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August 2018, the Unification Education Center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published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irections and Perspectives”(hereinafter the “2018 Guidelines”) in place of the previous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ugust 2018, the Unification Education Center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published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irections and Perspectives”(hereinafter the “2018 Guidelines”) in place of the previous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
In August 2018, the Unification Education Center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published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irections and Perspectives”(hereinafter the “2018 Guidelines”) in place of the previous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s. The 2018 Guidelines accurately reflect the current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toward North Korea as it is the guidelines that the government issued to provide a direc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These newly published guidelines are prepared with an intention to provide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the belief that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s a way to achieve peace. On the outside, peace education was added to unification education. The 2018 Guidelines emphasize that one should cultivate the skills necessary to realize peaceful unification by understanding North Korea with a sense of peace and aiming for cooperative inter-Korean relationship, but in reality the government is attempting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previous government. The actual change in the unification education resulting from the addition of peace educa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is an expression of the will not to pursue unification by an absorption or artificial unification.
In order to show such actual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meaning of ‘peace’ newly appeared in the 2018 Guidelines and its implications will be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eace’ discussed in the 2018 Guidelines, I will discuss in Section II I will analyze the meaning of ‘peace’ education in the 2018 Guidelines. In Section III, I will look at the criticisms raised against the 2018 Guidelines. In Section IV, some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s of the conservative government and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irections and Perspectives” are carried out in the 「Unification Education Support Act」 and 「National Community Unification Plan」 by borrowing Thomas Kuhn‘s paradigm theory. As the journalists argue, it will be argued that the shift from the guidelines of the conservative government to the guidelines of the progressive government is not a ‘paradigm shift’. Therefore, the conflict between progress and conservative over unification policy and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greatly alleviated by accepting this epistemological analysis.
국문 초록 (Abstract)
통일부 통일교육원은 2018년 8월 종전의 통일교육지침서를 대신해 평화ㆍ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을 발간했다. 평화ㆍ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은 현 정부가 통일교육의 방향을 제시�...
통일부 통일교육원은 2018년 8월 종전의 통일교육지침서를 대신해 평화ㆍ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을 발간했다. 평화ㆍ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은 현 정부가 통일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지침서이기 때문에 현 정부의 대북통일정책을 잘 반영한다. 새롭게 발간된 평화ㆍ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은 평화를 실현하는 방법으로 통일교육을 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평화ㆍ통일교육’을 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외형적으로 통일교육에 평화교육이 더해진 것이다. 평화ㆍ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은 평화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을 이해하고 협력적인 남북관계를 지향하게 하여 평화로운 통일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이전 정부와의 차별화를 시도한 것이다. 