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0여 년 동안, 중국어학계에서는 ‘把’자문에 대한 연구 성과가 적지 않았다. 특히 金立鑫⋅崔希亮⋅范颖睿 등 중국어학계를 대표하는 학자들이 연이어 ‘把’자문에 관한 논문을 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20여 년 동안, 중국어학계에서는 ‘把’자문에 대한 연구 성과가 적지 않았다. 특히 金立鑫⋅崔希亮⋅范颖睿 등 중국어학계를 대표하는 학자들이 연이어 ‘把’자문에 관한 논문을 발...
최근 20여 년 동안, 중국어학계에서는 ‘把’자문에 대한 연구 성과가 적지 않았다. 특히 金立鑫⋅崔希亮⋅范颖睿 등 중국어학계를 대표하는 학자들이 연이어 ‘把’자문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논문에서는 ‘把’자문의 문장구조, 어의분석과 화용론 등 다각도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각급 학교의 석⋅박사 학위논문에서도 ‘把’자문을 연구소제로 삼았다.
본고는 ‘把’자문 중의 구체적인 문장구조에 착안하여, 한국 학습자들이 ‘把’자문을 학습할 때 나타나는 오류 문장에 근거하여 ‘把’자문의 동사 어의자질과 개사의 선택법칙을 고찰하였다. ‘把’자문은 중국어교육에서 중점이자 난점이기도 하다. ‘把’자문을 처음 접하는 초급중국어 수준의 학습자이든지, 중국어를 여러 해 공부한 고급중국어 수준의 학습자이든지, 모두 ‘把’자문을 사용할 때 문장구조나 문장화용 측면에서 오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심지어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把’자문 사용을 어려워하고 회피하는 현상도 있다. 그런데 중국어에서는 ‘把’자문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물건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명령문에서 [把+O+V+到/在+장소] 격식이 [V+O+到/在+장소] 격식보다 더 합리적이고 명령의 어감도 더 강하다. 하지만 한국 학습자들은 이러한 문장구조를 사용할 때 많은 오류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오류 현상 중에서 대표적인 예로는, ‘把’자문 격식에서 동사의 어의자질을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동사 뒤의 개사 ‘在/到’의 사용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把书搬在教室里。”와 같은 오류 문장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는 학습자가 ‘搬⋅放⋅拿’ 등과 같은 동사의 어의자질과 동사 뒤의 개사결과보어 ‘到/在’를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해서 오류 문장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동사 ‘搬⋅放⋅拿’ 등과 개사 ‘到/在’를 같이 쓰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把’자문 [把+O+V+到/在+장소]와 같은 격식으로 표현된다. 그런데 한국 학습자들은 이러한 ‘把’자문 격식에서 오류 현상이 흔히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把’자문 문장구조에서 이 격식에 들어갈 수 있는 상용동사의 어의자질 분석과 개사 ‘到/在’의 선택법칙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본고는 한국 학습자들이 ‘把’자문 [把+O+V+到/在+장소] 격식에서 나타난 오류 문장을 출발점으로, 이 격식에서 상용되고 있는 동사의 어의자질이 개사 ‘到/在’의 선택법칙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학습자들이 ‘把’자문 격식으로 표현할 때 오류 문장으로 나타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격식에서 상용되는 동사와 개사 ‘到/在’의 결합법칙을 총괄하였다.
본고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把’자문 격식에서 발생하는 오류 현상을 피할 수 있도록 한국 학습자들에게 합리적인 학습방법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把”sentence is both a key point and a difficult point in Chinese teaching, whether it is the elementary Chinese learner who starts study the “把”sentence or the advanced Chinese learner who has studied Chinese for many years. There are ...
