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습장애 Hybrid 진단 모형 탐색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개별 능력 프로파일 분석과 중재전략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522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2차년도의 축적된 연구결과와 개발된 검사도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및 개발된 읽기영역별 중재전략을 활용하고 (특수)교육학, 심리학, 의학의 융합접근을 통한 Hybrid 학습장애 진단 모델을 구축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묵독유창성을 의미단위 끊어읽기와 빈칸채우기 검사를 통해 측정하고 묵독유창성이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변량이 학년수준과 성취수준에 따라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묵독유창성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계속적으로 발달하며, 고성취 학생들은 의미단위 끊어읽기가, 저성취 학생은 빈칸채우기와 의미단위 끊어읽기의 묵독유창성이 읽기이해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3,4,5학년에서 읽기이해에 저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은 읽기이해 향상을 위해 묵독유창성에 관한 중재가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Hybrid 학습장애 진단모형의 적용가능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지원 모형인 한국형 RTI 모형을 탐색하였다. 이 외에도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가지며 한국형 RTI 교육지원 모형이 현장 적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둘째, Hybrid 학습장애 진단모형 및 교육지원 모형개발을 위하여 읽기장애 영역별 중재전략 특성 분석 및 읽기학습장애 중재프로그램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2차년도에 연구된 인지진단모형을 사용한 읽기이해 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인지프로파일 특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3차년도에 인지진단분석을 통하여 중재전략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읽기이해력은 수학문장제 문제풀이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수학문장제 문제에 나오는 어휘와 문항 간 인지요소를 분석하기 위해서 Q행렬 타당화 하였고 숙달확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읽기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의 중재 교육을 위한 맞춤형 교재 제작을 위해 증거기반 전략과 중재 프로그램 효과성을 확인한 이후 이 내용을 확장하여 학생들의 개별화 학습 요구에 맞추어 학습자 중심으로 형성된 BASA와 함께하는 읽기능력 증진 개별화 프로그램 읽기 나침반 음운인식편, 읽기유창성편, 어휘편, 읽기이해편(김동일, 2017)으로 총 4권의 심층있는 워크북을 추가적으로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휘 및 읽기이해 영역에서 아동의 진전도를 적절하고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Digital-based에 의거한 Digitalized Learning Management가 기획되었다. 현장 적용성 평가와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인쇄물 기반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여 이차적으로 실제 형태에 가까운 Microsoft Power Point로 개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2차년도의 축적된 연구결과와 개발된 검사도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및 개발된 읽기영역별 중재전략을 활용하고 (특수)교육학, 심리학, 의학의 융합접근을 통한 Hybrid 학습장애 ...

      본 연구는 1,2차년도의 축적된 연구결과와 개발된 검사도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및 개발된 읽기영역별 중재전략을 활용하고 (특수)교육학, 심리학, 의학의 융합접근을 통한 Hybrid 학습장애 진단 모델을 구축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묵독유창성을 의미단위 끊어읽기와 빈칸채우기 검사를 통해 측정하고 묵독유창성이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변량이 학년수준과 성취수준에 따라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묵독유창성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계속적으로 발달하며, 고성취 학생들은 의미단위 끊어읽기가, 저성취 학생은 빈칸채우기와 의미단위 끊어읽기의 묵독유창성이 읽기이해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3,4,5학년에서 읽기이해에 저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은 읽기이해 향상을 위해 묵독유창성에 관한 중재가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Hybrid 학습장애 진단모형의 적용가능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지원 모형인 한국형 RTI 모형을 탐색하였다. 이 외에도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가지며 한국형 RTI 교육지원 모형이 현장 적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둘째, Hybrid 학습장애 진단모형 및 교육지원 모형개발을 위하여 읽기장애 영역별 중재전략 특성 분석 및 읽기학습장애 중재프로그램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2차년도에 연구된 인지진단모형을 사용한 읽기이해 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인지프로파일 특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3차년도에 인지진단분석을 통하여 중재전략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읽기이해력은 수학문장제 문제풀이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수학문장제 문제에 나오는 어휘와 문항 간 인지요소를 분석하기 위해서 Q행렬 타당화 하였고 숙달확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읽기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의 중재 교육을 위한 맞춤형 교재 제작을 위해 증거기반 전략과 중재 프로그램 효과성을 확인한 이후 이 내용을 확장하여 학생들의 개별화 학습 요구에 맞추어 학습자 중심으로 형성된 BASA와 함께하는 읽기능력 증진 개별화 프로그램 읽기 나침반 음운인식편, 읽기유창성편, 어휘편, 읽기이해편(김동일, 2017)으로 총 4권의 심층있는 워크북을 추가적으로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휘 및 읽기이해 영역에서 아동의 진전도를 적절하고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Digital-based에 의거한 Digitalized Learning Management가 기획되었다. 현장 적용성 평가와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인쇄물 기반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여 이차적으로 실제 형태에 가까운 Microsoft Power Point로 개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is to construct and verify LD (Learning Disabilities) Hybrid Diagnostic Model through exploration and utilization of collected data from previous year one and year two with previously developed assessment tools for realistic applications and accessibility in (special) education, psychology, medical field. For this reason, through word chunking reading and maze assessment for silent reading was measured, significant variables of silent reading in high correlations with overall reading comprehension and variables that corresponds to grade-level and achievement level competency were explored. Consequently, findings indicate that silent reading skills continuously improve as the grades move up, and word chunking reading skills were proved to be a strong indicator for silent reading fluency for high achieving students while both maze skills and word chunking appeared to be a strong indicator for low achieving students. Through this research, implications include that low achieving students in grade 3, 4, 5 would benefit from receiving silent reading fluency interventions as a means of improving their overall reading comprehension competency. Furthermore, in order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the Hybrid diagnostic model, the Korean RTI was revi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is to construct and verify LD (Learning Disabilities) Hybrid Diagnostic Model through exploration and utilization of collected data from previous year one and year two with previously developed assessment tool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is to construct and verify LD (Learning Disabilities) Hybrid Diagnostic Model through exploration and utilization of collected data from previous year one and year two with previously developed assessment tools for realistic applications and accessibility in (special) education, psychology, medical field. For this reason, through word chunking reading and maze assessment for silent reading was measured, significant variables of silent reading in high correlations with overall reading comprehension and variables that corresponds to grade-level and achievement level competency were explored. Consequently, findings indicate that silent reading skills continuously improve as the grades move up, and word chunking reading skills were proved to be a strong indicator for silent reading fluency for high achieving students while both maze skills and word chunking appeared to be a strong indicator for low achieving students. Through this research, implications include that low achieving students in grade 3, 4, 5 would benefit from receiving silent reading fluency interventions as a means of improving their overall reading comprehension competency. Furthermore, in order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the Hybrid diagnostic model, the Korean RTI was revi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