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수위변동에 따른 오리류의 서식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 Investigation of Habitat Preferences, According to Changed of Water Level in Duc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84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7년 9월부터 2009년 2월까지 1년 6개월 동안 충남 공주시를 가로지르는 금강에 위치한 소학섬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는 수면성 오리류(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흰뺨 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원앙 Aix galericulata, 쇠오리 Anas crecca)와 잠수성 오리류(흰죽지 Aythya ferina, 댕기흰죽지 Aythya fuligula, 흰뺨오리 Bucephala clangula, 비오리 Mergus merganser)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7년 조사지역의 평균수위는 장마와 태풍 등에 의한 급격한 수위변동을 제외하면 1m 이하로 나타났으며, 2008년 6월 이전까지도 평균수위는 1m 이하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2008년 6월 돌보를 쌓은 이후로는 평균수위가 약 3m 정도로 높아졌다. 돌보를 쌓기 이전인 2007년 11월의 겨울철 수면성 오리류는 최대 2,059개체였으나 돌보가 완성된 2008년 11월에는 585개체로 개체수가 약 1/4(25%) 감소하였으며, 12월에는 420개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2008년 동계에 실시된 공주지역의 수렵허가 등의 원인도 있으나 가장 큰 원인으로는 높아진 수위라 판단된다. 예비조사 기간인 2006년과 2007년 동절기에 월동하는 수면성 오리류의 총 개체수에는 거의 변동이 없었으나, 2008년 돌보를 쌓은 후에는 동절기에 도래하는 수면성 오리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돌보를 쌓음으로써 높아진 수위가 소학섬 인근의 많은 사구들을 유실시켰고, 또한 수면성 오리류가 휴식을 취하는 강변의 둔치 역시 높아진 수위로 인하여 소실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에 반하여 깊은 수심을 선호하는 잠수성 오리류 및 일부 기타 조류들은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7년 9월부터 2009년 2월까지 1년 6개월 동안 충남 공주시를 가로지르는 금강에 위치한 소학섬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는 수면성 오리류(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흰뺨 검둥오...

      본 연구는 2007년 9월부터 2009년 2월까지 1년 6개월 동안 충남 공주시를 가로지르는 금강에 위치한 소학섬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조사는 수면성 오리류(청둥오리 Anas platyrhynchos, 흰뺨 검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원앙 Aix galericulata, 쇠오리 Anas crecca)와 잠수성 오리류(흰죽지 Aythya ferina, 댕기흰죽지 Aythya fuligula, 흰뺨오리 Bucephala clangula, 비오리 Mergus merganser)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7년 조사지역의 평균수위는 장마와 태풍 등에 의한 급격한 수위변동을 제외하면 1m 이하로 나타났으며, 2008년 6월 이전까지도 평균수위는 1m 이하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2008년 6월 돌보를 쌓은 이후로는 평균수위가 약 3m 정도로 높아졌다. 돌보를 쌓기 이전인 2007년 11월의 겨울철 수면성 오리류는 최대 2,059개체였으나 돌보가 완성된 2008년 11월에는 585개체로 개체수가 약 1/4(25%) 감소하였으며, 12월에는 420개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2008년 동계에 실시된 공주지역의 수렵허가 등의 원인도 있으나 가장 큰 원인으로는 높아진 수위라 판단된다. 예비조사 기간인 2006년과 2007년 동절기에 월동하는 수면성 오리류의 총 개체수에는 거의 변동이 없었으나, 2008년 돌보를 쌓은 후에는 동절기에 도래하는 수면성 오리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돌보를 쌓음으로써 높아진 수위가 소학섬 인근의 많은 사구들을 유실시켰고, 또한 수면성 오리류가 휴식을 취하는 강변의 둔치 역시 높아진 수위로 인하여 소실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에 반하여 깊은 수심을 선호하는 잠수성 오리류 및 일부 기타 조류들은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o-hak Island in Gong-ju from September 2007 to February 2009. This area is surrounded by Gum-river passing through Gong-ju. We can expect the change of wintering bird's distribution because of a dam constructed underneath of the Gong-ju bridge. We studied the number of dabbling ducks such as mallard (Anas platyrhynchos),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and mandarin duck (Aix galericulata). When we check the water level in 2007, it was under 1m deep expect the rainy season and typhonic season. And the average of water level has been maintained lower than 1m until june 2008. However the depth of river became 3m deep in June 2008 after the dam construction. In November 2007, when the dam was not constructed yet, we found 2,059 dabbling ducks. After constructing the dam, the number of ducks were deceased by 75% (585) in November 2008. It can be affected by many different factors, but the main reason is the risen water level. There were little individuals changes in wintering dabbling ducks during 2006 and 2007. After dam construction, we have found rapid decrease of the number of wintering dabbling ducks since 2008. Because the risen river level has destroyed sand dunes around So-hak island and it also has destroyed the water edges where many ducks can take a rest. Contrastively, diving ducks have increased because they prefer deep river.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o-hak Island in Gong-ju from September 2007 to February 2009. This area is surrounded by Gum-river passing through Gong-ju. We can expect the change of wintering bird's distribution because of a dam constructed undern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o-hak Island in Gong-ju from September 2007 to February 2009. This area is surrounded by Gum-river passing through Gong-ju. We can expect the change of wintering bird's distribution because of a dam constructed underneath of the Gong-ju bridge. We studied the number of dabbling ducks such as mallard (Anas platyrhynchos), spot-billed duck (Anas poecilorhyncha) and mandarin duck (Aix galericulata). When we check the water level in 2007, it was under 1m deep expect the rainy season and typhonic season. And the average of water level has been maintained lower than 1m until june 2008. However the depth of river became 3m deep in June 2008 after the dam construction. In November 2007, when the dam was not constructed yet, we found 2,059 dabbling ducks. After constructing the dam, the number of ducks were deceased by 75% (585) in November 2008. It can be affected by many different factors, but the main reason is the risen water level. There were little individuals changes in wintering dabbling ducks during 2006 and 2007. After dam construction, we have found rapid decrease of the number of wintering dabbling ducks since 2008. Because the risen river level has destroyed sand dunes around So-hak island and it also has destroyed the water edges where many ducks can take a rest. Contrastively, diving ducks have increased because they prefer deep riv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조사지역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참고문헌
      • 서론
      • 조사지역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섭, "한국의 서해안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실태와 개체수 변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2 이우신, "한강지역 조류군집의 특성" 23 (23): 273-279, 2000

