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무신도의 조형원리와 미적 특질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ve principl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hindo: firs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ainting styles of Chosun-era portraits and Goseungjinyoung and the formative styles of Mushindo; second, the changing progress of painting style in accepting the changes of the contemporary era compared to those from the past; third, the reflection of Korean ideas on Mushindo. Through exploring such po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formative principl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hindo on popular visual culture.
      Korean Mushindo is the portrait of gods materially visualizing the reality of conceptual gods. It visualizes abstract and ambiguous gods of shamanism relying on the supernatural powers of the spirits.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village Gut (ritual / exorcism) wishing for the well-being and prosperity of the village, that is, the collective ideas of the villagers and the shaman who was responsible for the spirit guarding the village and its ritual were reflected on Mushindo. Mushindo is the portrait of spirits worshipped by Gangshinmu north of Han River in the past. If a portrait possesses character, Mushindo possesses deity. The fact that Mushindo has become to resemble the form of a portrait of a human being with clothing is because shamanism had a belief that gods had the same appearances as human. The fact that gods were described with social attitudes or characteristics of human confirms that not only the shamanism view on deity, but also the aesthetic and values of Koreans were reflected on them. Researches on Mushindo have been about folklorists describing it merely as one of shamanism tools or treating its symbolic side; however, now that many Mushindo paintings from may museums have been published since 1990s and reveals to the public, research results from relevant scholars are being released.
      In this paper, the Mushindo currently enshrined at the Bugundang of Han River basin wa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visual culture and generally considered the Mushindo cases about the unity of formative styles and how various deities are differentiated. Along with this, the Mushindo of Bugundang in Itaewon-dong which was newly created in 1967 when Bugundang was in repair was compared to the Mushindo pieces currently being produced and supplied to examine the change in painting styles. In an effort to find the origin of Mushindo styles, the similarities and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Mushindo and Chosun-era portraits / Goseungjinyoung of temples. The painting styles were categorized into those of altar portraits or similar with large ares of red and smooth lines, those with elegant lines and stable coloring of skillfulness to those with contrasting flashy colors of folk, and those of Jeju Naewatdang which is clearly distinct from those of the land.
      Mushindo, a visual culture of the village community unifying the members through Gut, followed a formative style and expressed a fantastic device friendly introducing the unreal world of gods so that anyone can recognize. Fantasy is what people in line with shamanism experience by going back and forth in the imaginary spatial movement from the world of unreality to reality and reality to unreality according to the lead of the Mudang, and lies within travelling through history to realize oneself as a cosmic being and coming back to reality to find one's identity again. Mushindo posses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culture as a visual medium refreshing the experiences of such godliness.
      번역하기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ve principl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hindo: firs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ainting styles of Chosun-era portraits and Goseungjinyoung and the f...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ve principl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hindo: firs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ainting styles of Chosun-era portraits and Goseungjinyoung and the formative styles of Mushindo; second, the changing progress of painting style in accepting the changes of the contemporary era compared to those from the past; third, the reflection of Korean ideas on Mushindo. Through exploring such poi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formative principle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hindo on popular visual culture.
      Korean Mushindo is the portrait of gods materially visualizing the reality of conceptual gods. It visualizes abstract and ambiguous gods of shamanism relying on the supernatural powers of the spirits.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village Gut (ritual / exorcism) wishing for the well-being and prosperity of the village, that is, the collective ideas of the villagers and the shaman who was responsible for the spirit guarding the village and its ritual were reflected on Mushindo. Mushindo is the portrait of spirits worshipped by Gangshinmu north of Han River in the past. If a portrait possesses character, Mushindo possesses deity. The fact that Mushindo has become to resemble the form of a portrait of a human being with clothing is because shamanism had a belief that gods had the same appearances as human. The fact that gods were described with social attitudes or characteristics of human confirms that not only the shamanism view on deity, but also the aesthetic and values of Koreans were reflected on them. Researches on Mushindo have been about folklorists describing it merely as one of shamanism tools or treating its symbolic side; however, now that many Mushindo paintings from may museums have been published since 1990s and reveals to the public, research results from relevant scholars are being released.
