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윤곤강 시에 나타난 길의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26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윤곤강의 시에 나타난 ‘길’의 양상에 주목하여 윤곤강 시문학의 미학적 의미를 재고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설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공간에 걸쳐서 작품 활동을 했던 윤곤강의 시선이 ‘길’의 이미지에 맞닿아 있고 이를 통해 시적 형상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윤곤강 시의 내적 동인으로써의 길 모티브에서 식민지 현실과 자아의 갈등 양상, 전통에의 지향과 주체성의 모색, 생명존중과 고향의식 등의 미학적 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이번 논문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곤강의 시에서 길 모티브의 내적 동인으로 추출할 수 있는 미학적 의미는 식민지 현실과 자아의 갈등 양상을 새롭게 규명하였다는 것이다. 그의 시에서 시적 자아의 고독은 암울한 식민지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은 주체의 욕망을 함축하고 있다. 윤곤강은 식민지 현실에서 고뇌하고 방황하는 시적 자아의 갈등 양상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의 시에서 길 모티브의 내적 동인은 시적 자아의 양가감정으로 표출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시적 주체의 내적 욕망은 길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암담한 식민지 현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그에 대한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했던 시인의 의지를 읽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그에게 있어서 ‘길’은 시적 자아의 갈등 양상을 모색하고자 했던 내적 동인임에 틀림이 없다.
      둘째, 윤곤강의 시에 나타나는 길 모티브의 미학적 의미는 전통에의 지향과 주체성의 모색에서도 확인하였다. 해방 이후에 발표된 『피리』와 『살어리』 등에 수록된 시들에서는 백제 가요나 신라의 향가, 고려 가요 등 우리 민족의 옛 노래를 모방하고 있는 작품들을 다수 만날 수 있다. 윤곤강은 자기반성의 과정에서 우리 옛 노래에 담긴 시어와 율조, 향토적 정서를 적극적으로 모방하고 수용하여 그만의 시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윤곤강의 시에서 전통에의 지향은 해방공간의 시적 변모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시적 자아의 주체성의 모색은 희망이 없고 막막한 현실 세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명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윤곤강 시의 길 모티브는 생명존중과 고향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의 삶은 고향을 기점으로 한 떠남과 돌아옴의 이중적인 운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길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표면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인생의 행로에 비유되는 내면적인 의미를 띠기도 한다. 윤곤강의 시에 나타나는 길이 대지 위에 있음을 고려할 때 대지는 생명 탄생의 근원인 어머니의 자궁처럼 무한한 생명을 잉태하고 있는 객관적 상관물이 된다. 대지와 어머니와 고향은 길 모티브의 중심에 있기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윤곤강의 시에 나타난 ‘길’의 양상에 주목하여 윤곤강 시문학의 미학적 의미를 재고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설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공간에 걸쳐서 작품 활동을...

      본 연구의 목적은 윤곤강의 시에 나타난 ‘길’의 양상에 주목하여 윤곤강 시문학의 미학적 의미를 재고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설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공간에 걸쳐서 작품 활동을 했던 윤곤강의 시선이 ‘길’의 이미지에 맞닿아 있고 이를 통해 시적 형상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윤곤강 시의 내적 동인으로써의 길 모티브에서 식민지 현실과 자아의 갈등 양상, 전통에의 지향과 주체성의 모색, 생명존중과 고향의식 등의 미학적 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이번 논문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곤강의 시에서 길 모티브의 내적 동인으로 추출할 수 있는 미학적 의미는 식민지 현실과 자아의 갈등 양상을 새롭게 규명하였다는 것이다. 그의 시에서 시적 자아의 고독은 암울한 식민지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은 주체의 욕망을 함축하고 있다. 윤곤강은 식민지 현실에서 고뇌하고 방황하는 시적 자아의 갈등 양상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의 시에서 길 모티브의 내적 동인은 시적 자아의 양가감정으로 표출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시적 주체의 내적 욕망은 길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암담한 식민지 현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그에 대한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했던 시인의 의지를 읽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그에게 있어서 ‘길’은 시적 자아의 갈등 양상을 모색하고자 했던 내적 동인임에 틀림이 없다.