      3 허위행, "한강 유역에서 서식환경에 따른 조류군집의 특성 차이" 한국환경생태학회 17 (17): 83-91, 2003

      4 유정칠, "한강 강서습지생태공원 일대의 조류" 9 : 49-57, 2004

      5 안지영, "중랑천에 도래하는 쇠오리와 고방오리의 취식지역 선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6 우효섭, "수변 복원의 이해와 외국의 관련 가이드라인의 검토"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3 : 126-144, 2000

      7 권영수, "서울 도시하천에서 월동하는 수조류의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1 (21): 55-66, 2007

      8 김진수, "보전생물학" 사이언스북스 348-, 2000

      9 김정수, "도시하천의 생태공원화가 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 26 (26): 2-102, 2003

      10 국토해양부, "금강홍수통제소"

      1 이기섭, "한국의 서해안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실태와 개체수 변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2 이우신, "한강지역 조류군집의 특성" 23 (23): 273-279, 2000

      3 허위행, "한강 유역에서 서식환경에 따른 조류군집의 특성 차이" 한국환경생태학회 17 (17): 83-91, 2003

      4 유정칠, "한강 강서습지생태공원 일대의 조류" 9 : 49-57, 2004

      5 안지영, "중랑천에 도래하는 쇠오리와 고방오리의 취식지역 선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6 우효섭, "수변 복원의 이해와 외국의 관련 가이드라인의 검토"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3 : 126-144, 2000

      7 권영수, "서울 도시하천에서 월동하는 수조류의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1 (21): 55-66, 2007

      8 김진수, "보전생물학" 사이언스북스 348-, 2000

      9 김정수, "도시하천의 생태공원화가 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 26 (26): 2-102, 2003

      10 국토해양부, "금강홍수통제소"

      11 이우신, "금강 하구지역 조류군집의 특성 및 보호와 관리" 한국생태학회 24 (24): 181-189, 2001

      12 이인균, "공주 금강에서의 비번식 백로류 집단의 행동에 관한 연구" 15 (15): 101-112, 2007

      13 Loesch C. R., "Winter body weight patterns of female mallards fed agricultural seeds" 53 : 1081-1087, 1989

      14 Baldassare G. A., "Waterfowl ecology an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Inc. 609-, 1994

      15 Nilsson L., "Variation in the production of young swanswintering in Sweden during the non-breeding season" 3 : 55-78, 1972

      16 Poysa H., "Morphology-mediated niche organization in a guild of dabbling ducks" 14 : 317-326, 1983

      17 Smith L. M., "Habitat management for migrating and wintering waterfowl in North America" Texas Tech University Press 560-, 1989

      18 Nilsson L., "Food-seeking activity of south Swedish diving ducks in the non-breeding season" 21 : 145-154, 1970

      19 Barnes G. G., "Digestive organ morphology, diet and guild structure of North American Anatidae" 65 : 1812-1817, 1989

      20 Bethke R. W., "Differences in flight and heart muscles mass amonggeese, dabbling ducks and diving ducks relative to habitat use" 66 : 2024-2028, 1988

      21 Kehoe F. P., "A comparison of interspecific differences in the morphology of external and internal feeding apparatus among North American Anatidae" 65 : 1818-1822,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4-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6 0.06 0.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9 0.17 0.2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