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디외적인 인식에 동참하면서 문학의 제도화 과정을 사회문화의 다양한 맥락 속에서 이해하려는 이 연구는 기득권 세력과 이를 전복하려는 아방가르드 세력 간의 갈등과 투쟁 양상을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4183
-
2009년
Korean
프랑코 시대 초기 연극 ; 지배이데올로기 ; 러시아문학 ; 문학중심주의 ; 출판 ; 비평 ; 68혁명 ; 현대프랑스문학 ; 문학장 ; 후기구조주의 ; 상호주체(관)성 ; 텍스트 ; 페미니즘 ; 텔켈 ; 부르디외 ; 바르트 ; 크리스테바 ; 라캉 ; 검열 ; 1930년대 말 문학 ; 정치와 문학 ; 내면화 ; 강요된 전망 ; 문학형식 ; 시적 장르 ; 종교권력 ; 입헌(신)기 문학 ; 이슬람 혁명기 문학 ; 고전 ; 문화자본 ; 길로리 ; 탈식민주의 ; 미국문학 ; 아방 가르드 ; 불가능 ; 단절 ; 위반 ; 전복 ; 부정성 ; 초현실주의 혁명 ; 모범극영화 ; 모범극 ; 문화혁명 ; 사회주의중국 ; 국가권력 ; 영웅체제 ; 지앙칭 ; 대중호응 ; 영웅시스템 ; 반담론 ; 영화의 속성 ; 대항장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부르디외적인 인식에 동참하면서 문학의 제도화 과정을 사회문화의 다양한 맥락 속에서 이해하려는 이 연구는 기득권 세력과 이를 전복하려는 아방가르드 세력 간의 갈등과 투쟁 양상을 이...
부르디외적인 인식에 동참하면서 문학의 제도화 과정을 사회문화의 다양한 맥락 속에서 이해하려는 이 연구는 기득권 세력과 이를 전복하려는 아방가르드 세력 간의 갈등과 투쟁 양상을 이론적․실증적으로 조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부르디외와 루만 등의 문학성과 문학장에 대한 이론적 성찰을 시작으로(라영균), 사회구조적인 관점에서 문학개념의 외연확장이 독일의 문학장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살펴보고(하명해), 프랑스 아방가르드 운동의 실체와 20세기 문학장의 변화를 주도한 잡지들의 차별화 전략을 조망하고(김희영), 이?? 연계적으로 프랑스 68혁명 이후 현대프랑스문학장의 원리, 실천, 전략, 제도, 재생산의 메커니즘과 문학성의 문제, 나아가 문학성과 문학권력 간의 유기적 관계에 이르는 다각적인 논의를 지향하였다(류은영). 또한 정치변화와 문학장의 관계에서는 페레스트로이카로 야기된 러시아문학장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오랫동안 러시아문학의 전통을 이루었던 ‘문학중심주의’가 해체되어가는 양상을 분석하였으며(조준래), 국가권력에 의해 문학장의 변화가 저지되고 통제되는 스페인 프랑코독재정권(성초림)과 중국의 사회주의 경우(임대근)도 알아보?年?. 문학은 종교권력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란 입헌혁명 이후 예언자적 사명과 사회성을 강조하는 시학의 변화를 조명하였다(신규섭). 결론에서는 문학장의 위계질서를 가장 효율적으로 유지하는 기제인 검열과 정전을 우리 문학과 우리 문학교육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국의 경우를 통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정전’ 개념이 백인 부르주아 남성 위주의 세계관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라면, 성이나 인종의 개념을 거부하는 ‘반정전’과 출판과 교육이 거부된 문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부정정전’ 역시 문학장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으며(김상률), 이러한 정전화라는 선별기제와 대비되는 배제기제로서의 검열이 한국 문학장을 유지 강화하려는 순기능 외에 문학장의 변화를 야기하는 역기능도 가지고 있음도 밝혀내었다(채호석). 1920~70년대에 이르는 세계 문학장의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한데 모은 이 책은 문화적·시대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문학권력을 선점하려는 다양한 입장들의 투쟁양상을 ‘동시적으로’ 비교분석 가능하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문학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