      In this paper, the Mushindo currently enshrined at the Bugundang of Han River basin wa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visual culture and generally considered the Mushindo cases about the unity of formative styles and how various deities are differentiated. Along with this, the Mushindo of Bugundang in Itaewon-dong which was newly created in 1967 when Bugundang was in repair was compared to the Mushindo pieces currently being produced and supplied to examine the change in painting styles. In an effort to find the origin of Mushindo styles, the similarities and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Mushindo and Chosun-era portraits / Goseungjinyoung of temples. The painting styles were categorized into those of altar portraits or similar with large ares of red and smooth lines, those with elegant lines and stable coloring of skillfulness to those with contrasting flashy colors of folk, and those of Jeju Naewatdang which is clearly distinct from those of the land.
      Mushindo, a visual culture of the village community unifying the members through Gut, followed a formative style and expressed a fantastic device friendly introducing the unreal world of gods so that anyone can recognize. Fantasy is what people in line with shamanism experience by going back and forth in the imaginary spatial movement from the world of unreality to reality and reality to unreality according to the lead of the Mudang, and lies within travelling through history to realize oneself as a cosmic being and coming back to reality to find one's identity again. Mushindo posses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culture as a visual medium refreshing the experiences of such godli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무신도의 조형원리와 미적 특질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첫째, 무신도의 원형을 찾아보는 일로 조선시대의 초상화 및 고승진영의 회화양식과 무신도의 조형방식이 어떤 관련성은 없는가 하는 것이고, 둘째, 현재를 기점으로 현재의 무신도와 과거의 것 사이에는 시대적 변화를 수용하는 화법의 어떤 변천 과정을 갖고 있는가 하는 것이며, 셋째는, 초자연적인 신격에 대한 한국인의 사고가 무신도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탐색을 통하여 한국 무신도의 조형원리와 그 속에 담긴 미적 특질이 민간의 시각문화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의 무신도는 관념적인 신격의 실상을 유형적으로 시각화한 신의 초상화로서 초자연적인 정령의 힘에 의존하는 모호하고 추상적인 무속의 신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마을굿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즉, 마을을 수호하는 신령과 제의를 주관하는 무당과 마을 사람들의 집단적 사고방식이 무신도에 투영되었다. 이 사고방식은 고대사회에서부터 후대로 내려오며 반복적으로 학습되고 공유해온 관습의 범주에서 사람들의 종교적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위치 기준 태도를 말하며 가치관의 바람직한 상징과 미의식을 공유하게 된다. 무신도는 과거 한강이북의 강신무들이 섬기는 신의 화상이므로 신령의 초상화인 셈이다. 무신도가 인체와 같은 외형을 갖추고 의복을 착용한 인물화 형식의 그림이 된 것은 무속에서 신을 인간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인간의 사회적 태도나 성격과 유사하게 표현된 신격을 보면 무속의 신관 뿐 아니라 한국인의 미의식과 가치관이 반영된 것을 알 수 있다. 무신도에 관한 연구는 민속학자들의 연구물 가운데 민속학적 관점에서 간략히 무구의 하나로 기술하는 정도에 그치거나 상징적 측면을 부분적으로 다루어 왔는데 여러 박물관 수장고에 쌓인 다량의 무신도의 화보들이 1989년부터 지금까지 출간되면서 상당한 양의 무신도가 일반에게 널리 소개되었고, 이에 힘입은 관련학자들의 연구조사 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화보들과 현재 한강유역의 부군당에 봉안된 무신도를 시각문화적인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관찰하고 조형방식의 통일성이 무엇인지, 다양한 종류의 신격은 어떻게 차별화되는지에 대한 무신도의 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1967년 부군당을 보수하면서 새로 제작된 이태원동 부군당의 무신도와 현재 제작 공급되고 있는 무신도를 포함하여 화풍의 변천을 살폈다. 무신도의 양식의 연원을 찾는 과정에서 조선시대 초상화, 사찰의 고승진영과 무신도의 표현양식 간의 유사성과 아울러 근본적인 차이점을 밝혔다. 화법의 유형은 선이 곱고 상대적으로 적색의 면적이 많은 탱화의 화법이거나 그와 유사한 것, 선이 유려하고 설채가 안정된 숙련된 화법에서 부터 선이 거칠고 색채 대비가 현란한 것 사이에 정도차가 많은 민화적인 것, 화법이 육지의 것과 명확히 구분되는 제주 내왓당의 것으로 크게 분류했다. 무신도는 마을의 굿을 통해 구성원들의 결속을 다지던 마을 공동체의 시각문화로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비현실적인 신의 세계를 쉽고 친근하게 소개하는 조형방식을 따르고 환상적인 장치를 한다. 환상은 무속의 문화를 향유하는 사람들이 굿거리마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 무신도의 조형원리와 미적 특질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첫째, 무신도의 원형을 찾아보는 일로 조선시대의 초상화 및 고승진영의 회화양식과 무신도의 조형방식...

