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광고의 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이용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65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판매촉진형 SNS광고를 시청한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속성(신뢰성, 전문성, 유희성, 동의성) 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주 효과에 SNS이용 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SNS광고의 신뢰성과 유희성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SNS광고의 전문성과 동의성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정보지향적인 SNS이용동기는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SNS광고의 신뢰성, 전문성, 유희성, 동의성과 구 매의도의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관계지향적인 SNS이용동기는 SNS이용자에게 지 각된 SNS광고의 유희성과 구매의도의 관계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정보지향적이면서 동 시에 관계지향적인 SNS이용동기는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SNS광고의 신뢰성과 구매의도의 관계 사이 에는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유희성과 구매의도 사이에는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SNS이용자가 지각한 판매촉진형 SNS광고의 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 고 SNS이용동기의 상호작용 효과를 조명하였다. 나아가 SNS플랫폼과 이용자특성의 영향을 제시함으 로써 기업들이 SNS광고를 제작할 때 고려해야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판매촉진형 SNS광고를 시청한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속성(신뢰성, 전문성, 유희성, 동의성) 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주 효과에 SNS이용 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

      본 연구는 판매촉진형 SNS광고를 시청한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속성(신뢰성, 전문성, 유희성, 동의성) 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주 효과에 SNS이용 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SNS광고의 신뢰성과 유희성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SNS광고의 전문성과 동의성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정보지향적인 SNS이용동기는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SNS광고의 신뢰성, 전문성, 유희성, 동의성과 구 매의도의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관계지향적인 SNS이용동기는 SNS이용자에게 지 각된 SNS광고의 유희성과 구매의도의 관계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정보지향적이면서 동 시에 관계지향적인 SNS이용동기는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SNS광고의 신뢰성과 구매의도의 관계 사이 에는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유희성과 구매의도 사이에는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SNS이용자가 지각한 판매촉진형 SNS광고의 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 고 SNS이용동기의 상호작용 효과를 조명하였다. 나아가 SNS플랫폼과 이용자특성의 영향을 제시함으 로써 기업들이 SNS광고를 제작할 때 고려해야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advertisement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 for SNS user. In addition, we also ai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role of users’ usage motivation in the above relationship.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advertisement trustworthiness and play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SNS purchase intention. However, the perceived advertisement expertness and consensu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Information/knowledge acquisition motivation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dvertisement attributes(trustworthiness, expertness, playfulness, and consensus) and purchase intention. Communication/relationship maintaining motivation had positi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dvertisement playfulness and purchase intention. Information/knowledge acquisition and communication/relationship maintaining motivation ha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dvertisement playfulness and purchase intention. It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dvertisement trustworthiness and purchase intenti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advertisement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 for SNS user. In addition, we also ai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role of users’ usage motivation in the above relationship. The results indicated that t...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advertisement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 for SNS user. In addition, we also ai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role of users’ usage motivation in the above relationship.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advertisement trustworthiness and play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SNS purchase intention. However, the perceived advertisement expertness and consensu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Information/knowledge acquisition motivation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dvertisement attributes(trustworthiness, expertness, playfulness, and consensus) and purchase intention. Communication/relationship maintaining motivation had positi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dvertisement playfulness and purchase intention. Information/knowledge acquisition and communication/relationship maintaining motivation ha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dvertisement playfulness and purchase intention. It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dvertisement trustworthiness and purchase inten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SNS
      • 2. SNS상의 광고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SNS
      • 2. SNS상의 광고
      • 3. SNS정보 특성
      • 4. SNS이용 동기
      • 5. 구매의도
      • Ⅲ. 가설 설정
      • 1.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SNS광고의 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2. SNS이용동기의 조절 효과
      • Ⅳ. 연구 방법
      • 1. 연구대상 선정 및 자료수집
      • 2. 변수의 측정
      • Ⅴ. 연구 결과
      • 1.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 2. 가설 검정
      • Ⅵ. 결론
      • 1. 연구결과 요약
      • 2. 연구 시사점
      • 3.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승욱, "트위터 이용 동기가 이용자의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2) : 131-170, 2011

      2 김재영, "정보원 출처에 따른 광고태도의 매개 효과" (53) : 31-46, 2001

      3 우혜진, "자존감 불일치와 SNS에서의 과시적 자기표현 간의 관계"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8 (18): 365-389, 2017

      4 남인용, "인터넷 이용자의 인터넷 공신력 인식이 전자상거래 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미국의 비교연구" 한국방송학회 17 (17): 143-176, 2003

      5 이시훈, "온라인광고의 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4-, 2006

      6 윤재현, "온라인 상호작용성, 자기 표현성과 개인정보우려가 프레즌스 경험을 통해 SNS 광고에 대한 구전의도 및 SNS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8 (18): 125-143, 2018

