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유학의 리더십과 그 현대적 특징 - 持敬에서 至治로, 지혜의 리더십 - = The Leadership in Korean Confucianism and its Modern Characteristics : Chíjìng(持敬) to Zhìzhì(至治), the Leadership Wisdo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apply the Leadership Theory, current interest in Asian Philosophy, to Korean appliance. This is to associate contemporary Leadership Theory with Chosun Confucianism in order to discover the Korean Leadership Prototype, and seek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for modern usage. The essay uses two analysis models. The tools used for the methodology consists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as one axis and ruling out the roles in order to develop the discussion as the other axis. First axis is the process of the leader setting the identity and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successfully deploy his/her leadership. The second axis is comprised of four specific fields where the leadership is deployed. The four sectors are Self Sector, Relationship Sector, Team Sector and Community Sector.
      Core values of each sector have been set up and specific competences have been presented. In the Self Sector, zhìxīn(治心) and chíjìng(持敬) have been set as core values and lìzhì(立志) and shíxīn(實心) as their competences. In the Relationship Sector and Team Sector, circumstances(時宜) and shíshìgēngzhāng(實事更張) were set as core values, accordingly. Lastly for the Community sector, the core value, 'Ideal Leader and the Visions of and Ideal Community', was conceptualized as ‘mùmínzhìzhì(牧民至治)’. The leadership is then expanded from the Self Sector to the final stage through its processes.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be found out that the Korean Leadership Model is not rigid to just cover a specific point in time or situation, but embraces many contemporary leadership concepts, thu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rehensive leadership theory.
      번역하기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apply the Leadership Theory, current interest in Asian Philosophy, to Korean appliance. This is to associate contemporary Leadership Theory with Chosun Confucianism in order to discover the Korean Leadership Prototype, a...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apply the Leadership Theory, current interest in Asian Philosophy, to Korean appliance. This is to associate contemporary Leadership Theory with Chosun Confucianism in order to discover the Korean Leadership Prototype, and seek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for modern usage. The essay uses two analysis models. The tools used for the methodology consists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as one axis and ruling out the roles in order to develop the discussion as the other axis. First axis is the process of the leader setting the identity and strengthening the ability to successfully deploy his/her leadership. The second axis is comprised of four specific fields where the leadership is deployed. The four sectors are Self Sector, Relationship Sector, Team Sector and Community Sector.
      Core values of each sector have been set up and specific competences have been presented. In the Self Sector, zhìxīn(治心) and chíjìng(持敬) have been set as core values and lìzhì(立志) and shíxīn(實心) as their competences. In the Relationship Sector and Team Sector, circumstances(時宜) and shíshìgēngzhāng(實事更張) were set as core values, accordingly. Lastly for the Community sector, the core value, 'Ideal Leader and the Visions of and Ideal Community', was conceptualized as ‘mùmínzhìzhì(牧民至治)’. The leadership is then expanded from the Self Sector to the final stage through its processes.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be found out that the Korean Leadership Model is not rigid to just cover a specific point in time or situation, but embraces many contemporary leadership concepts, thu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mprehensive leadership the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최근 동양철학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리더십이론의 한국적 적용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현대 리더십이론을 조선시대 유학에 접목시켜 우리 고유의 한국형 리더십의 원형과 현실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분석모델, 즉 리더의 개인적 특성과 역할을 규정하는 하나의 축과 리더십이 발휘되는 구체적 현장을 규정하는 하나의 축을 설정하여 논의를 전개하는 방법론적 도구로 사용하였다. 첫 번째 축은 리더십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기 위해 필요한 리더의 모습, 즉 리더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량을 강화해나가는 과정이며, 두 번째 축은 개인영역(Self) - 관계영역(Relationship) - 조직영역(Team) - 사회영역(Community) 등 리더십이 발휘되는 4개의 구체적인 현장이다. 각 영역별로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한 핵심가치를 설정했으며, 그 핵심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역량들을 제시하였다. 먼저 개인영역에서는 治心과 持敬을 핵심가치로, 그리고 立志와 實心을 그 역량으로 한 셀프리더십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관계영역과 조직영역에서는 각각 時宜와 實事更張이라는 핵심가치 및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 역량들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영역에서는 ‘이상적 리더상과 이상사회의 비전’이라는 핵심가치를 ‘牧民至治’라는 개념으로 정의함으로써, 개인영역에서 점차 확대되어 리더십이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과정을 한국 유학의 이론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한국형 리더십은 어느 한 시점이나 특정의 상황에서만 유용한 단발적인 리더십이 아니라 현대의 다양한 리더십이론을 포괄하는 종합적 리더십의 성격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최근 동양철학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리더십이론의 한국적 적용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현대 리더십이론을 조선시대 유학에 접목시켜 우리 고유의 한국형 리더십의 ...

