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유럽의 이슬람 세계에 대한 식민주의 팽창과 수피 종단의 저항 운동 = The Expansion of European Colonialism in the Islamic World and the Sufi Orders’ Resistance M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74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military resistance movements against the European colonialism led by Sufi orders in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Qādiriyya in Algerian, the Sanūsiyya in Libya, and the Sammāniyya in Sudan.
      It is well known that Sufism, which is often defined as “Islamic mysticism”, seeks personal salvation through spiritual union with God. Traditionally, therefore, Sufis were characterized by their asceticism, especially by their attachment to dhikr, the practice of remembrance of God. For the same reason, Sufis devoted themselves to monastic life ignoring worldliness.
      However, when faced with the crises triggered by the European colonialism, many Sufis changed their traditional attitudes and took an active part in the world affairs. They led military resistance movements against the expansion of colonialism of the European powers across the entire Islamic world.
      Among the various Sufi groups that participated in the anti-colonial resistance movement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Qādiriyya, the Sanūsiyya, and the Sammāniyya. First, the Qādiriyya of Algeria led the military resistance against the French from 1832 to 1847. Second, the Sanūsiyya of Libya fought a long-term war against Italy’s invasion from 1911 to 1931. Lastly, the Mahdi movement, which had been initiated by the Sammāniyya in Sudan, led the struggle against Egypt, the Ottoman, and the British from 1881 to 1898.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military resistance movements against the European colonialism led by Sufi orders in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Qādiriyya in Algerian, the Sanūsiyya in Libya, and the Sammāni...

      This article examines the military resistance movements against the European colonialism led by Sufi orders in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Qādiriyya in Algerian, the Sanūsiyya in Libya, and the Sammāniyya in Sudan.
      It is well known that Sufism, which is often defined as “Islamic mysticism”, seeks personal salvation through spiritual union with God. Traditionally, therefore, Sufis were characterized by their asceticism, especially by their attachment to dhikr, the practice of remembrance of God. For the same reason, Sufis devoted themselves to monastic life ignoring worldliness.
      However, when faced with the crises triggered by the European colonialism, many Sufis changed their traditional attitudes and took an active part in the world affairs. They led military resistance movements against the expansion of colonialism of the European powers across the entire Islamic world.
      Among the various Sufi groups that participated in the anti-colonial resistance movement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Qādiriyya, the Sanūsiyya, and the Sammāniyya. First, the Qādiriyya of Algeria led the military resistance against the French from 1832 to 1847. Second, the Sanūsiyya of Libya fought a long-term war against Italy’s invasion from 1911 to 1931. Lastly, the Mahdi movement, which had been initiated by the Sammāniyya in Sudan, led the struggle against Egypt, the Ottoman, and the British from 1881 to 1898.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알제리의 카디리야 종단, 리비아의 사누시야 종단, 수단의 삼마니야 종단의 사례를 통해 유럽의 식민주의에 대항하여 19세기와 20세기 초반 수피종단이 주도했던 무장저항 운동을 고찰하는 것이다.
      흔히 ‘이슬람 신비주의’로 알려진 수피즘은 신과의 영적 합일을 통한 개인의 구원을 추구한다. 이에 따라 전통적으로 수피주의자들은 알라의 이름을 염송하는 디크르 의식을 행하며 금욕주의를 영위해 왔다. 이 같은 이유에서 수피주의자들은 속세를 멀리하고 수도 생활에 헌신했다.
      하지만 유럽 식민주의에 의해 촉발된 위기를 맞이하여 많은 수피자들은 전통적인 행동양식을 버리고 현실 세계에 적극 참여했다. 전 이슬람 세계에서 수피주의자들은 유럽 열강의 식민주의 팽창에 맞서 무장 항쟁 운동을 주도했다.
      본고는 반식민주의 저항운동에 참여한 여러 수피 종단 가운데 카디리야 종단, 사누시야 종단, 삼마니야 종단을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첫째, 알제리의 사누시야 종단은 1832년부터 1847년까지 프랑스에 맞서 무장 항쟁을 주도했다. 둘째, 리비아의 사누시야 종단은 이탈리아의 침공에 맞서 1911년부터 1931년까지 장기적인 전쟁을 치렀다. 마지막으로 수단에서는 삼마니야 종단이 마흐디 운동을 주도함으로써 1881년부터 1898년까지 이집트, 오스만제국, 영국 등에 맞서 투쟁했다.
      번역하기

      본고의 목적은 알제리의 카디리야 종단, 리비아의 사누시야 종단, 수단의 삼마니야 종단의 사례를 통해 유럽의 식민주의에 대항하여 19세기와 20세기 초반 수피종단이 주도했던 무장저항 운...