      7 천명환, "소셜네트워크 이용동기에 따른 감정적 관여, 인지적 관여의 형성과 만족" 대한경영정보학회 31 (31): 21-39, 2012

      8 최상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인지된 즐거움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2 (12): 95-112, 2012

      9 차배근, "설득 커뮤니케이션 개론" 나담 1992

      10 양영종, "모바일광고의 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20 (20): 221-236, 2009

      1 윤승욱, "트위터 이용 동기가 이용자의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2) : 131-170, 2011

      2 김재영, "정보원 출처에 따른 광고태도의 매개 효과" (53) : 31-46, 2001

      3 우혜진, "자존감 불일치와 SNS에서의 과시적 자기표현 간의 관계"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8 (18): 365-389, 2017

      4 남인용, "인터넷 이용자의 인터넷 공신력 인식이 전자상거래 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미국의 비교연구" 한국방송학회 17 (17): 143-176, 2003

      5 이시훈, "온라인광고의 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4-, 2006

      6 윤재현, "온라인 상호작용성, 자기 표현성과 개인정보우려가 프레즌스 경험을 통해 SNS 광고에 대한 구전의도 및 SNS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8 (18): 125-143, 2018

      7 천명환, "소셜네트워크 이용동기에 따른 감정적 관여, 인지적 관여의 형성과 만족" 대한경영정보학회 31 (31): 21-39, 2012

      8 최상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인지된 즐거움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2 (12): 95-112, 2012

      9 차배근, "설득 커뮤니케이션 개론" 나담 1992

      10 양영종, "모바일광고의 효과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20 (20): 221-236, 2009

      11 류지원, "모바일 광고 유형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1

      12 양재훈, "모바일 SNS의 서비스 품질이 지속적 이용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3 (13): 313-337, 2012

      13 심성욱,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13 (13): 342-376, 2011

      14 조전근, "광고보증인의 유형과 성이 태도변용에 미치는 효과: 정보원의 공신력 및 제품관여도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0 (10): 165-194, 2008

      15 김남이, "공중의 라이프스타일이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 및 이용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3 (13): 306-341, 2011

      16 John, Brady, "가족적 맥락에서의 ICT 이용에 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277-291, 2016

      17 Lin, Kuan-Yu, "Why People Use Social Networking Sites : An Empirical Study Integrating Network Externalities and Motivation Theory" 27 (27): 1152-1161, 2011

      18 Sledgianowski, Deb, "Using Social Network Sites : The Effects of Playfulness, Critical Mass and Trust in a Hedonic Context" 49 (49): 74-83, 2009

      19 Lin, Chieh-Peng, "Understanding Purchase Intention During Product-harm Crises: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Corporate A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102 (102): 455-471, 2011

      20 Ajzen, Icek,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50): 179-211, 1991

      21 Kelley, Harold H., "The Process of Causal Attribution" 28 (28): 107-128, 1973

      22 Maignan, Isabelle, "The Nature and Social Uses of the Internet : A Qualitative Investigation" 31 (31): 346-371, 1997

      23 Hovland, Carl I., "The Influence of Source Credibility o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15 (15): 635-650, 1951

      24 Moorman, Robert H., "The Influence of Cognitive and Affective Based Job Satisfaction Measur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46 (46): 759-776, 1993

      25 Ellison, Nicole B., "The Benefits of Facebook"Friends :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12 (12): 1143-1168, 2007

      26 Smith, Gene, "Tagging : People-Powered Metadata for the Social Web" New Riders 2007

      27 Boyd, Danah M., "Social Network Sites :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 (13): 210-230, 2007

      28 Obar, Jonathan. A., "Social Media Definition and the Governance Challenge :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39 (39): 745-750, 2015

      29 Chiou, Jyh-Shen, "Should a Company Have Message Boards on Its Web Sites?" 17 (17): 50-61, 2003

      30 이희태, "SNS이용자의 성격유형(외·내향성)을 조절효과로 고려한 SNS상의 사회적 자본과 정보원의 공신력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32 (32): 169-194, 2019

      31 김형석, "SNS의 이용동기와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548-553, 2012

      32 안대천, "SNS유형별 광고속성 평가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의 비교" 한국광고학회 23 (23): 53-84, 2012

      33 김윤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용 추이 및 이용 행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18-11, 2018

      34 오미현, "SNS 특성에 의한 패션제품 소비자태도가 구매의도 및 온라인구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4 (14): 101-120, 2014

      35 정병찬, "SNS 전달자 특성과 SNS 정보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20 (20): 251-272, 2013

      36 이경렬, "SMS기반의 모바일광고의 효과 및 수용성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4 (14): 26-44, 2006