      본 연구는 한국 무신도의 조형원리와 미적 특질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첫째, 무신도의 원형을 찾아보는 일로 조선시대의 초상화 및 고승진영의 회화양식과 무신도의 조형방식이 어떤 관련성은 없는가 하는 것이고, 둘째, 현재를 기점으로 현재의 무신도와 과거의 것 사이에는 시대적 변화를 수용하는 화법의 어떤 변천 과정을 갖고 있는가 하는 것이며, 셋째는, 초자연적인 신격에 대한 한국인의 사고가 무신도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탐색을 통하여 한국 무신도의 조형원리와 그 속에 담긴 미적 특질이 민간의 시각문화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의 무신도는 관념적인 신격의 실상을 유형적으로 시각화한 신의 초상화로서 초자연적인 정령의 힘에 의존하는 모호하고 추상적인 무속의 신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마을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마을굿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즉, 마을을 수호하는 신령과 제의를 주관하는 무당과 마을 사람들의 집단적 사고방식이 무신도에 투영되었다. 이 사고방식은 고대사회에서부터 후대로 내려오며 반복적으로 학습되고 공유해온 관습의 범주에서 사람들의 종교적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위치 기준 태도를 말하며 가치관의 바람직한 상징과 미의식을 공유하게 된다. 무신도는 과거 한강이북의 강신무들이 섬기는 신의 화상이므로 신령의 초상화인 셈이다. 무신도가 인체와 같은 외형을 갖추고 의복을 착용한 인물화 형식의 그림이 된 것은 무속에서 신을 인간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인간의 사회적 태도나 성격과 유사하게 표현된 신격을 보면 무속의 신관 뿐 아니라 한국인의 미의식과 가치관이 반영된 것을 알 수 있다. 무신도에 관한 연구는 민속학자들의 연구물 가운데 민속학적 관점에서 간략히 무구의 하나로 기술하는 정도에 그치거나 상징적 측면을 부분적으로 다루어 왔는데 여러 박물관 수장고에 쌓인 다량의 무신도의 화보들이 1989년부터 지금까지 출간되면서 상당한 양의 무신도가 일반에게 널리 소개되었고, 이에 힘입은 관련학자들의 연구조사 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화보들과 현재 한강유역의 부군당에 봉안된 무신도를 시각문화적인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관찰하고 조형방식의 통일성이 무엇인지, 다양한 종류의 신격은 어떻게 차별화되는지에 대한 무신도의 사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1967년 부군당을 보수하면서 새로 제작된 이태원동 부군당의 무신도와 현재 제작 공급되고 있는 무신도를 포함하여 화풍의 변천을 살폈다. 무신도의 양식의 연원을 찾는 과정에서 조선시대 초상화, 사찰의 고승진영과 무신도의 표현양식 간의 유사성과 아울러 근본적인 차이점을 밝혔다. 화법의 유형은 선이 곱고 상대적으로 적색의 면적이 많은 탱화의 화법이거나 그와 유사한 것, 선이 유려하고 설채가 안정된 숙련된 화법에서 부터 선이 거칠고 색채 대비가 현란한 것 사이에 정도차가 많은 민화적인 것, 화법이 육지의 것과 명확히 구분되는 제주 내왓당의 것으로 크게 분류했다. 무신도는 마을의 굿을 통해 구성원들의 결속을 다지던 마을 공동체의 시각문화로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비현실적인 신의 세계를 쉽고 친근하게 소개하는 조형방식을 따르고 환상적인 장치를 한다. 환상은 무속의 문화를 향유하는 사람들이 굿거리마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