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IT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를 다양하게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IT교 육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측정도구를 새롭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56562
2019
Korean
325
KCI등재
학술저널
1-23(2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IT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를 다양하게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IT교 육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측정도구를 새롭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IT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를 다양하게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IT교 육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측정도구를 새롭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 뷰, FGI를 통해 ‘항목표본설정(generate sample of items)’ 방식으로 설문 항목을 도출한 후, IT교육서비 스품질 핵심요인 10가지와 이에 따른 측정문항 50개를 구체화하였다. 도출한 요인과 문항으로 IT교육 기관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해당 측정문항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통해 그 유효성을 분 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T교육서비스품질의 핵심요인으로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반응성, 우수한 교육전산망, 강사전문성, IT교육프로그램, IT습득적합시스템, 최신정보성이 확정되었으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총36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측정도구를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IT교육서비스 품질 맞춤형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교육 수요자들에 따른 맞춤형 교육방법과 품질관리를 차별적으로 실시한다면 보다 향상된 교육서비스 품질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요인과 측정도구를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면, 해당 분야 교육의 내실을 기함과 동시에 IT교육서비 스기관들에게 적합한 프로모션 활용 및 방안들에 관한 실질적인 혜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onents of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based on existing studies and to develop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metrics accordingl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new question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onents of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based on existing studies and to develop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metrics accordingl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new question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interview and FGI. Through these processes, 10 measurement items concerned with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were identified and 50 items related to them were specifi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IT education program to evaluate the statistical validity of the items introduc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subsequent analysis, the key factors of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were consisted of typology, reliability, trustworthiness, certainty, responsiveness, superior education computer network, and lecturer specialty. It is expected that more differentiated and higher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can be achieved in case newly developed measurement scale would be well utilized, and related education is excellently conducte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create customized education method and quality management, if an IT provider makes good use of the scale in the field. In conclusion, this study evaluated the research trends of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research methods through literature studies related to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and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In addition, authors have accomplished the purpose of establishing research direction of IT education service scale develop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운식, "한국 IT 서비스기업의 성장모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2 손권배, "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공정성, 서비스신뢰, 서비스관계몰입의 매개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29 (29): 271-303, 2014
3 맹해영, "지역축제 기초품질(BASICQUAL) 척도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08-126, 2013
4 안관영, "정보통신 분야 종사자의 내부마케팅노력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품질경영학회 35 (35): 78-88, 2007
5 이태용, "전문대학 체육전공자의 인지된 교육서비스품질이 서비스가치 및 학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81-390, 2010
6 하홍열, "온라인 관계회피의도 측정: 척도 개발과 타당성" 통계청 16 (16): 59-81, 2011
7 이창원, "서비스교육훈련 품질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 26 (26): 191-207, 2015
8 이유재,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의 우수성 비교 : SERVQUAL 모형, Grönroos 모형, 3차원품질모형을 중심으로" 4 (4): 91-126, 2011
9 안성식, "서브퀄 모델을 이용한 대학 커리어센터의 서비스 품질 측정" 한국진로교육학회 24 (24): 67-84, 2011
10 길하나, "상인최고경영자과정 교육서비스품질 및 참여동기가 교육만족과 긍정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581-600, 2011
1 강운식, "한국 IT 서비스기업의 성장모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2 손권배, "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공정성, 서비스신뢰, 서비스관계몰입의 매개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29 (29): 271-303, 2014
3 맹해영, "지역축제 기초품질(BASICQUAL) 척도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08-126, 2013
4 안관영, "정보통신 분야 종사자의 내부마케팅노력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품질경영학회 35 (35): 78-88, 2007