      37 Rubin, Alan M., "Ritualized and Instrumental Television Viewing" 34 (34): 67-77, 1984

      38 Soberman, David A., "Research Note : Additional Learning and Implications on the Role of Informative Advertising" 50 (50): 1744-1750, 2004

      39 Rau, Pei-Luen Patrick,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Intimacy and Lurking in Online Social Network Services" 24 (24): 2757-2770, 2008

      40 Postma, Oeds J., "Personalisation in Practice : The Proven Effects of Personalisation" 9 (9): 137-142, 2002

      41 남은경, "PC와 스마트폰의 인터넷광고유형에서의 마케팅표현기법별 수용자 반응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3

      42 Schindler, Robert M., "Online Consumer Psychology: Understanding and Influencing Consumer Behavior in the Virtual Worl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5-61, 2005

      43 Kozinets, Robert V., "Networked Narratives : Understanding Word-of-Mouth Marketing in Online Communities" 74 (74): 71-89, 2010

      44 Ballou, Donald P., "Modeling Data and Process Quality in Multi-input Multi-output Information Systems" 31 (31): 150-162, 1985

      45 Webster, Jane, "Microcomputer Playfulness : Development of a Measure with Workplace Implications" 16 (16): 201-226, 1992

      46 Jacobson, Harvey K., "Mass Media Believability : A Study of Receiver Judgments" 46 (46): 220-228, 1969

      47 Tan, Alexi S., "Mass Communication Theories and Research" John Wiley & Sons 1985

      48 Bagozzi, Richard P., "Intentional Social Action in Virtual Communities" 16 (16): 2-21, 2002

      49 Shimp, Terence A.,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in Advertising and Promotion" South-Western Cengage Learning Australia 2010

      50 Leary, Mark R., "Impression Management : A Literature Review and Two-Component Model" 107 (107): 34-47, 1990

      51 Wohn, Donghee Yvette, "How Affective Is a"Like"? : The Effect of Paralinguistic Digital Affordances on Perceived Social Support" 19 (19): 562-566, 2016

      52 Kiesler, Sara, "Group Decision Making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52 (52): 96-123, 1992

      53 Cho, Hyunyi, "First and Third Person Perceptions on Anti-drug Ads among Adolescents" 35 (35): 169-189, 2008

      54 Urista, Mark A., "Explaining Why Young Adults Use MySpace and Facebook through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12 (12): 215-229, 2009

      55 Elliott, Richard, "Existential Consumption and Irrational Desire" 31 (31): 285-296, 1997

      56 Eroglu, Sevgin A., "Empirical Testing of a Model of Online Store Atmospherics and Shopper Responses" 20 (20): 139-150, 2003

      57 Jiang, Z., "Effects of Interactivity on Website Involvement and Purchase Intention" 11 (11): 1-, 2010

      58 Petty, Richard E., "Effects of Forewarning of Persuasive Intent and Involvement on Cognitive Responses and Persuasion" 5 (5): 173-176, 1979

      59 Gefen, David, "E-commerce : The Roles of Familiarity and Trust" 28 (28): 725-737, 2000

      60 McKnight, Harrison D., "Developing and Validating Trust Measures for E-commerce: An Integrative Typology" 13 (13): 334-359, 2002

      61 Yoo, Boonghee, "Developing a Scale to Measure the Perceived Quality of an Internet Shopping Site(SITEQUAL)" 2 (2): 31-45, 2001

      62 Eastin, Matthew S., "Credibility Assessment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The Effects of Source Expertise and Knowledge of Content" 6 (6): JCMC643-, 2001

      63 Jarvenpaa, Sirrka L., "Consumer Reactions to Electronic Shopping on the World Wide Web" 1 (1): 59-88, 1997

      64 Putrevu, S., "Comparative and Noncomparative Advertising : Attitudinal Effects under Cognitive and Affective Involvement Conditions" 23 (23): 77-91, 1994

      65 Naylor, Rebecca Walker, "Beyond the"Ike"Button : The Impact of Mere Virtual Presence on Brand Evalua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in Social Media Settings" 76 (76): 105-120, 2012

      66 Javalgi, Rajshekhar G., "Awareness of Sponsorship and Corporate Image : An Empirical Investigation" 23 (23): 47-58, 1994

      67 Ducoffe, Robert H.,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Blog @Management" 36 (36): 21-32, 1996

      68 Bonsón, Enrique, "A Set of Metrics to Assess Stakeholder Engagement and Social Legitimacy on a Corporate Facebook Page" 37 (37): 787-803, 2013

      69 Oliver, Richard. L.,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17 (17): 460-469,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9 1.99 2.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4 1.75 2.02 0.6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