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의 과목 선택권이 확대되고 대입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 정착되면서 대학 전공 공부에 필요한 선택과목의 이수 여부가 주요 평가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9, 2020학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28035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13-438(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학생의 과목 선택권이 확대되고 대입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 정착되면서 대학 전공 공부에 필요한 선택과목의 이수 여부가 주요 평가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9, 2020학년...
학생의 과목 선택권이 확대되고 대입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 정착되면서 대학 전공 공부에 필요한 선택과목의 이수 여부가 주요 평가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9, 2020학년도 K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자연계 지원자의 과학Ⅱ 선택과목 이수 현황을 분석하여 학생의 과목 선택 및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Ⅱ 선택과목별 이수 비율은 단과대학별로 다른 특성을 보여 단과대학과 과학Ⅱ 선택과목 간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과대학별로 특정 선택과목 조합의 이수 비율이 높아 해당 전공을 이수하는 데 유용한 선택과목이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Ⅱ 선택과목 이수 경향이 중요한 평가요소가 될 수 있으며, 대학은 각 학교별 과목 개설 환경 파악 및 비교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공자원,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의 과학교과 선택과목과 지원학과 분석: K대학교 네오르네상스전형 사례 중심" 7 : 159-191, 2018
2 이지영, "진학계 고등학교 교과의 진로별 과목 분화 연구" 고려대학교 2019
3 홍후조,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특성화 방안 연구 - 예체능 과정 설치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방법학회 21 (21): 119-141, 2009
4 곽영순, "이공계열 전공 공부에 필요한 고등학교 과학과 선수과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377-389, 2019
5 홍후조, "알기쉬운 교육과정 2판" 학지사 2016
6 김대석, "대학중도탈락률 분석을 통한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교육연구소 12 (12): 55-73, 2011
7 최혜미, "대학의 계열과 전공공부에 필요한 고교 선택교과목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8 장경호,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탐구 과목 선택이 대학교 전공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교육학회 24 (24): 39-58, 2017
9 심우정, "대학 진학 계열별 고등학생의 선수과목 이수 실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221-245, 2018
10 홍후조, "대학 전공 학습을 위한 고교의 선수학습과목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57-288, 2005
1 공자원,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의 과학교과 선택과목과 지원학과 분석: K대학교 네오르네상스전형 사례 중심" 7 : 159-191, 2018
2 이지영, "진학계 고등학교 교과의 진로별 과목 분화 연구" 고려대학교 2019
3 홍후조,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특성화 방안 연구 - 예체능 과정 설치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방법학회 21 (21): 119-141, 2009
4 곽영순, "이공계열 전공 공부에 필요한 고등학교 과학과 선수과목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377-389, 2019
5 홍후조, "알기쉬운 교육과정 2판" 학지사 2016
6 김대석, "대학중도탈락률 분석을 통한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교육연구소 12 (12): 55-73, 2011
7 최혜미, "대학의 계열과 전공공부에 필요한 고교 선택교과목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8 장경호,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탐구 과목 선택이 대학교 전공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교육학회 24 (24): 39-58, 2017
9 심우정, "대학 진학 계열별 고등학생의 선수과목 이수 실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221-245, 2018
10 홍후조, "대학 전공 학습을 위한 고교의 선수학습과목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57-288, 2005
11 이종범, "대입제도개선안에 따른 다양한 대입전형모형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5
12 임진택, "대입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전공적합성의 의미와 대체 용어에 관한 고찰" 5 : 37-75, 2016
13 임진택, "고등학생 교과별 선택과목의 대입전형 활용에 대한 인식 연구" 7 : 1-30, 2018
14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15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16 이일, "고등학교 과학과 선수과목 이수에 대한 이공계열 대학생들의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소 43 (43): 195-206, 2019
17 홍미영, "고등학교 과학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836-847, 2011
18 심우정, "고교-대학교육 연계를 위한 탐색적 연구 - 이공의약계열 진학자의 고교선택과목 수강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3 (53): 275-296, 2015
19 김미숙, "고교-대학 연계를 위한 대입전형연구(Ⅴ): 대입전형요소와 대학수학능력의 관계" 한국교육개발원 2008
20 황규호, "고교-대학 교육의 연계 과제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71-92, 2018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한국산업응용수학회지의 연구 동향 및 산업수학 교육의 시사점
청소년의 독서활동, 진로성숙도, 자기주도학습의 종단적 관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An Error Analysis of Current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변인 분석 및 학교유형에 따른 차이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3-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3 | 1.63 | 1.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8 | 1.27 | 1.781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