5 이태용, "전문대학 체육전공자의 인지된 교육서비스품질이 서비스가치 및 학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81-390, 2010
6 하홍열, "온라인 관계회피의도 측정: 척도 개발과 타당성" 통계청 16 (16): 59-81, 2011
7 이창원, "서비스교육훈련 품질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 26 (26): 191-207, 2015
8 이유재, "서비스 품질 측정모형의 우수성 비교 : SERVQUAL 모형, Grönroos 모형, 3차원품질모형을 중심으로" 4 (4): 91-126, 2011
9 안성식, "서브퀄 모델을 이용한 대학 커리어센터의 서비스 품질 측정" 한국진로교육학회 24 (24): 67-84, 2011
10 길하나, "상인최고경영자과정 교육서비스품질 및 참여동기가 교육만족과 긍정적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581-600, 2011
11 박건희, "무용전공 학생의 교육서비스품질 지각이 학생만족 및 관계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 (48): 463-473, 2009
12 권인탁, "대학평생교육 참여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관계 - 프로그램 마케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평생교육학회 20 (20): 57-83, 2014
13 이필재, "대학의 교육 및 행정 서비스품질의 측정과 향상 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3 (13): 197-210, 2008
14 조호현, "대학교육시스템에서 교육서비스과정 품질과 교육성과품질간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학회 25 (25): 61-72, 2007
15 강만수, "대학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 학생만족, 명성 및 학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53-174, 2011
16 박주성, "대학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이 학생만족, 재입학의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4 (4): 51-74, 2002
17 신소영, "대학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07-132, 2013
18 임상용, "내부서비스품질의 구성요인들이 내부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 및 성별과 직무분야의 조절효과 : IT서비스기업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27 (27): 1-22, 2014
19 변현수, "기술적 품질과 기능적 품질이 전환장벽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2 (22): 3655-3672, 2009
20 정유리, "교육서비스품질, 학생만족 및 학교충성도간 관계 연구: 관광관련학과 특수대학원생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139-155, 2008
21 차주항, "교육서비스 품질개선을 위한 TQM 전략 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12 (12): 279-305, 2011
22 정재삼,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분석 :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시사점 논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 (2): 80-97, 1998
23 김상수,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을 활용한 경영교육 방법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60) : 283-309, 2010
24 Detert, J. R., "The Measurement of Quality Management Culture in Schools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QMCS" 21 (21): 307-328, 2003
25 Nunnally, J. C., "The Assessment of Reliability" 3 (3): 248-292, 1994
26 Hays, J. M., "Service Guarantee Strength : the Key to Service Quality" 24 (24): 753-764, 2006
27 이학식, "SPSS 16. 0 매뉴얼" 법문사 2009
28 Parasuraman, A., "SERVQUAL" 64 (64): 12-40, 1988
29 Finn, A., "Reliability Assessment and Optimization of Marketing Measurement" 34 (34): 262-275, 1997
30 Carr, C. L., "RECIPROCITY : The Golden Rule of IS-User Service Relationship Quality and Cooperation" 49 (49): 77-83, 2006
31 Nunnally, J. C., "Psychometry Theory" McGraw-Hill 1994
32 Kettinger, W. J.,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User Satisfaction With the Information Services Function" 25 (25): 737-766, 1994
33 Nesset, E., "Modelling and Managing Student Loyalty : A Study of a Norwegian University College" 53 (53): 327-345, 2009
34 Hattie, J, "Methodology Review : Assessing Unidimensionality of Tests and Items" 9 (9): 139-164, 1985
35 Capel, S., "Learning to Teach in the Secondary School" Routledge 2016
36 Kuh, G. D., "Indices of Quality in the Undergraduate Experience" 1981
37 임호순, "IT컨설팅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및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6 (6): 3-19, 2005
38 박강희, "IT서비스품질과 그 성과: 한국의 강원도 소재 대학과 일본의 돗토리 소재 대학의 사례" 산업개발연구소 27 (27): 35-61, 2011
39 박준기, "IT서비스품질과 관계품질이 지식공유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55-365, 2010
40 노정숙, "IT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생만족과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몰입의 조절효과에 초점을 두어"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5 (15): 101-109, 2015
41 채화성, "IT 활용 수준과 서비스품질연관관계 모형" 465-472, 2010
42 Bearden, W. O., "Handbook of Marketing Scales: Multi-Item Measures for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Research" Sage 1999
43 Lusch, R. F., "Fostering Professionalism" 9 (9): 24-31, 1997
44 Venkatesh, V., "Doctors Do Too Little Technology: A Longitudinal Field Study of an Electronic Healthcare System Implementation" 22 (22): 523-546, 2011
45 Rojas-Méndez, J. I., "Determinants of Student Loyalty in Higher Education : A Tested Relationship Approach in Latin America" 10 (10): 21-39, 2009
46 Kuan, H. H., "Comparing the Effects of Website Quality on Customer Initial Purchase and Continued Purchase at e-Commerce Websites" 27 (27): 3-16, 2008
47 Sharma, S., "Applied Multivariate Techniques" John Wiley & Sons, Inc 1996
48 김계수, "AMOS 18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10
49 Churchill Jr, A. Gilbert,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16 (16): 64-73, 1979
50 Parasuraman, A.,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49 (49): 41-50, 1985
할인점 유통경로에서 벤더 영업성과의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SNS이용자에게 지각된 광고의 속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이용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9 | 1.99 | 2.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4 | 1.75 | 2.02 | 0.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