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들은 인간의 삶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시도이다. 특히 구체적 사례연구를 통해 축제의 구조와 사회문화적 기능을 연구했다. 먼저 축제와 신화의 서사구조 연구, 가면이 생산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9978
-
2006년
Korean
축제와 문화이데올로기 ; 축제의 연행론적 분석 ; 원형적 세계관에 대한 비교 문화적 분석 ; 축제와 혁명 ; 일상과 축제 ; 세시풍속에 나타난 축제 ; 축제와 민속신앙 ; 문학의 카니발 ; 축제문화의 제현상 ; 축제와 신화의 서사구조 ; 축제와 가면 ; 독일 카니발 ; 축제와 18세기 이념 ; 축제와 환상 ; 전통축제 ; 남사당패놀이 ; 축제의 문학화 ; 탈중심화와 고유한 정체성 추구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들은 인간의 삶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시도이다. 특히 구체적 사례연구를 통해 축제의 구조와 사회문화적 기능을 연구했다. 먼저 축제와 신화의 서사구조 연구, 가면이 생산해...
이 연구들은 인간의 삶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시도이다. 특히 구체적 사례연구를 통해 축제의 구조와 사회문화적 기능을 연구했다. 먼저 축제와 신화의 서사구조 연구, 가면이 생산해내는 새로운 상징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규명, 카니발의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 독일 카니발의 역사와 사회적 기능 분석, 유럽 시민계급을 지배하는 역사적 관념과 의식을 형상화한 토마스 만의 소설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을 통해, 축제와 18세기 이념사와의 필연적 관계를 조명했다. 또한 유럽축제를 중심으로 환상이 축제에서 지니는 의미 고찰, 한국 ?옜웠통축제웰#? 심리적, 사회적 기능을 연구하기 위해 남사당패놀이에 대한 구체적 분석, 김유정 문학제를 통해 축제의 문학화 현상 분석, 현대인의 탈중심화와 고유한 정체성 추구의 융합과정을 밝혔다.
목차는 1.축제와 신화의 서사구조:축제의 거인성과 거인 신화-유럽축제와 한국축제를 중심으로-(조성애) 2.가면의 다중적 의미와 가면축제의 맥락적 이해-사육제적가면으로부터세속화된가면축제에이르기까지-(류정아) 3.독일 중세와 근대 카니발의 사회적 기능독일 중세와 근대 카니발의 사회적 기능 -라인 지역 카니발의 ‘바보’의 역할을 중심으로-(전동열) 4.‘역사’의 종말과 ‘축제’의 시작 ‘역사’의 종말과 ‘축제’의 시작 -토마스 만의 부덴브로크 가의 사람들Buddenbrooks-(홍길표) 5.남사당패놀이의 축제성남사당패놀이의 축?옜엡샬#? (이상란) 6.축제와 환상축제와 환상 (김미성) 7.꼭두각시놀음의 축제성(이상란)로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