      둘째, 윤곤강의 시에 나타나는 길 모티브의 미학적 의미는 전통에의 지향과 주체성의 모색에서도 확인하였다. 해방 이후에 발표된 『피리』와 『살어리』 등에 수록된 시들에서는 백제 가요나 신라의 향가, 고려 가요 등 우리 민족의 옛 노래를 모방하고 있는 작품들을 다수 만날 수 있다. 윤곤강은 자기반성의 과정에서 우리 옛 노래에 담긴 시어와 율조, 향토적 정서를 적극적으로 모방하고 수용하여 그만의 시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윤곤강의 시에서 전통에의 지향은 해방공간의 시적 변모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시적 자아의 주체성의 모색은 희망이 없고 막막한 현실 세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명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윤곤강 시의 길 모티브는 생명존중과 고향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의 삶은 고향을 기점으로 한 떠남과 돌아옴의 이중적인 운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길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표면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인생의 행로에 비유되는 내면적인 의미를 띠기도 한다. 윤곤강의 시에 나타나는 길이 대지 위에 있음을 고려할 때 대지는 생명 탄생의 근원인 어머니의 자궁처럼 무한한 생명을 잉태하고 있는 객관적 상관물이 된다. 대지와 어머니와 고향은 길 모티브의 중심에 있기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aesthetic meaning of Yoon Gong Gang’s poetry with attention on the aspect of “Road” in the Yoon’s poem. This problem set-up bases on that eye of Yoon, who had worked during Japanese colonial and independent era, meets on the image of “Road” and that the poetic projection is done with it. The conflict aspect between colonial reality and ego, the tradition-orient and groping of subjecthood, and the life aspect and hometown consciousness, etc. were extracted as inner drivers of Yoon’s poem.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the aesthetic meaning which extracted as a inner driver of Yoon’s poem is to reestablish conflict aspect between colonial reality and ego. The loneliness of poetic ego in his poem implies desire to get out of the colonial reality. Yoon shows conflict aspect of poetic ego about anguish and wandering in the colonial reality. The inner driver of “Road” motive in his poem is often expressed as ambivalence of poetic ego and the inner desire appears on the Road frequently. On this point, we can read the will of poet to accept the gloomy colonial reality critically and to grope progressive alternative. As a result, it is clear that the “Road” is the inner driver of him to grope conflict aspect of poetic ego.
      Secon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aesthetic meaning of Yoon Gong Gang’s poetry with attention on the aspect of “Road” in the Yoon’s poem. This problem set-up bases on that eye of Yoon, who had worked during Japanese colonial and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aesthetic meaning of Yoon Gong Gang’s poetry with attention on the aspect of “Road” in the Yoon’s poem. This problem set-up bases on that eye of Yoon, who had worked during Japanese colonial and independent era, meets on the image of “Road” and that the poetic projection is done with it. The conflict aspect between colonial reality and ego, the tradition-orient and groping of subjecthood, and the life aspect and hometown consciousness, etc. were extracted as inner drivers of Yoon’s poem.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the aesthetic meaning which extracted as a inner driver of Yoon’s poem is to reestablish conflict aspect between colonial reality and ego. The loneliness of poetic ego in his poem implies desire to get out of the colonial reality. Yoon shows conflict aspect of poetic ego about anguish and wandering in the colonial reality. The inner driver of “Road” motive in his poem is often expressed as ambivalence of poetic ego and the inner desire appears on the Road frequently. On this point, we can read the will of poet to accept the gloomy colonial reality critically and to grope progressive alternative. As a result, it is clear that the “Road” is the inner driver of him to grope conflict aspect of poetic ego.
      Secon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