통일교육에 평화교육이 더해짐으로써 일어난 통일교육의 실질적 변화는 흡수통일이나 인위적 통일을 추구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이 논문은 평화ㆍ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에서 사용한 ‘평화’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II.에서는 평화ㆍ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에 새롭게 나타난 ‘평화의식’의 의미를 분석하고, III.에서는 평화ㆍ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에 대해 제기된 비판을 검토할 것이다. VI.에서는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 이론을 차용하여 보수정부의 통일교육지침서와 문재인 정부의 평화ㆍ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이 모두「통일교육지원법」,「민족공동체통일방안」안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일부 논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보수 정부의 지침서에서 진보 정부의 지침서로의 이동은 ‘패러다임의 전환’이 아니라고 주장할 것이다. 이러한 인식론적 분석을 받아들이면 통일정책과 통일교육을 둘러싼 진보와 보수 사이의 갈등은 크게 완화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영철,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이론의 긴장과 현실의 통합" 북한연구학회 14 (14): 189-214, 2010
2 박종철, "한반도비핵화와 평화체제 전환" 극동문제연구소 22 (22): 103-136, 2006
3 한만길, "한반도 평화체제 이행기 통일교육의 과제" 15 (15): 2018
4 박주하, "한반도 평화체제 및 비핵화 관련 자료집" 통일연구원 2018
5 장은주, "한반도 평화교육: 한반도 평화체제를 위한 교육적 준비" 한국동서철학회 (95) : 289-314, 2020
6 추병완, "학교 통일교육의 평화교육적 접근" 6 : 2003
7 김홍수, "학교 통일교육과 사회 통일교육의 연계성 분석: ‘통일교육지침서’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55-780, 2018
8 한만길, "평화통일교육의 방향과 내용 고찰" 통일연구원 28 (28): 135-157, 2019
9 최우석, "평화적 통일의 시각에서 볼 때 ‘자유민주주의의 신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필요"
10 갈퉁, 요한,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1996
1 정영철,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이론의 긴장과 현실의 통합" 북한연구학회 14 (14): 189-214, 2010
2 박종철, "한반도비핵화와 평화체제 전환" 극동문제연구소 22 (22): 103-136, 2006
3 한만길, "한반도 평화체제 이행기 통일교육의 과제" 15 (15): 2018
4 박주하, "한반도 평화체제 및 비핵화 관련 자료집" 통일연구원 2018
5 장은주, "한반도 평화교육: 한반도 평화체제를 위한 교육적 준비" 한국동서철학회 (95) : 289-314, 2020
6 추병완, "학교 통일교육의 평화교육적 접근" 6 : 2003
7 김홍수, "학교 통일교육과 사회 통일교육의 연계성 분석: ‘통일교육지침서’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55-780, 2018
8 한만길, "평화통일교육의 방향과 내용 고찰" 통일연구원 28 (28): 135-157, 2019
9 최우석, "평화적 통일의 시각에서 볼 때 ‘자유민주주의의 신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필요"
10 갈퉁, 요한,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1996
11 조정아, "평화교육의 실태와 쟁점: 통일교육과의 접점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019
12 통일부 통일교육원, "평화ㆍ통일교육: 방향과 관점" 통일교육원 2018
13 이동기, "평화ㆍ통일교육 추진전략 연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4
14 황인표, "평화 지향적 학교 통일교육과 2007도덕과 교육과정의 분석"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8) : 27-56, 2009
15 변종헌, "통일담론의 전환과 지속가능한 통일교육의 토대" 한국윤리학회 1 (1): 179-199, 2020
16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교육지침서 2002, 2007, 2008, 2016"
17 정현백, "통일교육과 평화교육의 만남"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2
18 백준기, "통일교육 패러다임 전환 키워드: 평화" (겨울) : 2018
19 황인표, "통일과 평화 이야기(I)" 춘천교육대학교 출판부 2020
20 정경환, "제6장 통일교육에 있어서 ‘평화문제’에 관한 정치철학적 고찰"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159-184, 2014
21 김홍수, "이명박 정부 시기 중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변화와 평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1) : 427-458, 2014
22 통일부, "보도해명자료, 2019. 8. 21"
23 통일부, "보도자료, 2018. 8. 28"
24 통일부, "문재인의 한반도 정책: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통일부 2017
25 홍석훈, "문재인 정부의 평화・통일정책:북핵 문제와 미・중관계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9 (19): 45-68, 2018
26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 제2015-74호 (별책 6)"
27 조정아,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과서" 통일연구원 2015
28 "https://www.unikorea.go.kr/unikorea/policy/Mplan/planStory/"
29 "https://www.unikorea.go.kr/unikorea/policy/Mplan/Pabout/"
30 "http://webzine-serii.re.kr/2018winter/"
31 Galtung, Johan, "Violence, Peace, and Peace Research" 6 (6): 1969
32 Kuhn, Thomas 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9-, 2012
33 조정아, "2030 세대의 통일의식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15 (15): 2018
34 통일부 통일교육원, "2020 통일문제의 이해" 통일교육원 2019
35 통일부 통일교육원, "2020 북한 이해" 통일교육원 2019
36 차승주, "'통일국민협약'이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와 대안적 사회통일교육 방안 모색"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4 (34): 5-31, 202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8 | 1.432 | 0.33 |