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등학교 음악과 수행평가 척도안에 관한 분석 연구 : 안성·평택지역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about performance evaluation rule in music education, secondary school : Anseong and Pyongtae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425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안성·평택지역 중등학교 31개교의 음악과 수행평가 척도 안을 통하여 음악과의 목표와 평가 목적·평가 방침·영역별 비율·영역별 연간 평가 횟수·영역별 평가 요소 등에 관한 사항 등을 분석하고, 제 7차 교육과정과 교육 현장의 평가에 관한 차이점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과 목표의 기술은 제 7차 교육과정이 아니라 제 6차 교육과정도 있으며, 제 7차 교육과정을 변형한 내용도 있었다. 또한 평가 목적은, 많은 학교들이 창의성·음악성·바람직한 가치관 형성·신뢰성 등을 중요시하였다. 그리고 평가 방침은, 평가 방법이나 평가 비율, 회수에 관한 사항은 비교적 잘 기술되었지만, 그 밖의 결시자의 성적처리나 전입학생의 평가와 신체적 결함이 있는 학생 등의 평가에 관한 내용 등을 기술하지 않은 학교들이 있었다.
      둘째, 영역별 비율은, 이해영역과 활동영역을 30:70이 51.6%, 20:80이 38.7%, 40:60이 9.7%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역별 연간 평가 횟수는, 대부분의 학교가 가창과 기악영역의 수행평가는 1~2회 정도 실시하고 있으며, 창작과 감상영역 수행평가를 1회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역별 평가 요소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보다 다양하게 평가되고 있으나 합창 및 합주에 관한 사항은 전혀 거론되지 않았다.
      셋째, 제 7차 교육과정과 교육현장의 평가에 관한 차이점을 보면, 교육과정에서는 전 영역에 균형 있게 평가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나 각 교육현장에서는 가창과 기악에 더 치중하고 있으며, 창작이나 감상은 평가하지 않는 학교도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안성·평택지역 중등학교 31개교의 음악과 수행평가 척도 안을 통하여 음악과의 목표와 평가 목적·평가 방침·영역별 비율·영역별 연간 평가 횟수·영역별 평가 요소 등에 관한 �...

      이 연구는 안성·평택지역 중등학교 31개교의 음악과 수행평가 척도 안을 통하여 음악과의 목표와 평가 목적·평가 방침·영역별 비율·영역별 연간 평가 횟수·영역별 평가 요소 등에 관한 사항 등을 분석하고, 제 7차 교육과정과 교육 현장의 평가에 관한 차이점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과 목표의 기술은 제 7차 교육과정이 아니라 제 6차 교육과정도 있으며, 제 7차 교육과정을 변형한 내용도 있었다. 또한 평가 목적은, 많은 학교들이 창의성·음악성·바람직한 가치관 형성·신뢰성 등을 중요시하였다. 그리고 평가 방침은, 평가 방법이나 평가 비율, 회수에 관한 사항은 비교적 잘 기술되었지만, 그 밖의 결시자의 성적처리나 전입학생의 평가와 신체적 결함이 있는 학생 등의 평가에 관한 내용 등을 기술하지 않은 학교들이 있었다.
      둘째, 영역별 비율은, 이해영역과 활동영역을 30:70이 51.6%, 20:80이 38.7%, 40:60이 9.7%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역별 연간 평가 횟수는, 대부분의 학교가 가창과 기악영역의 수행평가는 1~2회 정도 실시하고 있으며, 창작과 감상영역 수행평가를 1회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역별 평가 요소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보다 다양하게 평가되고 있으나 합창 및 합주에 관한 사항은 전혀 거론되지 않았다.
      셋째, 제 7차 교육과정과 교육현장의 평가에 관한 차이점을 보면, 교육과정에서는 전 영역에 균형 있게 평가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나 각 교육현장에서는 가창과 기악에 더 치중하고 있으며, 창작이나 감상은 평가하지 않는 학교도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nalyzing the main class objectives, the evaluation policy, the rate of each possession, the frequency and the constituent of music education through the criter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t 31 middle school in Anseong and Pyongtaek.
      First, the statement of main class objective includes not only 7th curriculum but also 6th curriculum. It also includes the modification of the 7th curriculum. The aim of evaluation is holding a key post in the originality , musicality the formation of desirable value and faith. Many school explain the way, the percentage and the frequency of evaluation but some of them didn't state the achievement quotient of absent students, the evaluation of students transferred from another school and disabled.
      Secondly, the percentage of each possession is divided into two part, comprehension and activity. The ratio of 30 to 70 was 51.6 percent, 20 to 80 was 38.7 percent, 40 to 60 was 9.7 percent. The frequency of each evaluation is carrying out in general once or twice a year, in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And it is also carrying out once a year in creation and sentimentality. The constituent of each possession is evaluated in variation, however it doesn't include chorus and ensemble.
      Final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iculums and assessments of the 7th demands the balance at every possession.
      But actually, many schools are putting special stress on the singing and the instrumental music. Some of them don't evaluate the creation and the sentimentality.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analyzing the main class objectives, the evaluation policy, the rate of each possession, the frequency and the constituent of music education through the criter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t 31 middle school in Anseong and Pyongtaek...

      This research is analyzing the main class objectives, the evaluation policy, the rate of each possession, the frequency and the constituent of music education through the criter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t 31 middle school in Anseong and Pyongtaek.
      First, the statement of main class objective includes not only 7th curriculum but also 6th curriculum. It also includes the modification of the 7th curriculum. The aim of evaluation is holding a key post in the originality , musicality the formation of desirable value and faith. Many school explain the way, the percentage and the frequency of evaluation but some of them didn't state the achievement quotient of absent students, the evaluation of students transferred from another school and disabled.
      Secondly, the percentage of each possession is divided into two part, comprehension and activity. The ratio of 30 to 70 was 51.6 percent, 20 to 80 was 38.7 percent, 40 to 60 was 9.7 percent. The frequency of each evaluation is carrying out in general once or twice a year, in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And it is also carrying out once a year in creation and sentimentality. The constituent of each possession is evaluated in variation, however it doesn't include chorus and ensemble.
      Final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iculums and assessments of the 7th demands the balance at every possession.
      But actually, many schools are putting special stress on the singing and the instrumental music. Some of them don't evaluate the creation and the sentiment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표목차 = ⅱ
      • 국문초록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목차 = ⅰ
      • 표목차 = ⅱ
      • 국문초록 = ⅲ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 3. 연구의 제한점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제 7차 교육 과정의 음악과 성격과 목적 = 5
      • 2. 음악과의 학습내용 = 7
      • 3. 음악과의 평가 내용 = 11
      • Ⅲ. 중등학교 음악과의 수행평가 척도안에 관한 비교 분석 = 14
      • 1. 안성ㆍ평택지역 교육 현장의 음악과 수행평가 척도안에 관한 비교 분석 = 16
      • 2. 제 7차 교육과정과 교육 현장의 평가에 관한 차이점 = 34
      • Ⅳ. 결론 = 37
      • 참고문헌 = 40
      • Abstract = 4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