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 조선 대목구장에 임명된 바르텔레미 브뤼기에르 주교는 끝내 자신의 임지에 부임하지 못하고 도중에 사망하고 말았다. 그 이유에 대해서 상세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66952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85-215(3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초대 조선 대목구장에 임명된 바르텔레미 브뤼기에르 주교는 끝내 자신의 임지에 부임하지 못하고 도중에 사망하고 말았다. 그 이유에 대해서 상세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하...
초대 조선 대목구장에 임명된 바르텔레미 브뤼기에르 주교는 끝내 자신의 임지에 부임하지 못하고 도중에 사망하고 말았다. 그 이유에 대해서 상세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본다면 샤를르 달레가 자신의 저서에서 지적하였던 내용이 통설의 자리를 점하고 있다. 즉 당시 중국 교회의 교구 조직 전반을 관할하고 있던 포르투갈 선교사들이 브뤼기에르 주교의 조선 입국에 대해서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하였고, 이 일로 말미암아 브뤼기에르 주교는 대단히 어려운 여행을 할 수밖에 없었으며, 급기야 조선 입국을 목전에 두고 병사하는 사태가 벌어졌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것은 브뤼기에르 주교와 포르투갈 선교사들 사이의 갈등에 관한 문제이다. 브뤼기에르 주교가 조선 대목구장에 임명될 당시에 조선 교회의 관할권을 가지고 있었던 사람은 남경 교구장 겸 북경교구장 서리 피레스 페레이라 주교였다. 많은 교회사 서술들을 살펴보면 브뤼기에르 주교와 피레스 주교 사이에 모종의 불안한 기류가 흐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중국과 인접 국가들에서 활동하던 포르투갈 선교사들은 교황청이 포르투갈 국왕에게 부여한 특별한 권한, 즉 선교상의 보호권(patronatus)에 충실한 인물들이었다. 그러므로 로마에서 조선 지역을 독립된 대목구로 선포하고 프랑스 선교사를 파견한 것에 대해서 포르투갈 선교사들이 내심 달가워하지 않았을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1773년 글레멘스 14세 교황이 예수회를 해산한 뒤에 아시아지역의 선교지 상황은 대단히 복잡한 모습으로 전개되었다. 이 때문에 통킹, 샴, 중국 사천 등지에서 활동하던 파리 외방전교회, 북경의 북당을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서만자로 근거지를 옮긴 프랑스 라자로회, 북경의 남당과 남경, 마카오 등지에서 활동하던 포르투갈 라자로회, 복건에서 활동하던 에스파냐 도미니코회, 산서에서 활동하던 이탈리아 프란치스코회 등 여러 선교 단체들 사이의 친소(親疎) 관계가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고 하겠다. 심지어 동일한 선교회에 소속된 선교사들 사이에서도 알력과 갈등이 있었다. 이런 이유로 브뤼기에르 주교에 대한 포르투갈 선교사들의 태도를 단지 보호권 수호를 위한 방해 책동이라고만 보아서는 안 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st Vicar Apostolic of Korea, Monseigneur Bruguiere travelled the mainland of China from 1832 to 1835. Despite being sick from exhaustion, heat and lack of food, he pressed forward with his plan to enter Korea. However, his plan was much complic...
The first Vicar Apostolic of Korea, Monseigneur Bruguiere travelled the mainland of China from 1832 to 1835. Despite being sick from exhaustion, heat and lack of food, he pressed forward with his plan to enter Korea. However, his plan was much complicated by the restriction placed on him by the Patronatus system. The Patronatus, an agreement between Portugal, Spain and the Holy See, meant that the administration of the local Church was to be delegated by the Pope to the respective kings. So Portuguese missionaries who worked in China never felt glad to hear the establishment of the Vicariate Apostolic of Korea independent from the Diocese of Pekin(1831). Unfortunately Mgr. Bruguiere died on October 20, 1835, in a Chinese Catholic village, Makiatze, on the doorstep of Korea.