      본고의 목적은 알제리의 카디리야 종단, 리비아의 사누시야 종단, 수단의 삼마니야 종단의 사례를 통해 유럽의 식민주의에 대항하여 19세기와 20세기 초반 수피종단이 주도했던 무장저항 운동을 고찰하는 것이다.
      흔히 ‘이슬람 신비주의’로 알려진 수피즘은 신과의 영적 합일을 통한 개인의 구원을 추구한다. 이에 따라 전통적으로 수피주의자들은 알라의 이름을 염송하는 디크르 의식을 행하며 금욕주의를 영위해 왔다. 이 같은 이유에서 수피주의자들은 속세를 멀리하고 수도 생활에 헌신했다.
      하지만 유럽 식민주의에 의해 촉발된 위기를 맞이하여 많은 수피자들은 전통적인 행동양식을 버리고 현실 세계에 적극 참여했다. 전 이슬람 세계에서 수피주의자들은 유럽 열강의 식민주의 팽창에 맞서 무장 항쟁 운동을 주도했다.
      본고는 반식민주의 저항운동에 참여한 여러 수피 종단 가운데 카디리야 종단, 사누시야 종단, 삼마니야 종단을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첫째, 알제리의 사누시야 종단은 1832년부터 1847년까지 프랑스에 맞서 무장 항쟁을 주도했다. 둘째, 리비아의 사누시야 종단은 이탈리아의 침공에 맞서 1911년부터 1931년까지 장기적인 전쟁을 치렀다. 마지막으로 수단에서는 삼마니야 종단이 마흐디 운동을 주도함으로써 1881년부터 1898년까지 이집트, 오스만제국, 영국 등에 맞서 투쟁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명, "현대중동국가의 형성과 발전" 다해 2010

      2 장문석, "이탈리아의 리비아 정복과 식민화, 1911-1943" 한국서양사학회 (113) : 66-99, 2012

      3 손주영, "이집트 역사 100장면" 가람기획 2003

      4 아이라 M. 라피두스, "이슬람의 세계사" 이산 2009

      5 황의갑, "영화 ‘사막의 라이언’에 나타난 리비아 베르베르족의 독립투쟁과 이탈리아의 식민정책" 중동연구소 32 (32): 83-104, 2013

      6 앨버트 후라니, "아랍인의 역사" 심산 2010

      7 황병하, "북아프리카 현대 이슬람 운동의 기원" 조선대 외국문화연구원 23 (23): 2010

      8 황의갑, "마그립 지역의 베르베르족 문화와 이슬람" 한국이슬람학회 8 (8): 2010

      9 신양섭, "게릴라전의 명장: 사막의 라이온 우마르 알무크타르" 한국외대중동연구소 17 (17): 1998

      10 Pritchard, E.E. Evans, "The Sanusi of Cyrenaica" Clarendon Press 1954

      1 김정명, "현대중동국가의 형성과 발전" 다해 2010

      2 장문석, "이탈리아의 리비아 정복과 식민화, 1911-1943" 한국서양사학회 (113) : 66-99, 2012

      3 손주영, "이집트 역사 100장면" 가람기획 2003

      4 아이라 M. 라피두스, "이슬람의 세계사" 이산 2009

      5 황의갑, "영화 ‘사막의 라이언’에 나타난 리비아 베르베르족의 독립투쟁과 이탈리아의 식민정책" 중동연구소 32 (32): 83-104, 2013

      6 앨버트 후라니, "아랍인의 역사" 심산 2010

      7 황병하, "북아프리카 현대 이슬람 운동의 기원" 조선대 외국문화연구원 23 (23): 2010

      8 황의갑, "마그립 지역의 베르베르족 문화와 이슬람" 한국이슬람학회 8 (8): 2010

      9 신양섭, "게릴라전의 명장: 사막의 라이온 우마르 알무크타르" 한국외대중동연구소 17 (17): 1998

      10 Pritchard, E.E. Evans, "The Sanusi of Cyrenaica" Clarendon Press 1954

      11 Muedini, Fait, "Sufism and Anti-Colonial Violent Resistance Movements: The Qadiriyya and Sanussi Orders in Algeria and Libya" 1 : 2015

      12 Vikør, Knuth S., "Sufi and scholar on the desert edge: Muḥammad b. ʻAlī al-Sanūsī and his Brotherhood"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95

      13 Rahma, Awalia, "Sufi Orders and Resistance Movement: The Sanūsiyya of Libya, 1911~1932" McGill University 1999

      14 Abun-Nasr, Jamil M., "Muslim Communities of Grace: The Sufi Brotherhoods in Islamic Religious Life" Hurst & Company 2007

      15 St John, Ronald Bruce, "Libya: From Colony to Revolution" Oneworld 2012

      16 Warburg, Gabriel, "Islam, Sectarianism and Politics in Sudan Since the Mahdiyya" Hurst & Company 2003

      17 Motadel, David, "Islam and the European Empir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8 Shah-Kazemi, Reza, "From the Spirituality of Jihad to the Ideology of Jihadism"

      19 Degorge, Barbara, "From Piety to Politics: The Evolution of Sufi Brothers" New Academia Publishing 2006

      20 Bouyerdene, Ahmed, "Emir Abd el-Kader: Hero and Saint of Islam" World Wisdom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5 1.505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