The “把”sentence is both a key point and a difficult point in Chinese teaching, whether it is the elementary Chinese learner who starts study the “把”sentence or the advanced Chinese learner who has studied Chinese for many years. There are also many errors on the structure and pragmatic to use the “把”sentence, and even many students often avoid to use the “把”sentence with fear. But in practical use, the expression of many situations is more appropriate to use the “把”sentence. For example, when you are causing others to shift the object, using [把 +O+V+在/到+place] is more reasonable than using [V+O+在/到 +place] form, and the command is also stronger. But when students use this sentence form, they often have a lot of errors. The most common error is that students don't know the semantic features of the verb in this “把”sentence, which results the mistakes in the choice of the preposition “在/到” after the verb, such as creating a wrong sentence like “把书搬在教室里”. Therefore, we will discuss the problem in this “把”sentence form. This is more conducive to analyzing the reasons why Korean students have produced such wrong sentence in this form and look for proposing teaching strategies.
First, this paper will start with the mistakes of Korean students using the “把”sentence [把+O+V+在/到+place] form and collect students' wrong sentences by questionnaire test. And we will analyze the semantic features of commonly used verbs in this form based on the corpus, in order to explore the limiting effect of the verb semantic features on the choice of “在/到” in this form and summed up the usage rule of the preposition “在/到” after the verb. Second, through this paper, we will analyze the reasons why Korean students are make wrong sentence in this “把”sentence form and propose the suggest on the teaching of Chinese in this “把”sentence. At last, we will teach students the usage rule of using the verbs with prepositions “在/到” in this “把”sentence, to prevent students from making mistakes when they use this form to make sentences.
참고문헌 (Reference)
1 朱虹, "韩国本土汉语学习者学习"把"字句偏误分析及实验教学研究" 吉林大学文学院 2015
2 中国社会科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 "现代汉语词典" 商务印书馆 2012
3 范颖睿, "现代汉语“把”字句谓语动词的语义特征" (3) : 2012
4 李候约, "现代汉语“把”字句的语法语义特征及相关对外汉语教学的问题" 华中科技大学 2006
5 国家汉办, "汉语水平考试真题集HSK(六级)" 商务印书馆 2013
6 陆俭明, "汉语和汉语研究十五讲" 北京大学出版社 2004
7 刘培玉, "把字句的句法、语义和语用分析" (5) : 2002
8 张廷远, "嵌入“到L”把字句的句法、语义特征及语用价值" (3) : 2006
9 王春辉, "对韩汉语教学中“把”字句偏误分析" (2) : 2009
10 陆庆和, "实用对外汉语教学语法" 北京大学出版社 2006
1 朱虹, "韩国本土汉语学习者学习"把"字句偏误分析及实验教学研究" 吉林大学文学院 2015
2 中国社会科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 "现代汉语词典" 商务印书馆 2012
3 范颖睿, "现代汉语“把”字句谓语动词的语义特征" (3) : 2012
4 李候约, "现代汉语“把”字句的语法语义特征及相关对外汉语教学的问题" 华中科技大学 2006
5 国家汉办, "汉语水平考试真题集HSK(六级)" 商务印书馆 2013
6 陆俭明, "汉语和汉语研究十五讲" 北京大学出版社 2004
7 刘培玉, "把字句的句法、语义和语用分析" (5) : 2002
8 张廷远, "嵌入“到L”把字句的句法、语义特征及语用价值" (3) : 2006
9 王春辉, "对韩汉语教学中“把”字句偏误分析" (2) : 2009
10 陆庆和, "实用对外汉语教学语法" 北京大学出版社 2006
11 崔希亮, "“把”字句的若干句法语义问题" (3) : 1995
12 金立鑫, "“把”字句的句法、语义、语境特征" 中国社会科学院语言研究所 (7) : 1997
중국어 독해 교재 집필 현황 분석 -2010년 이후 국내 출판 교재에 대한 정량 분석을 중심으로-
중등 교육과정 중국어 의사소통 기능 항목 체계의 적절성에 대한 연구
중의성 문장에서 단어 간 공백이 중국어 학습자의 독해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11-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Chinese Teaching and Studies ->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Research | ![]() |
2011-08-1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of Chinese Teaching -> Korea Association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6-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중국어교육학회 -> 한국중국어교육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Association of Chinese Teaching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5 | 0.25 | 0.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4 | 0.47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