=5jVA2krUTJeNtQ13PVkJoA&ts=2832&ei=UTF-8&fr=top_ga1_sa&x=wr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東아시아古代學 -> 동아시아고대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9 0.68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