      본 논문은 최근 동양철학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리더십이론의 한국적 적용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현대 리더십이론을 조선시대 유학에 접목시켜 우리 고유의 한국형 리더십의 원형과 현실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분석모델, 즉 리더의 개인적 특성과 역할을 규정하는 하나의 축과 리더십이 발휘되는 구체적 현장을 규정하는 하나의 축을 설정하여 논의를 전개하는 방법론적 도구로 사용하였다. 첫 번째 축은 리더십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기 위해 필요한 리더의 모습, 즉 리더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량을 강화해나가는 과정이며, 두 번째 축은 개인영역(Self) - 관계영역(Relationship) - 조직영역(Team) - 사회영역(Community) 등 리더십이 발휘되는 4개의 구체적인 현장이다. 각 영역별로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한 핵심가치를 설정했으며, 그 핵심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역량들을 제시하였다. 먼저 개인영역에서는 治心과 持敬을 핵심가치로, 그리고 立志와 實心을 그 역량으로 한 셀프리더십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관계영역과 조직영역에서는 각각 時宜와 實事更張이라는 핵심가치 및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 역량들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영역에서는 ‘이상적 리더상과 이상사회의 비전’이라는 핵심가치를 ‘牧民至治’라는 개념으로 정의함으로써, 개인영역에서 점차 확대되어 리더십이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과정을 한국 유학의 이론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한국형 리더십은 어느 한 시점이나 특정의 상황에서만 유용한 단발적인 리더십이 아니라 현대의 다양한 리더십이론을 포괄하는 종합적 리더십의 성격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문용, "홍대용의 실학과 18세기 북학사상" 서울 예문서원 2005

      2 Gary Yukl, "현대조직의 리더십 이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6

      3 김종명, "핵심가치 리더십의 정립 월간 HRD 새로운 HRD 이슈, 핵심가치 리더십" 한국HRD센터 2007

      4 금장태, "한국의 선비와 선비정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5 최영성, "한국유학통사" 서울 심산 2006

      6 정도원, "퇴계의 지행병진과 존체응용의 리더십" 제21회 퇴계학국제학술회의 논문집 2007

      7 이완재, "퇴계의 인간관" 서울 예문서원 2002

      8 황의동, "주기설의 확립과 실천적 경세론 율곡학파 한국사상사연구회 편저 조선유학의 학파들" 서울 예문서원 2004

      9 배병삼, "조선시대 정치적 리더십론 수기치인과 무위이치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1 (31): 1997

      10 이상성, "조광조 한국 도학의 태산북두" 성균관대출판부 2006

      1 김문용, "홍대용의 실학과 18세기 북학사상" 서울 예문서원 2005

      2 Gary Yukl, "현대조직의 리더십 이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6

      3 김종명, "핵심가치 리더십의 정립 월간 HRD 새로운 HRD 이슈, 핵심가치 리더십" 한국HRD센터 2007

      4 금장태, "한국의 선비와 선비정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5 최영성, "한국유학통사" 서울 심산 2006

      6 정도원, "퇴계의 지행병진과 존체응용의 리더십" 제21회 퇴계학국제학술회의 논문집 2007

      7 이완재, "퇴계의 인간관" 서울 예문서원 2002

      8 황의동, "주기설의 확립과 실천적 경세론 율곡학파 한국사상사연구회 편저 조선유학의 학파들" 서울 예문서원 2004

      9 배병삼, "조선시대 정치적 리더십론 수기치인과 무위이치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1 (31): 1997

      10 이상성, "조광조 한국 도학의 태산북두" 성균관대출판부 2006

      11 금장태, "정약용 한국실학의 집대성" 성균관대출판부 2002

      12 김종명, "인재의 조건 조직헌신과 사회공헌 월간 HRD 새로운 HRD 이슈, 핵심가치 리더십" 한국HRD센터 2007

      13 강경원, "이익 인간소외 극복의 실학자" 성균관대출판부 2002

      14 임옥균, "이이 정치적 실천철학의 완성" 성균관대출판부 2006

      15 권인호, "유교적 리더십의 현대적 가치 유교의 현대적 역할" 한국유교학회 2007

      16 이기동, "유교적 경영과 리더십" 유교문화연구소 10 : 2006

      1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유교리더십과 한국정치" 백산서당 2002

      18 정재현, "유교공동체주의와 현대 관리사상 현대 리더십이론" 유교문화연구소 1 : 2000

      19 선배리더십연구소, "션배-우리 선조들의 핵심가치리더십 이야기" 서울 HRD북스 2007

      20 김형찬, "세계관의 변화와 선진문물의 수용 북학파 조선유학의 학파들" 서울 예문서원 2004

      21 켄 블랜차드, "상황대응 리더십Ⅱ 바이블" 21세기북스 2007

      22 워렌 베니스 버트 나누스, "리더와 리더십" 서울 황금부엉이 2007

      23 문재윤, "리더십론의 관점에서 본 조선조 왕실 전통의 형성" 대한정치학회 14 (14): 2006

      24 Peter G. Northouse, "리더십" 경문사 2001

      25 김종두, "다산사상에서 찾는 한국적 현대적 리더십" (50) : 2007

      26 다니엘 골먼 리처드 보이애치스 애니 맥키, "감성의 리더십" 청림출판 2007

      27 이동준, "16세기 한국 성리학파의 철학사상과 역사의식" 서울 심산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6 1.189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