Fr. Charles Dallet, the author of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1874), attributed the cause of the death of Mgr. Bruguiere to the unfriendly attitude of Portuguese missionaries, especially Mgr. Pires Pereira, Bishop of Nankin and the administrator of Pekin. We would not disagree with the opinion of Fr. Dallet. But There were many complicated situations about the difficulties of Mgr. Bruguiere and also to the part of Portuguese missionaries they were engaged in the reasonable circumstances.
From this point of view, we traced the missionary conditions after the abolition of the Society of Jesus in 1773. Many Catholic missionary congregations worked in China, e.g. the Society of Foreign Missions of Paris which worked in Tonkin, Siam, Sichuan ; the French and Portuguese Lazarists who lived in Pekin ; the Spanish Dominicans who worked in Fujian ; the Italian Franciscans in Shansi. They had very multiple layered and sometimes incompatible standpoints about the Korean mission. So we would insist that the confusion of the misunderstandings of Portuguese missionaries and the over excessive response of Mgr. Bruguiere resulted in his premature decease. But it was to be a crucial turning point to change the historical stream of the East Asian Catholic Churc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민구, "한국 초기 교회에 관한 교황청 자료 모음집" 가톨릭출판사 2000
2 조현범,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와 문화" 한국교회사연구소 2011
3 정진석, "초기 한국교회의 교계적 구조의 역사와 그 해설" 광주가톨릭대학교 55 : 1981
4 이석재, "중국천주교회와 조선천주교회의 연계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5 최석우, "조선에서의 첫 대목구 설정과 가톨릭교의 기원" 한국교회사연구소 2012
6 한국교회사연구소, "조선교구 역대 교구장 문서 제1집 브뤼기에르 주교여행기" 한국교회사연구소 2008
7 피에르 엠마뉘엘 후, "조선 架橋의 재발견 : 16-19세기 천주교 선교사의 조선 진출 전략에 대한 기초연구" 16 : 2011
8 수원교회사연구소, "앵베르 주교 서한" 천주교 수원교구 2011
9 조현범, "발로 쓰는 한국 천주교의 역사" 분도출판사 2011
10 松浦章, "淸代浙江乍浦における日本貿易と沿海貿易の連關" 關西大學校 (創刊) : 2008
1 윤민구, "한국 초기 교회에 관한 교황청 자료 모음집" 가톨릭출판사 2000
2 조현범,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와 문화" 한국교회사연구소 2011
3 정진석, "초기 한국교회의 교계적 구조의 역사와 그 해설" 광주가톨릭대학교 55 : 1981
4 이석재, "중국천주교회와 조선천주교회의 연계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5 최석우, "조선에서의 첫 대목구 설정과 가톨릭교의 기원" 한국교회사연구소 2012
6 한국교회사연구소, "조선교구 역대 교구장 문서 제1집 브뤼기에르 주교여행기" 한국교회사연구소 2008
7 피에르 엠마뉘엘 후, "조선 架橋의 재발견 : 16-19세기 천주교 선교사의 조선 진출 전략에 대한 기초연구" 16 : 2011
8 수원교회사연구소, "앵베르 주교 서한" 천주교 수원교구 2011
9 조현범, "발로 쓰는 한국 천주교의 역사" 분도출판사 2011
10 松浦章, "淸代浙江乍浦における日本貿易と沿海貿易の連關" 關西大學校 (創刊) : 2008
11 Roux, Pierre-Emmanuel, "Trinité Antichrétienne : Essai sur la Proscription du Catholicisme en Chine, en Corée et ay Japon(XVIIe-XIXe Siècles)" EHESS 2013
12 van den Brandt, J., "Les Lazaristes en Chine 1697-1935, Notes Biographiques" Imprimerie des Lazaristes 1936
13 Gützlaff, Charles, "Journal of Three Voyages Along the Coast of China" 경인문화사 2000
14 "Congregazione per l’Evangelizzazione dei Popoli, Archivio Storico :Fondo SOCP, v. 76 ; Fondo Acta C.P. vol. XXII ; Procura (Canton/Macao/Hong Kong), v. 20"
15 "Archives des Missions Etrangères de Paris : v. 321 ; v. 577 ; v. 579 ;v. 1254"
16 "Annales de la Propagation de la Foi, t. 6, 1834, n. 35"
18~19세기 연행사절의 북경 천주당 방문 양상과 의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39 | 1.107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